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22화 : 사름

by 달인 posted Jan 30,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22: 사름

 

 

올해의 추석이 오늘로 딱 보름 남았다.

예년보다는 조금 이른 추석이기에 햇과일이 나오지 않는단다.

퇴근길에 보이는 논의 벼들도 하루하루가 다르게 초록을 벗고 누렇게 변해 가고는 있지만 보름 밖에 남지 않은 올해의 추석에는 아무래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햅쌀로 빚은 송편을 먹을 수 없을 것 같다.

 

오늘은 모내기 이야기를 화두로 삼는다.

모내기를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일이라고 정의할 때 이앙기로 모를 심는 요즘 시대의 방식을 모내기라고 말할 수 있을까?

아닐 것이다.

모판에서 자란 모를 기계로 심는 것은 말 그대로 이앙이고, 못자리에서 자란 모를 손으로 쪄 내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심었던 것이 진정한 우리나라 전통의 모내기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제는 자주 볼 수 없는 옛날 모내기의 하루를 묘사해 본다.

 

오늘은 아무개네 집 모내는 날.

본격적인 모심기가 시작되기 전에 못자리의 모를 전부 쪄 내야 그 부분을 쟁기질하고 써레질하여 모를 심을 수 있기 때문에 논의 한 귀퉁이인 못자리에서 잘 자라고 있는 모를 쪄낼 아짐씨들은 아침밥도 거른 채 새벽부터 하나, 둘씩 짝을 지어 논으로 향하는데 허리가 부실한 어떤 아짐씨는 비닐 속에 지푸라기를 담아 논바닥에서 깔고 앉을 수 있게 만든 방석을 준비하는 치밀함도 보인다. (이렇게 모내기를 하기 위하여 모를 찌는 일을 모찌기라고 한다.)

초등학생인 우리들이 학교에 갈 때까지 계속되는 모찌기는 우리가 학교에 가는 길에 가져다주는 아침 도시락이 전달되면서 대충 끝이 난다.

그 모찌기 아짐씨들이 늦은 아침밥을 먹는 동안 이제는 아침밥을 집에서 먹고 나온 아제들이 미리 쪄서 묶어 놓은 못단(이를 모춤이라고 한다)을 모내기할 논으로 운반하여 논의 곳곳에다 골고루 나누어 던져 놓는다.(이렇게 모를 운반하는 사람을 모잡이라고 한다.)

못줄을 잡을 사람(줄꾼 또는 줄잡이라고 한다)은 세 사람인데 이들은 모를 본격적으로 심기 전에 먼저 한 가지 일을 하여야 한다.

그 일은 논의 가운데를 대략 가늠하여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한 줄로 모를 미리 심는 것이다. 심어 놓은 그 모는 이따가 가운데 사람이 잡은 못줄을 묶은 대(‘못줄대라고 하자)가 놓일 위치가 되는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모를 심어보자.

가운데 못줄을 잡은 사람(‘이라고 하자)이 먼저 못줄대를 미리 정하여진 위치에 놓으면 양쪽에서 못줄을 잡은 사람들(‘을들이라고 하자)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이 되게 못줄대를 놓아 주어야 한다. 그러면 모를 심는 사람들(이들을 모쟁이라고 한다)은 못줄에 빨간색 리본으로 표시된 그 위치에다 잽싸게 모를 심는 것이다.

은 이쪽저쪽을 다 살펴 양쪽이 다 모가 심어지면 큰소리로 넘기고하면서 못줄대를 다음 위치에 놓는다. 그러면 양쪽의 을들도 따라서 못줄대를 옮긴다. 이 때 은 양쪽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어느 한 쪽은 빨리 심고 어느 한 쪽이 더디게 심는다면 빨리 심는 쪽 사람 중 한 사람을 더디게 심는 쪽으로 보내 주어 소위 경제용어인 병목현상이 없게 하여야 한다.

모쟁이들 곁에는 항상 모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 등 이 병목현상을 없애야 하는 작업은 여러 곳에 존재한다. 모잡이들은 그것을 핑계로 일부러 조금은 이쁜 아짐에게 장난을 치곤하는데 그 방법은 일부러 못단을 그 이쁜 아짐 옆으로 던져 흙탕물을 튀게 하는 것이다. 그 아짐도 욕을 해대며 못하게는 하지만 웃는 얼굴과 목소리로 보아 분명 싫지는 않았을 것이다.

 

소위 못밥이라고 불리는 점심을 먹는 시간은 이들에게 가장 즐거운 시간이다. 아까의 새참 때 한 잔 밖에 마시지 못 했던 농주도 이때는 양껏 마실 수 있고, 학교에 간 자녀들이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면서 자기네 엄마, 아부지가 일하고 있는 곳으로 와서 같이 점심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평소에는 자주 먹을 수 없는 콩이랑 녹두를 넣어서 지은 먹음직스런 쌀밥이랑 있는 것 없는 것 아끼지 않고 해 내온 반찬들을 그 날 하루는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맛있게 자식들에게까지 먹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엄마, 우리 아부지가 거기에서 일을 하지 않아도 좋았다. 그 날, 그 시간만큼은 지나가는 어느 누구라도 불러서 점심을 같이 먹는 우리 농촌의 후한 풍습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었으니까.

 

이제 서서히 초여름의 긴긴 해가 멀리 천관산으로 뉘엿뉘엿 떨어져 간다.

그 날 모내기를 한 집의 논의 면적에 따라 모내기에 참여하는 사람의 수가 대략 결정되는데, 참 신기하게도 초여름의 해가 이제 막 서산을 넘어가려고 마지막 광채를 뿜어내는 그 시간이 되면 오늘의 모내기도 끝이 난다는 것이다.

오늘도 고된 하루의 일과를 마친 우리네 엄마, 아부지들은 내일 또 기약된 다른 집의 모내기를 위하여 곤한 잠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보면서 우리는 자라왔던 것이다.

 

이렇게 심어진 모는 약 일주일 정도 지나면 제 자리에서 뿌리를 내리는데, 이렇게 뿌리를 내리면서 모가 파랗게 생기를 띠는 일을 사름이라고 한다.

 

모춤 - 보통 서너 움큼씩 묶은 볏모나 모종의 단. (=못단)

사름 - 모를 옮겨 심은 지 4~5일쯤 지나서 모가 완전히 뿌리를 내려 파랗 게 생기를 띠는 일. 또는 그런 상태.

못밥 - 모내기를 하다가 들에서 먹는 밥.

기승밥 - 모를 내거나 김을 맬 때 논둑에서 먹는 밥.

새참 - 일을 하다가 잠깐 쉬면서 먹는 음식

곁두리 - 농사꾼이나 일꾼들이 끼니 외에 참참이 먹는 음식.

(2009년 추석을 보름 앞둔 초가을에)

  • ?
    달인 2012.01.30 13:55

    오늘 신문의 모 칼럼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의 가임기간(15세부터 45세가지)의

    출산횟수가 1.23명으로

    이는 세계 222개국 중 217위(꼴찌에서 여섯번 째)라고 한다.

     

    이 추세가 계속된다면

    우리나라 인구가 100만명 이하로 되는 해가 언제일까?????

?

  1. 제24화 : 삭정이1

    제24화 : 삭정이 자주는 아니지만 이따금씩 오르는 산은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는 곳이다’라는 명제에 반대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산을 생각하면 같이 연상되는 나무와 숲, 그리고 바위와 계곡 등등등…… 예부터 이 모든 것이 글과 노래와 그림의 소재...
    Date2012.02.03 By달인 Views3900
    Read More
  2. 제23화 : 상답1

    제23화 : 상답 내가 우리 전라도 사투리를 정리할 때 ‘보꾹’이란 단어를 우리 고향의 사투리라고 하면서 ‘방의 부엌 쪽의 벽에 여러 가지 물건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만든 장. 우리 집에서는 이불이나 책, 그리고 온갖 잡동사니를 넣어 보관하는 곳으로 쓰...
    Date2012.02.01 By달인 Views2524
    Read More
  3. 제22화 : 사름1

    제22화 : 사름 올해의 추석이 오늘로 딱 보름 남았다. 예년보다는 조금 이른 추석이기에 햇과일이 나오지 않는단다. 출․퇴근길에 보이는 논의 벼들도 하루하루가 다르게 초록을 벗고 누렇게 변해 가고는 있지만 보름 밖에 남지 않은 올해의 추석에는 아무래도 ...
    Date2012.01.30 By달인 Views3517
    Read More
  4. 제21화 : 보람1

    제21화 : 보람 오늘 소개하고자하는 단어인 보람의 사전적 의미는 아래와 같다. 보람 - ①약간 드러나 보이는 표적. ②다른 물건과 구별하거나 잊지 않게 하기 위하여 표를 해둠. 또는 그런 표적. ③어떤 일을 한 뒤의 얻어지는 좋은 결과나 만족감. 또는 자랑스...
    Date2012.01.27 By달인 Views2662
    Read More
  5. 제20화 : 밀뵙기1

    제20화 - 밀뵙기 이제 정확하게 3일 후면 우리 고유의 명절인 설인데 역 귀성객이 많다는 보도다. 지난 추석에도 그랬고 이번 설에도 그러한 것으로 보아 아마 이런 풍습은 계속될 것 같다는 생각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음은 오늘부터 ...
    Date2012.01.20 By달인 Views2912
    Read More
  6. 제19화 : 망고1

    제19화 : 망고 요즘에도 설날이나 정월 대보름날이면 연을 날리는 광경을 카메라에 담아 방송을 하긴 하지만 연을 날리는 곳이 시골이 아니라 도회지의 특정 지역이 대부분이다. 또한 연도 어릴 적 우리가 직접 만들어서 날렸던 그런 순수한 연이 아니라 전문...
    Date2012.01.18 By달인 Views3619
    Read More
  7. 제18화 : 반살미1

    제18화 – 반살미 나는 요즘의 젊은이들을 만나면 우리나라의 인구에 대한 실상을 설명하고는 가능한 한 빨리 결혼하고 능력이 되는 한 자식은 많이 낳으라고 권유한다. 그러나 십중팔구는 나의 의견에 동조는 하면서도 본인이 그렇게 하기는 싫다고 답변한다. ...
    Date2012.01.16 By달인 Views3711
    Read More
  8. 제17화 : 발맘발맘1

    제17화 - 발맘발맘 제주여행을 하다보면 필수적인 코스가 잠수함을 타 보는 것이다. 나의 경우 마라도잠수함을 타고 수심 30m까지 내려가 보았다. 바다 속도 육지와 같이 계곡이 있어 고저가 있고 땅(모래)이 있으며 생물이 살고 있다. 한편 바다에서 가장 깊...
    Date2012.01.13 By달인 Views3931
    Read More
  9. 제16화 : 방망이3

    제16화 - 방망이 내가 여기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방망이는 빨래를 하는 빨래방망이도 아니요 다듬이질을 하는 다듬이방망이도 아닌, ‘금 나와라, 똑딱!’하면 금이 나오고 ‘은 나와라, 똑딱!’하면 은이 나오는 도깨비방망이도 아니며, 남자의 그것과 비슷하게...
    Date2012.01.11 By달인 Views3311
    Read More
  10. 제15화 : 물수제비1

    제15화 – 물수제비 여러분은 영화나 티브이에서 사랑하는 사람들끼리 강가를 걷다가 입가에 흐뭇한 미소가 번져 있는 남자가 손아귀에 들어오는 조그맣고 납작한 조약돌을 집어 들고 허리를 비스듬히 숙여 강으로 돌팔매질을 하면 그 돌은 물위를 ‘통통통통통~...
    Date2012.01.10 By달인 Views4362
    Read More
  11. 제14화 : 민낯1

    제14화 : 민낯 요즈음 TV에 나오는 여자들을 보면 왜 그리도 하나같이 예쁜지! 얼굴도 예쁘고, 몸매도 팔등신이고, 피부도 그렇게나 곱고. 그 미인들의 이름을 여기에다 다 쓰려면 100명도 넘게 써야 하고, 자기 이름을 쓰지 않았다고 토라질 어떤 여자의 투기...
    Date2012.01.09 By달인 Views3374
    Read More
  12. 제13화 : 모릿줄1

    제13화 - 모릿줄 지난 8월 초에 녹동에 있는 고흥수협 공판장에 들렀는데 낚을 고기는 귀하다는데도 활어는 그런대로 구경할 수 있었다. 무엇으로 잡느냐는 물음에 대부분이 주낙이라는 대답이다. ‘주낙’하면 떠오르는 단상이 있으니......! 200 ~ 300 m 정도...
    Date2012.01.06 By달인 Views36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