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5화 : 물질

by 달인 posted Dec 27,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5: 물질

 

 

 

해녀들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물질이라고 한다. 요즈음은 이 물질을 해녀들이 많다는 제주도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우리 쇠머리 앞 바다에서도 심심치 않게 물질하는 광경을 볼 수가 있었으니……

 

대략 5~6톤 정도 되는 통통배는 10여 명 남짓한 해녀들을 싣고 다니다가 채취할 만한 해산물이 있음직한 바다의 곳곳에다 해녀들을 떨어뜨려 준다. 그러면 해녀들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바다 속 곳곳을 헤엄쳐 다니면서 전복이나 소라, 그리고 성게 등등의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산소 호흡기를 달지 않고 물속으로 들어간 그녀들인지라 물속에 오래 있지 못하고 대략 2~3분이 지나면 물 밖으로 고개를 내밀어 숨을 내쉬고 다시 물속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고개를 내밀 때 오랫동안 참았던 숨을 후유우~~~’하고 길게 내쉰다. 이렇게 내쉬는 숨소리를 숨빗소리라고 한다. 그리고 채취한 해산물을 넣는 그물망을 망사리라고 하며, 망사리를 매어 놓고 거친 숨을 고르면서 지친 몸을 쉬기 위하여 잡고 있는 뒤웅박을 태왁이라고 한다.

이렇게 몇 번을 반복하여 그 부근의 해산물을 거의 모두 채취하였다고 생각되는 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통통배는 다시 와서 그녀들을 싣고 새로운 작업장을 찾아 통통통통~~~~‘ 하고 떠나가는 광경을 우리는 자주 목격했던 것이다.

 

한편 제주도 토박이말로 정낭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집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대문 대신 가로로 걸쳐 놓는, 길고 굵직한 나무.를 이른다.

정낭은 통상 3개의 나무로 되어 있는데,

정낭이 하나도 걸쳐 있지 않으면 집에 사람이 있다는 의미가 되며,

정낭이 하나만 걸쳐 있으면 집안에 사람이 없으나 곧 돌아온다는 의미이고,

두 개의 정낭이 걸쳐 있으면 저녁 때 쯤 돌아온다는 표시(금일 중에 돌아온다는 표시)가 되며,

세 개의 정낭이 모두 걸쳐 있으면 집에서 먼 곳으로 출타했다는 표시이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이 단어가 정낭이 맞는지 정남이 맞는지 지금까지 헷갈린다. 나는 오래 전부터 정낭으로 알고 사용하고 있는데 생뚱맞게도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정남으로 올라 있기 때문이다. 더더구나 방언이라는 친절한 설명도 함께.

나는 제주도 토속어인 이 단어를 정남으로 등재한 이유를 물었으나 명확한 대답이 없다. 또한 엄연히 현물이 존재하고,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이 사용하는 이 단어를 표준어가 아닌 제주도 방언이라고 규정함은 잘못된 것이므로 표준어로 지정해 달라고 국립국어원과 오랫동안 언쟁을 벌였다. 그러나 그들은 제주도라는 한 지방에서만 쓰이고 있어 표준어로 지정할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또한 정남정낭으로 바꾸지도 않는다.

다들 아는 바와 같이 표준어규정 총칙 제1항을 보면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서울말서울 사람이 쓰는 말.을 의미한다.

이 논리대로라면 결국 아무리 좋고 한국을 대표하는 것이라도 서울에는 없고 한 지방에만 존재하는 물건의 이름은 표준어로 지정될 수 없다는 것 아닌가?

 

현대는 세계를 지구촌이라고 부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도는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우리나라 국민들만이 아닌 전 세계인이 즐겨 찾는 곳이다. 곧 제주도의 모든 것이 우리 대한민국을 상징하는데도 이를 간과하고 규정에만 얽매인 국립국어원의 편협함에 실망이 크다.

그리고 경기도 양평에 있는 연예인 강호동의 별장도 입구가 정낭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그들은 그것을 무엇이라고 부를까? 많이 궁금하다.

 

 

태왁 - 제주도에서 해녀가 바다 속에서 몸을 의지하고, 또 채취한 해산물을 넣는 망사리를 매어 놓기 위하여 띄어 놓은 둘레 80-90cm 정도의 큰 박을 사용하여 만든 뒤웅박. 또한 해녀들이 물질을 하러 가거나 올 때 배 위에서 노래의 장단을 맞추기 위해서 두드리던 대용 악기로도 사용되었는데 현재는 문명의 발달로 스치로폼으로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어 악기로서의 기능은 없어졌다고 할 것이다.

 

 

  • ?
    달인 2011.12.27 16:35

    본문에 나오는 '정낭'에 대하여 한 마디.

     

    지난 12월 22일

    국어문화원에 또 항의를 하여

    '정남'을 '정낭'으로 표기하는 안과

    '정낭'을 표준어로 지정하는 안을

    표준어심의위원회에 품신하겠다는 대답을 얻어냈다.

     

    언제 심의위원회가 개최될 지는 미정이지만

    그 결과가 기대된다.

?

  1. 제12화 : 감똥1

    제12화 : 감똥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은 무슨 꽃일까? 진흙에서 자라지만 그 더러움이 물들지 않아 화중군자(花中君子)라고 불리는 연꽃? 화중신선(花中神仙)으로 불리는 해당화? 찬 서리에도 굴하지 않고 고고하게 핀 국화? 그것도 아니면 그 청초함으...
    Date2012.01.04 By달인 Views3734
    Read More
  2. 제11화 : 들메1

    제11화 : 들메 고무신. 그것도 태화고무 타이어표 검정고무신!(내 기억이 맞나???) 아버지들은 하얀 고무신을 신었는데 우리들은 한번 신으면 발이 커서 맞지 않을 때까지 신어야 했던 질기디 질긴 검정고무신. 우리는 초등학교시절 내내 이 검정고무신을 산 ...
    Date2012.01.03 By달인 Views3893
    Read More
  3. 제10화 : 대우1

    제10화 : 대우 오늘날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자족률이 쌀을 제외하고는 30% 이하라고 한다.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하고 새마을노래가 마을 확성기에 울려 퍼지는 70년대에는 80% 정도! 어쩌고 하였는데 말이다. 그때 당시의 우스개이야기 하나....
    Date2012.01.02 By달인 Views3929
    Read More
  4. 제9화 : 대궁1

    제9화 : 대궁 나의 경우 어린 시절 이야기의 밑바탕에는 거의가 가난이라는 주제가 흐르는 것 같다. 하기야 어디 나뿐이랴! 5~60대의 우리나라 사람들 중 가난을 모르고 풍족하게 산 사람이 몇이나 될까? 또한 35년간(흔히들 일제치하를 36년이라고 말하는데 ...
    Date2011.12.31 By달인 Views3134
    Read More
  5. 제8화 : 쫀뱅이 낚시1

    제8화 : 쫀뱅이 낚시 요 몇 년 동안 우리 거금도 부근에서 보이지 않아 멸종되었나 싶었던 쫀뱅이가 재작년부터인가 녹동 활어공판장에 나타나서 하도 반가웠다. 쫀뱅이는 붉은 흑갈색이나 배 쪽은 희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눈도 뒤룩뒤룩 크다. 또한 가시...
    Date2011.12.30 By달인 Views4170
    Read More
  6. 제7화 : 모숨1

    제7화 : 모숨 우리 금산과 같이 농․어업을 생업을 삼았던 곳의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은 어느 계절일까? 다른 마을은 몰라도 겨울에 김을 하는 우리 쇠머리마을은 아무래도 여름철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고 하여 여름철이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이라는...
    Date2011.12.29 By달인 Views3551
    Read More
  7. 제6화 : 감풀1

    제6화 : 감풀 우리 금산 사람들은 거의가 바다를 생활의 근거지로 삼았기에 물때의 영향을 아니 받을 수 없어 물때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바다와 바로 접해 있는 우두마을 출신이므로 어느 누구 못지않게 그 물때에 대해서는 잘 안다고 자부한...
    Date2011.12.28 By달인 Views3316
    Read More
  8. 제5화 : 물질1

    제5화 : 물질 해녀들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물질’이라고 한다. 요즈음은 이 물질을 해녀들이 많다는 제주도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우리 쇠머리 앞 바다에서도 심심치 않게 물질하는 광경을 볼 수가 있었으니……...
    Date2011.12.27 By달인 Views2950
    Read More
  9. 제4화 : 희아리1

    제4화 : 희아리 요즈음도 이따금 ‘물 먹인 소를 잡다가 적발되었다’라는 뉴스가 나오곤 한다. 이렇게 「소 장수가 소의 배를 크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억지로 풀과 물 을 먹이는 짓」을 ‘각통질’이라 하는데, 나는 소 장사를 해 보지 않았으므로 각통질을 해...
    Date2011.12.26 By달인 Views2509
    Read More
  10. 제3화 : 가대기1

    제3화 : 가대기 각 부두에는 항운노조라는 것이 있다. ‘노조’는 ‘노동조합’의 준말로 근무하는 회사와 대립되는 개념인데 항운노조의 경우 근무하는 회사가 없이 근무하는 사람들로만 조합을 결성하였으니 그 상대는 결국 하역회사가 될 것이다. 곧, 선주나 화...
    Date2011.12.25 By달인 Views3451
    Read More
  11. 제2화 : 마중물1

    제2화 : 마중물 아직 수도시설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1960년대. 우리가 유학하고 있는 광주 등 도회지의 식수원은 펌프로 퍼 올리는 지하수가 주였다. 물론 당시에 차츰차츰 수도설비를 하고 있어서 우리가 자취를 하고 있는 집에도 수도는 설비되어 있었다. 그...
    Date2011.12.24 By달인 Views3282
    Read More
  12. 제1화 : 뚜껑밥2

    <쓰기 시작하면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남달리 우리말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조정래 선생님의 ‘태백산맥’과 최명희 님의 ‘혼불’을 만나고부터 더욱더 우리말에 매료되었다. 그리하여 ‘전라도 사투리 모음’을 필두로 ‘재미있는 속담들’, ‘순우리말 모음’에 이어 ...
    Date2011.12.23 By달인 Views42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