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화 : 쫀뱅이 낚시
요 몇 년 동안 우리 거금도 부근에서 보이지 않아 멸종되었나 싶었던 쫀뱅이가 재작년부터인가 녹동 활어공판장에 나타나서 하도 반가웠다.
쫀뱅이는 붉은 흑갈색이나 배 쪽은 희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고 눈도 뒤룩뒤룩 크다. 또한 가시가 많고 뼈가 센데 이렇게 가시가 많고 뼈가 센 고기가 맛있다는 속설에 어울리게 그 맛이 담백하였다. 어린 우리도 아버지께서 막 잡아 썰어주시는 싱싱한 회를 얼마나 많이 먹었던가!
또한 살을 도려내고 남은 서덜은 국으로 끓여 먹었는데 그렇게 시원할 수가 없었다. 물론 가시와 뼈가 많아 국을 먹다가 목에 가시 등이 걸리는 일도 다반사였지만 마지막 국물까지 후루룩 마시고서야 수저를 놓는 그런 맛이었다.
그래서 예전의 향수에 젖어 몇 마리를 사가지고 와서 집에서 구워 먹었는데아쉽게도 예전의 그 맛은 아니었으나 그래도 담백한 맛만은 그대로였다. 아마 우리의 입맛이 그만큼 고급화되어서일 것이다.
작년여름에 직장 동료들과 금당도 등 섬 유람을 하며 옥룡마을 앞에 있는 형제도 인근에서 던진 릴낚시에 그 쫀뱅이가 올라왔다. 멀리 허우도 등에서는 많이 낚인다는 소식이다.
각설하고,
어릴 적 우리 마을 사람들은 여름철의 물 흐름이 세지 않은 조금 물때에는 하릴없이 쫀뱅이 낚시를 간다. 낚싯줄을 감는 도구, 즉 술무테⁽¹⁾하나와 미끼 조금만 있으면 준비 완료!
마을 앞에 있는 먹이섬을 중심으로 사방이 쫀뱅이 낚시터인지라 준비랄 것도 없다. 손수 노 저어 물 흐르는 대로 배를 맡겨놓고 여걸림이 없도록 배의 방향은 일정하게 하면서 줄을 당겼다 늦췄다 하면 입이 커서 먹성이 좋은 이놈들은 여지없이 미끼를 물었다. 이놈들의 먹성이 얼마나 좋은가 하면 미끼가 떨어질 경우 그 고기의 턱살을 떼어 미끼로 사용하여도 자기 동족의 살인지도 모르고 곧잘 걸려든 놈들이다.
이렇게 낚시질을 시작한 지 서너 시간이면 경험이 많아 솜씨가 좋은 사람은 백여 마리, 초보자들도 사·오십여 마리는 너끈히 낚아 올렸으니 기술이 별로 필요 없는 만인의 낚시질이었던 것이다.
천때⁽²⁾로 하는 갯바위 낚시와 진몰 앞바다의 개펄 밭에서의 문절이 낚시가 전부였던 어린 우리들도 가끔씩 어른들의 틈에 끼여 쫀뱅이 낚시를 할 기회가 있었으나 역시 어른들처럼 많이 낚을 수는 없었다.
그래도 내가 낚은 고기라고 끼미⁽³⁾를 만들어 자랑스럽게 어깨에 둘러메고 집에 오곤 하였던 기억이 새롭다.
나도 이따금씩 즐기는 릴낚시가 대세인 요즈음 그 원초적인 시울질로 하는 쫀뱅이 낚시를 다시금 해볼 기회는 없겠지만 우리의 기억 속에 생생한 검붉은 빛의 입이 큰 조금은 못생긴 그 쫀뱅이의 학명이 ‘쏨뱅이’라는 것을 밝히며 맺는다.
⁽¹⁾ 술무테 : 견지의 사투리.
⁽²⁾ 천때 : 대나무 장대로 만든 작은 낚싯대.
⁽³⁾ 끼미 : 꿰미의 사투리
견지 - 대나무로 만든 납작한 외짝 얼레. 물고기를 낚시로 잡을 때에 낚싯줄 을 감았다 늦추었다 하는 데 쓴다.
서덜 - ①냇가나 강가 따위의 돌이 많은 곳. ②생선의 살을 발라내고 난 나 머지 부분. 뼈, 대가리, 껍질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여걸림 - 바다낚시에서 여나 장애물에 채비가 걸리는 일.
시울질 - 물고기의 식욕을 돋우기 위하여 줄에 달린 미끼를 움직이게 하는 일.
꿰미 - ①물건을 꿰는 데 쓰는 끈이나 꼬챙이 따위. 또는 거기에 무엇을 꿴 것. ②(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끈 따위로 꿰어서 다루는 물 건을 세는 단위. (이 글은 2008년 말에 썼음)
2011년은 엄연히 내일까지이나
내일이 공휴일인지라
실질적으로는 오늘이 마지막인가 보다.
지금쯤 각 직장에서는 종무식이 한창이겠지!
그래, 나도 송구영신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