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777 추천 수 2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37 : 어처구니없다?

 

 

 

어처구니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주로 없다의 앞에 쓰여) 상상 밖의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한편 어처구니없다는 어이없다와 같은 말로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다는 뜻이다.

 

어떻게 이런 말이 생겨났을까? 어처구니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 여러 말들이 많다.

예를 들면 어처구니는 맷돌의 윗돌과 아랫돌의 연결축이 되는 자그마한 물림장치 또는 맷돌의 손잡이라는 의견도 있고, ‘바윗돌을 부수는 농기계의 쇠로 된 머리 부분이라는 의견도 있으며, 궁궐의 전각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처마에 올리는 동물상이라는 의견도 있는 등 등 등...........

 

그래서 인터넷에 올라 있는 의견을 발췌하여 올리니 각자가 나름대로 판단하기 바란다.

 

어처구니는 한자어의 요철공(凹凸孔)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요철 즉, 들어가고 나옴과 공 즉 구멍의 합성어입니다.

먼저 공()에 대해서 얘기 하겠습니다. 공은 우리말의 구멍입니다.

방언으로(또는 낮춤말로) 구녕이라고 합니다. 콧구녕, 똥구녕 등의 말도 있습니다.

여기에서 요철구멍이 요철구녕이 되고 요철구녕이 요철구니로 된 것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어처구니의 뜻은 충분히 설명 되리라고 봅니다.

 

다음은 요철(凹凸)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요철은 들어가고 나옴을 말합니다. 이 말이 요철에서 어처로 바뀐 연유는 다소의 무리가 있지만 건축에서 나온 말입니다. (궁궐 따위)을 지을 때 기와를 올리는데 기왓장의 측면을 보면 계단식의 홈이 한 줄 파여 있는 것을 보게 되는데 빗물이 세지 않도록 하고 정밀하게 맞물려 지도록 합니다. 이것을 요철 또는 어처라고 합니다. 만약 이 홈 즉 어처가 없으면 기와의 줄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워 질 뿐만 아니라 누수에 대해서 별도의 방안을 강구하여야 되었을 것입니다.

어처가 없는 기와도 있는데 이것은 지붕의 가운데 기와가 맞물려 올라간 맨 꼭대기 줄을 덮을 때 뿐입니다. 어쨌거나 여기에서 요철이 어처로 변한 것 입니다.

그래서 어처구니가 없다는 말은 요철도 구멍도 없다는 말입니다. 앞뒤상황이 어긋나 황당하다는 뜻이 됩니다.

 


281071.jpg



다음은 다른 의견에 대한 저의 견해입니다.

맷돌의 손잡이가 어처구니라고 합니다. 이것에 대한 저의 의견은 부정적입니다.

맷돌은 상하로 분리가 됩니다. 아래에 위의 것을 얹어 놓은 모양입니다.

, 위의 것이 얹혀지게 되었다는 말입니다.

또 손잡이는 봉 또는 옹이 또는 공이입니다.

그래서 맷돌의 손잡이는 어처구니가 아니라 얹혀져 있는 것의 옹이(또는 공이) 즉 어처공이 또는 어처옹이가 맞습니다. 이것을 어처구니라고 하는 것은 발음이 비슷하니까 와전된 것으로 보여 집니다.

공이란 고이다에서 나온 말로 물체의 틈새에 끼워 균형을 유지하거나 합치게 할 때 사용하는 물체를 말합니다. 옹이란 나뭇가지가 죽으면 가지가 죽은 자리에 남게 되는 나무의 단단해진 부분을 말합니다.

심이 박혔다거나 멍이 졌다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맷돌의 옹이는 맷돌에 심을 박듯이 꽉 박혔다는 뜻입니다. 이로서 맷돌의 손잡이는 어처구니가 아니라 어처공이 또는 어처옹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의견은 어처구니가 처마위에 올리는 동물상이라고 합니다.

경복궁 같은 조선시대 궁궐의 전각(殿閣)이나 남대문 같은 문루의 기와지붕을 자세히 보면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들의 모양을 한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인형)들이 한 줄로 늘어서 있는데 이를 '어처구니'라고 합니다.

'어처구니없다''어이없다'와 동일하게 사용된 유래는 궁궐, 또는 성문을 짓는 와장(瓦匠)들이 지붕의 마무리 일로 어처구니를 올리는데, 이걸 실수로 잊어버리는 바람에 없는 경우 '어처구니없다'란 말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어처구니를 궁전 건물과 궁궐과 관련된 건물에 한정해서 설치했기 때문에 아마 곧잘 잊어버렸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어처구니없는 것이 와장(瓦匠)의 입장에서 볼 때는 건축 상의 아주 사소한 실수일지 모르지만, 왕이나 왕족 등의 입장에서 볼 때는 주술상으로 의미 있는 왕조(궁궐) 위엄과 건물 안전에 대한 중대한 실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위에 내용 중에 맷돌이란 단어가 나오는데 맷돌에 관련된 단어 하나 더 소개하고 오늘은 이만.

 

매암쇠 - 맷돌 위짝의 한 가운데에 박는 쇠.(구멍이 뚫려서 수쇠를 끼우게 됨) 맷수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 우리말을 찾아서(제40화 : 우리는 나무꾼) 2 무적 2010.10.25 2252
40 우리말을 찾아서(제39화 : 풀등) 1 무적 2010.10.23 2002
39 우리말을 찾아서(제38화 : 먼가래와 묵뫼) 1 무적 2010.10.22 2405
» 우리말을 찾아서(제37화 : 어처구니없다?) 1 file 무적 2010.10.21 2777
37 우리말의 올바른 표현: 바가지 긁다 3 처련 2010.10.20 3207
36 우리말을 찾아서(제36화 : 여리꾼) 1 무적 2010.10.20 2570
35 우리말을 찾아서(제35화 : 먹어야 산다?) 1 무적 2010.10.19 2469
34 우리말을 찾아서(제34화 : 에끼다) 1 무적 2010.10.18 2034
33 우리말을 찾아서(제33화 : 수지니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1 file 무적 2010.10.15 7776
32 우리말을 찾아서(제32화 : 섶다리) 1 무적 2010.10.14 2544
31 우리말을 찾아서(제31화 : 흥정도 여러 가지) 1 무적 2010.10.13 2582
30 우리말을 찾아서(제30화 : 명개) 1 무적 2010.10.12 2355
29 우리말을 찾아서(제29화 : 가족에 대한 호칭 등) 1 무적 2010.10.11 3486
28 무리말을 찾아서(제28화 : 상앗대) 1 무적 2010.10.10 2630
27 우리말을 찾아서(제27화 : 상고대) 1 무적 2010.10.09 2315
26 우리말을 찾아서(제26화 : 삭정이와 화라지) 3 무적 2010.10.08 2687
25 우리말을 찾아서(제25화 : 사름) 2 무적 2010.10.07 2220
24 우리말을 찾아서(제24화 : 비사치기) 1 무적 2010.10.06 2611
23 우리말을 찾아서(제23화 : 보람) 3 file 무적 2010.10.05 2162
22 우리말을 찾아서(제22화 : 코스모스는?) 1 무적 2010.10.04 22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