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 레슬러의 산실 ‘문화체육관’

by 운영자 posted Jan 18,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a_05.jpg국내 프로레슬링 붐을 위해 천규덕·김덕 등과 가진 경기. 일본서도 호평을 얻었다. 박대통령의 도움으로 정동에 지은 문화체육관 배출 1기생. 이왕표·양승희·김광식…. 국내 레슬링계를 이끌어간 주역들이다.

나의 무대는 일본이었다. 한국에서도 수많은 경기를 가졌지만 일본만큼 경기횟수는 많지 않다. 일본에서는 연간 160차례 이상 시합을 했다. 이틀에 한번 꼴. 15∼20일 동안 매일 경기를 한 후 보름정도 쉬는 형식.

한국에서 레슬링은 수지를 맞추기 힘들었다. 각 지방마다 경기장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당시에는 서울 장충체육관이 유일하게 경기를 치를 수 있는 곳이었다. 비록 일본에서 레슬링을 시작했지만 한국을 떠날 수는 없었다. 틈나는 대로 한국에서도 레슬링경기를 갖기 위해 애를 썼다. 그때 천규덕 박성남 박승모 남해산 오대균 김덕 등과 호흡을 맞췄다. 특히 천규덕과 김덕을 일본에 소개해 경기를 갖게 했다.

사실 한국무대에서는 돈을 벌지는 못한다. 일본에서 돈을 벌어들여 한국에 쓰는 형편이었다. 입장료수입도 10배이상 차이가 났다. 그래도 레슬링 붐만 일어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었다. 일본에 레슬링을 심은 사람도 한국인 역도산이었고, 그 뒤를 내가 잇고 있었으니까. 천규덕은 당수의 명인으로 일본에서도 좋은 호평을 받았다. 검은 타이츠를 입고 무대에 섰던 그는 노래도 잘했다. 김덕은 재일동포. 아버지는 한국인이었지만 어머니는 일본인이었다. 내가 한창 명성을 얻고 있을 때 레슬러가 되겠다고 찾아왔다. 박승모는 후에 목사가 됐고 남해산은 나의 사위가 되었다.
국내에 레슬링스타들이 나타나고 해외에서 명성을 얻어가자 박대통령은 내게 체육관을 지으라고 하사금을 내렸다. 72년 정동 문화체육관 건설은 그렇게 시작됐다. 체육관이 건설된다는 것만으로도 나는 날 듯이 기뻤다. 미국에 건너가 직접 설계사를 불러오고 일본의 체육관을 둘러보기도 했다.

벽돌 한장에도 정이 가지 않을 수 없었다. 『어떻게 나랏돈만으로 체육관을 지을 수 있는가』. 나는 내 돈도 쏟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당시 돈으로 1천만원을 집어넣었다. 운동기구도 샀다.

75년 체육관을 개관했다. 김일체육관. 개관 당시 고사를 2번이나 지냈다. 돼지머리를 놓고 제사를 지냈는데 풍수가들이 고개를 내저었다. 용의 머리 형상이니 돼지 대신 해물을 놓아야 한다는 것. 그래서 속초까지 달려가 잘 말린 명태를 사다가 「무사안녕」을 기원했다. 개관기념으로 데스토라야를 불러 1시간 넘게 혈투를 벌였다. 후배들도 뽑았다. 이왕표와 양승희 김광식 임대수…. 체육관 1기생이다.

훈련은 모질게 시켰다. 처음에는 레슬러가 되겠다고 찾아오는 사람이 많았지만 며칠을 버티지 못하고 돌아가는 경우도 많았다. 끝까지 남아 있던 이왕표는 내 후계자가 됐다. 막내동생이었던 김광식은 후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잘될 듯하던 체육관은 오래가지 못했다. 「레슬링은 쇼」라는 장영철 발언 파동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그래도 경기는 꾸준히 열렸지만 80년 신군부가 들어서면서 체육관을 내놓게 됐다. 재단법인으로 돼있던 체육관이 내 소유가 아니란 것을 그때야 알았다. <정리 최병준 기자>

 

 

?

  1. 1. 역도산 제자 되려 현해탄 건너다

    장사집안 출신의 타고난 씨름꾼. 어느날 일본잡지서 본 역도산 모습은 내 혼을 빼놓았다. 그를 만나러 무작정 일본행. 불법체류로 1년 수감생활후 마침내 선생을 대면했다. 70년대. 당시 최고의 국민스포츠는 프로레슬링이었다. 아이 어른 할것없이 TV 앞에 몰...
    Views12970
    Read More
  2. 2. 내 비장의 무기 ‘박치기’1

    역도산은 내 주무기로 머리를 단련시켰다. 재떨이·골프채 등에 맞아 하루도 성할 날이 없었다. 64년 내가 미국서 챔피언 되던날, 선생은 일본서 운명을 달리했다. 역도산은 일본 프로레슬링계에서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존재였다. 함경도출신인 그는 몸집이...
    Views11562
    Read More
  3. 3. 내 열렬한 팬 ‘박 대통령’

    유난히 레슬링을 좋아했던 그분. 경기 끝내고 청와대에 가면 육여사가 직접 음식을 만들기도 했다. “어린이들이 많이 보는데 반칙은 교육상 안좋아. 김선수는 모범이 돼야 해” 역도산에 이어 내가 세계 챔피언이 됐다는 소식에 국민들은 모두 자기 일이나 되는...
    Views10124
    Read More
  4. 4. 영원한 맞수,이노키와 바바

    레슬링을 시작한 30세.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바가 후배로 들어왔다. 8년5개월간 큰형님 대접받으며 동고동락. 하지만 역도산선생의 죽음으로 일본레슬링계가 분열됐다. 주저없이 선생이 이끌던 ‘일본프로레슬링’을 택했다. 영원한 라이벌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
    Views10040
    Read More
  5. 5. 레슬러의 산실 ‘문화체육관’

    국내 프로레슬링 붐을 위해 천규덕·김덕 등과 가진 경기. 일본서도 호평을 얻었다. 박대통령의 도움으로 정동에 지은 문화체육관 배출 1기생. 이왕표·양승희·김광식…. 국내 레슬링계를 이끌어간 주역들이다. 나의 무대는 일본이었다. 한국에서도 수많은 경기를...
    Views10372
    Read More
  6. 6. 언제나 미안한 그 이름 ‘가족’

    17세때 아버지 권유로 든 장가. 3살 연상의 아내. 빵점 가장이었지만 아내는 군말 한마디 없었다. 일본서 보낸 돈을 떼먹은 사람들이 아내에게 오히려 큰소리 쳤다. 77년 군에서 의문사 당한 막내. 아내는 8년전 세상을 떴다. 링 위에서는 세계를 제패했지만 ...
    Views8248
    Read More
  7. 7. 죽을 고비 넘겨 얻은 신조

    여러번의 죽을 고비가 있었다. 여순사건 주동이 된 부대의 죽마고우들에 대접한 식사. 배후 조종자로 몰려 맞아 죽을뻔 했다. 6·25가 터져 또다시 곤욕을 치렀다. 그후 원한을 사지않고 덕을 베풀어야 한다는 신조로 세상을 살았다. 아들의 죽음은 큰 충격이었...
    Views7673
    Read More
  8. 8, 동생·사위 합세 ‘레슬링 명가’

    20년 터울의 배구선수출신 막내동생 김광식. 연습벌레였던 그는 멕시코·미국서 챔피언에 오르기도 했다. 120㎏의 거구 남해산. 언제나 듬직하고 성실했던 모습. 딸에게 ‘그와 결혼하라’고 권했다. 사실 우리 집안은 「레슬링 가문」으로 손색없다. 막내동생 광...
    Views10320
    Read More
  9. 9. 운 안따라준 수산물 사업

    레슬링 쇠퇴하던 70년대말 사업시작. 속초에 ‘김일수산’차려 일본수출에 전념했다. 한때 잘나가던 사업. 명태어획 급감에 현금회수도 안돼 결국 문을 닫았다. 70년대말 사업에 손을 댔다. 「장영철 파동」이후 레슬링이 침체되고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쇠...
    Views8262
    Read More
  10. 10. 영광은 가고 상처만 남아

    레슬링을 하면서 몸은 서서히 만신창이가 됐다. 링을 떠나 속초에 있던 나는 결국 쓰러지고 말았다. 뇌졸중이었다. 추위가 심했던 어느날. 당시 어느 신문기자가 나를 찾아왔다. 타향에 묻혀 수산업을 하고 있는 나를 취재하고 싶다고 했다. 바닷가에 나가 사...
    Views8108
    Read More
  11. 11. 일본서 열린 눈물의 은퇴식

    링위를 호령하던 박치기왕. 하지만 일본에서 돌아올 때는 병들고 늙은 몸이었다. 을지병원에 머물며 치료에만 신경을 쓰고 있다. 죽기전에 마지막으로 링위에서 팬들에게 인사를 할 수 있다면. 그것이 마지막 소원이다. 링을 떠난 것은 80년 5월. 제주도 경기...
    Views8751
    Read More
  12. 12. 팬사랑 넘친 레슬링 인생1

    귀국 후 잊혀졌던 프로레슬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언론에서도 나를 도와야 한다는 기사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사실 별다른 스포츠가 없었던 60~70년대. 거구의 외국선수를 매트에 내려꽂는 한국선수들을 보곤 모두 자신들이 이긴 것인 양 기뻐했던 국민...
    Views8378
    Read More
  13. 13. 레슬링을 국민스포츠로

    얼마나 많은 경기를 치렀을까. 나는 기억할 수조차 없지만 아직도 팬들의 머리 속에는 나의 경기장면이 생생히 남아있나보다.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다. 나를 알지 못하는 젊은이들도 내 경기 기록을 속속들이 꿰고있다. 1년에 150∼200여 경기를 치렀으니 평생 3...
    Views84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