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11화 : 들메

by 달인 posted Jan 03,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1: 들메

 

 

고무신.

그것도 태화고무 타이어표 검정고무신!(내 기억이 맞나???)

아버지들은 하얀 고무신을 신었는데 우리들은 한번 신으면 발이 커서 맞지 않을 때까지 신어야 했던 질기디 질긴 검정고무신.

 

우리는 초등학교시절 내내 이 검정고무신을 산 넘고 들 건너 10리 길인 학교까지 신고 다녀야 했다.

 

뜨거운 여름날이면 양말조차 신지 않은 신발의 바닥은 땀으로 가득 차서 금방이라도 벗겨질 듯 질척거렸고,

산에서 나무를 해 조락¹에 담아 메고 내리막길을 내려올 때면 왜 그리도 미끄럽고 잘도 벗겨졌는지!

그래서 우린 고무신의 앞부분 위를 칼로 오려내어 바람구멍을 만들어 신곤 했다.

 

달리기라도 하려면 신발을 벗어 들고 달려야 했으며,

축구라도 하려면 신을 신은 채 끈으로 동여매야 했는데 우리가 그렇게 신이 벗겨지지 않도록 동여매는 일을 들메라고 한단다.

 

고무신에 얽힌 이야기 하나.

조르박재!

왜 이런 지명이 붙었는지 모르지만 어르신들과 우리 세대는 거기가 어디인지 다 안다. 거기는 귀신이 자주 나온다는 풍문 때문에 어린 우리들이 혼자 다니기엔 굉장히 무서운 곳이었지만 평평한 공터가 있기에 구슬치기 등을 할 수가 있어 여럿이 모여 학교에 다니는 우리들의 놀이터로도 이용되는 곳이기도 했다.

내가 초등학교 5학년 말쯤인 어느 날,

무슨 일이 있어서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우리 넷(기도, 정화, 쌀밴 그리고 나)이 평소보다 늦게 집에를 오는데 하라패²를 지날 때쯤 해가 져서 조루박재를 지날 때에는 사방이 어둑해진 시간이었다. 귀신이 자주 나온다는 그 곳을 지나면서부터는 우리는 너 나 할 것 없이 한 걸음이라도 앞으로 빨리 가려고 말 없는 경쟁을 하고 있었는데 돌연 산속에서 쉬이, 쉬이,' 하는 요상한 소리가 계속 나면서 어떤 불이 번쩍하는 것이었다. 그렇지 않아도 무서움에 가슴 졸이고 있던 우리는 뒤돌아볼 겨를도 없이 '엄마야 !' 하면서 내달리기 시작했다. 30여 미터 쯤 뛰었을까? 당시는 운동화가 아니라 고무신을 신고 다니던 시절이라 아뿔싸! 내 고무신이 벗겨져 버린 것이다. 다급한 마음에 '내 신! 내 신!'하고 외쳤지만 어느 누구 하나 멈춰 줄 생각도 하지 않고 도망가기에 바쁘다. 나도 벗겨진 신을 되찾을 엄두도 못 내고 어쩔 수 없이 아픈 발바닥으로 쩔룩이며 뛰고 있는데 갑자기 뒤에서 ~하하하' 하는 웃는 소리가 들린다. 당시 중학교에 다니던 동네 형 일행이 몰래 숨어 우리를 놀래준 것이었다. 그 후유증으로 난 아파 누워 며칠간 학교엘 가지 못했고, 동네 형 중 한 사람인 복용이 형은 울 엄마한테 혼나게 야단을 맞았던.

 

그렇게 질겼던 검정고무신도 중학교에 가면서부터 운동화에 밀려 자기 생명을 다하고 엿장수에게 팔려나갔는데 지금은 무엇으로 재생되어서 이 사회에 공헌하고 있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들메 - 신이 벗어지지 않도록 신을 끈으로 발에 동여매는 일.

 

¹조락 : 대나무를 가느다랗게 쪼개어 만든 운반용 바구니. 주로 해태 채취와 가 리나무를 할 때 사용되었음.

²하라패 : 궁전(弓前 : 활의 앞)이라는 마을 이름. 그 마을을 지나면 산길로 들 어선다.

  • ?
    달인 2012.01.03 21:45

    새 신을 신고 뛰어보자 폴짝.......

     

    검정 고무신이라도 좋았다.

    새 신이라면!

     

    나이론 양말을 신고 신은

    왜 그리 미끄러웠던고!

     

     

     

?

  1. 제12화 : 감똥1

    제12화 : 감똥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은 무슨 꽃일까? 진흙에서 자라지만 그 더러움이 물들지 않아 화중군자(花中君子)라고 불리는 연꽃? 화중신선(花中神仙)으로 불리는 해당화? 찬 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고고하게 핀 국화? 그것도 아니면 그 청초함으...
    Date2012.01.04 By달인 Views3716
    Read More
  2. 제11화 : 들메1

    제11화 : 들메 고무신. 그것도 태화고무 타이어표 검정고무신!(내 기억이 맞나???) 아버지들은 하얀 고무신을 신었는데 우리들은 한번 신으면 발이 커서 맞지 않을 때까지 신어야 했던 질기디 질긴 검정고무신. 우리는 초등학교시절 내내 이 검정고무신을 산 ...
    Date2012.01.03 By달인 Views3875
    Read More
  3. 제10화 : 대우1

    제10화 : 대우 오늘날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자족률이 쌀을 제외하고는 30% 이하라고 한다.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하고 새마을노래가 마을 확성기에 울려 퍼지는 70년대에는 80% 정도! 어쩌고 하였는데 말이다. 그때 당시의 우스개이야기 하나....
    Date2012.01.02 By달인 Views3911
    Read More
  4. 제9화 : 대궁1

    제9화 : 대궁 나의 경우 어린 시절 이야기의 밑바탕에는 거의가 가난이라는 주제가 흐르는 것 같다. 하기야 어디 나뿐이랴! 5~60대의 우리나라 사람들 중 가난을 모르고 풍족하게 산 사람이 몇이나 될까? 또한 35년간(흔히들 일제치하를 36년이라고 말하는데 ...
    Date2011.12.31 By달인 Views3126
    Read More
  5. 제8화 : 쫀뱅이 낚시1

    제8화 : 쫀뱅이 낚시 요 몇 년 동안 우리 거금도 부근에서 보이지 않아 멸종되었나 싶었던 쫀뱅이가 재작년부터인가 녹동 활어공판장에 나타나서 하도 반가웠다. 쫀뱅이는 붉은 흑갈색이나 배 쪽은 희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눈도 뒤룩뒤룩 크다. 또한 가시...
    Date2011.12.30 By달인 Views4160
    Read More
  6. 제7화 : 모숨1

    제7화 : 모숨 우리 금산과 같이 농․어업을 생업을 삼았던 곳의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은 어느 계절일까? 다른 마을은 몰라도 겨울에 김을 하는 우리 쇠머리마을은 아무래도 여름철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고 하여 여름철이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이라는...
    Date2011.12.29 By달인 Views3531
    Read More
  7. 제6화 : 감풀1

    제6화 : 감풀 우리 금산 사람들은 거의가 바다를 생활의 근거지로 삼았기에 물때의 영향을 아니 받을 수 없어 물때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바다와 바로 접해 있는 우두마을 출신이므로 어느 누구 못지않게 그 물때에 대해서는 잘 안다고 자부한...
    Date2011.12.28 By달인 Views3297
    Read More
  8. 제5화 : 물질1

    제5화 : 물질 해녀들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물질’이라고 한다. 요즈음은 이 물질을 해녀들이 많다는 제주도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우리 쇠머리 앞 바다에서도 심심치 않게 물질하는 광경을 볼 수가 있었으니……...
    Date2011.12.27 By달인 Views2941
    Read More
  9. 제4화 : 희아리1

    제4화 : 희아리 요즈음도 이따금 ‘물 먹인 소를 잡다가 적발되었다’라는 뉴스가 나오곤 한다. 이렇게 「소 장수가 소의 배를 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억지로 풀과 물 을 먹이는 짓」을 ‘각통질’이라 하는데, 나는 소 장사를 해 보지 않았으므로 각통질을 해...
    Date2011.12.26 By달인 Views2490
    Read More
  10. 제3화 : 가대기1

    제3화 : 가대기 각 부두에는 항운노조라는 것이 있다. ‘노조’는 ‘노동조합’의 준말로 근무하는 회사와 대립되는 개념인데 항운노조의 경우 근무하는 회사가 없이 근무하는 사람들로만 조합을 결성하였으니 그 상대는 결국 하역회사가 될 것이다. 곧, 선주나 화...
    Date2011.12.25 By달인 Views3442
    Read More
  11. 제2화 : 마중물1

    제2화 : 마중물 아직 수도시설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1960년대. 우리가 유학하고 있는 광주 등 도회지의 식수원은 펌프로 퍼 올리는 지하수가 주였다. 물론 당시에 차츰차츰 수도설비를 하고 있어서 우리가 자취를 하고 있는 집에도 수도는 설비되어 있었다. 그...
    Date2011.12.24 By달인 Views3262
    Read More
  12. 제1화 : 뚜껑밥2

    <쓰기 시작하면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남달리 우리말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조정래 선생님의 ‘태백산맥’과 최명희 님의 ‘혼불’을 만나고부터 더욱더 우리말에 매료되었다. 그리하여 ‘전라도 사투리 모음’을 필두로 ‘재미있는 속담들’, ‘순우리말 모음’에 이어 ...
    Date2011.12.23 By달인 Views41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