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이 귀국하면서 국내 레슬링의 전반적인 기량 향상, 결국엔 팬 동원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사실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그전까지 보아왔던 국내 레슬링의 수준과 김일이 선사했던 기량의 차이는 어마어마했고, 무엇보다도 김일이 존재했던 국내 레슬링 무대에는 세계적인 레슬러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우리나라 프로레슬링이 당시 세게 강대국 중 하나로 자리 매김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가? 아니, 김일이 상대했던 세계적인 레슬러들은 과연 어느 정도의 수준이었길래 김일이 ‘오라면 와서’ 당시 생소한 서울 땅에서 이마가 찢겨져 나갔던 것이었나?
현재까지도 마찬가지지만, 60년대 프로레슬링의 ‘메카’는 역시 미국, ‘아메리카’ 였다. 그 당시 미국에선 프로 복싱의 인기 역시 절정에 달하고 있었는데, 복싱 쪽엔 WBA와 WBC 라는 두개의 국제 단체가 양립해 있었고, 플로이드 패터슨, 소니 리스톤, 캐시어스 클레이 (무하마드 알리) 등의 굵직한 슈퍼스타들이 호령하고 있던 시절이었다. 반면에 프로레슬링은 크게 3개의 단체가 있었지만, 그 밑으론 지역별로 여러 군소 타이틀이 있었다. 그 이유는, 프로복싱은 단체 별로 11개의 체급이 있어 각 체급마다 챔피언이 있었고 흥행 기회가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었지만, 레슬링은 헤비급 - 주니어 헤비급 정도로 나뉘어 있어 타이틀 수가 현저히 적었기 때문에 여러 지역 타이틀로서 이를 만회하려는 계산이었다.
미국 프로레슬링의 3개 단체는 WWA (World Wrestling Association), NWA (National Wrestling Association - 80년대 CNN의 테드 터너 사장이 인수), WWWF (World Wide Wrestling Federation - 현 WWF의 전신) 로 나뉘어 진다. WWA 같은 경우 프로 복싱의 WBA와 비슷한 역사와 수준의 조직체였다. LA를 중심으로 서부 및 태평양 연안 지역에 살고 있는 동양 2세들의 입김을 강하게 받았고 당시 부회장으로 있던 일본인 2세 ‘모도’ (김일의 WWA 태그매치 파트너)가 매치 메이커로 활약, 동양 레슬러의 활약이 가장 활발했던 조직이었다. 역대 WWA 헤비급 챔피언 계보를 잠시 보자면, ‘프레디 블래시’ - ‘역도산’ - ‘블래시’ - ‘디스트로이어’ - ‘베아키트 라이트’ - ‘에드워드 카펜디어’ - ‘딕 아키스’ - ‘도요노보리’ - ‘ 보 파레스’ - ‘고릴라 몬순’ - ‘킬러 오스틴’ - ‘루 테스’- ‘마크 루인’…등으로 이어지는 세계적 스타들의 격전지 였다.
WWA 외에도 NWA (세인트 루이스를 중심으로 한 중, 서부 - 현재는 조지아 주에 주재), WWWF (뉴욕의 메디슨 스퀘어 가든을 중심으로 한 동부 - 현재는 동부 코네티컷 주에 주재) 등의 레슬링 협회가 그 당시 최고의 권위를 자랑했던 ‘국제 무대’는 WWA 라고 평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런 국제 수준급 4각의 링 안에서 김일이 WWA 헤비급 챔피언 벨트를 놓고 도전했거나 방어했던 (3차 방어까지 성공) 스타들은 과연 누구였는지 살펴 본다.
루 테즈
명실공히 WWA가 배출했던 최고의 스타이자 미국 레슬링 계의 살아있는 전설이다. 기민한 동작, 풍부한 링 경험과 ‘루 테즈의 백 드롭’ (상대 레슬러의 등 뒤로 올라가 등어리를 잡고 업어치는 기술)으로 불리우던 ‘전매 특허 기술’로 한 때 세계 레슬링 계에서 ‘루 테즈의 백드롭, 칼 곳치의 저먼 수플렉스’ 라고 할 정도로 레슬링 무대에선 신화적인 기술의 소유자로 인정 받고 있다. 현재까지도 WWA 회장 자리를 지키며 미 서부 지역 레슬링 재건에 힘을 쏟고 있고, 동양 권에서 루 테즈를 모르는 레슬링 팬은 없을 정도로 지명도가 높은 인물이다. 킬러 오스틴을 물리치고 WWA 헤비급 챔피언 자리에 올랐지만, 머지 않아 도전자 마크 루인에 1-2로 패하면서 벨트를 넘겨주게 되었다. 65년 미국에서 김일과 가졌던 처음이자 마지막 WWA 타이틀 전에선 관중들이 던진 의자에 맞고 머리가 찢어진 김일을 상대로 폴승을 거두었고, 이 밖에도 루 테즈 - 김일이 맺어온 ‘국경과 세대를 초월한 레슬러의 우정’은 여러 사람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지난 95년 4월 2일 일본 도쿄 돔에서 열렸던 김일 은퇴식에는 루 테즈 회장이 휠체어에 앉은 김일을 손수 밀면서 링까지 보조했다.
마크 루인
1967년 4월 29일 서울 장충 체육관에서 개최되었던 WWA 헤비급 타이틀 매치에서 김일에게 벨트를 넘겨 준 마크 루인은 당시 세계 최고의 테크니션 이라고 했던 루 테즈를 2-1로 꺾은 신흥 강자였다. 뉴욕 주 태생으로 위스콘신 대학 시절 미국 아마츄어 레슬링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고, 루 테즈를 ‘슬리퍼 홀드’ 라는 목 (기도) 조르기 기술로 실신 시켰다는 출중한 힘과 기술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마크 루인의 ‘슬리퍼 홀드’가 이제는 레슬링 계에서 어느 정도 보편화 되었고, 고인이 된 애드리언 아도니스가 한때 ‘굿나잇 아이린’ 이란 슬리퍼 홀드 변형 기술을 선 보이기도 하게 되었지만, 당시 국내에선 ‘슬리퍼 홀드’ 자체에 대해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에 김일조차 불안해 하고 있었다고 한다. 국내에서 선 보인 첫 세계 헤비급 타이틀 전에서 김일은 마크 루인에게 2-1로 승리하고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던 WWA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게 된다.
프레디 블래시
WWA 초대 챔피언이자 당시 유일하게 2회에 거쳐 챔피언 벨트를 획득한 프레디 블래시는 얼마 전까지도 스타 TV에서 방영했던 WWF 광고에 등장했던 (WWF Attitude 시리즈 중 - 지팡이를 들고 객석에서 관전하는 모습의 원로 “Today, I cheer for them..” 이란 마지막 멘트까지) 국내 레슬링 팬들에게도 익숙한 인물일 것이다. 80년 대 후반까지 ‘빅 존 스터드’, ‘레이 더 크리플러 스티븐스’, ‘릭 플레어’ 등의 매니저로서 WWF에서 왕성한 활동을 했던 블래시의 현역 시절은 WWA 무대에서 꽃을 피웠다. 당시 가장 악명 높은 ‘반칙왕’ 중의 하나로 손 꼽힌 블래시의 주 특기는 ‘물어 뜯기’ 였다. 경기 전 줄로 이빨을 날카롭게 갈고 링에 올라 거리낌 없이 상대 선수의 얼굴을 물어 뜯고 유혈이 낭자한 상대의 얼굴을 보고 희열을 느꼈다는 망측한 인물로서 역도산 역시 경기 도중 블래시의 ‘이빨 반칙’에 당해서 그를 지켜보던 한 일본인 시청자가 ‘쇼크 사’ 했다는 후문도 있다. 71년 7월 12일 장충체육관에서 벌어진 김일과 블래시의 격전 역시 양 자간의 ‘피 바다’를 방불케 하는 혈전 끝에 김일의 2-1 폴승으로 끝이 났다.
보보 브라질
72년 12월 6일 장충체육관. 초대 챔피언이었던 역도산의 사망이후 8년 만에 한국인 김일이 도전한 인터내셔날 헤비급 챔피언은 바로 ‘검은 그림자’ 보보 브라질이었다. 역도산 이후로 루테즈, 자이언트 바바 등의 세계적 스타들이 챔피언 자리에 오른 인터내셔날 챔피언 벨트는 당시 185cm, 140kg의 흑인 거구이자 역시 ‘박치기의 대가’ 보보 브라질이 쥐고 있던 상황. 김일은 1차전에서 보보 브라질의 흉기로 얻어 맞아 1승을 내 줬지만, 2,3차전에서 강력한 보디 프레스와 새우등 꺾기 기술로 브라질을 제압했다.
김일이 국제 무대에서 상대한 세계적인 스타들은 이들 외에도 헤아릴 수 없다. 도리 펑크, 니스라우스 즈비스코, 마이크 디비아시, 타이거 마스크, 미스터 아토믹…등, 세계 레슬링 계의 선구자 역할을 했던 강호들과 맞붙어 힘을 겨뤘다. 필자가 이렇게 많은 레슬링 스타들을 거론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이다. 김일이란 레슬러를 평 할 때, 어쩌면 그가 당시 우리 국민들에게 전해줬던 숱한 감동, 드라마, 그리고 사회적 의미 등에만 눈이 멀어, 레슬링 계에서 최고의 실력을 자랑했고 세계적인 명성을 누리던 그의 레슬링 실력 - 비록 그것이 ‘연기’ 실력이든 ‘각색’ 실력이든 국내를 제외한 세계의 레슬링 계가 인정했던 그의 실력이 혹시나 과소 평가 되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 때문이다.
우리나라 출신의 한 농구인이 한 때 NBA의 전설 빌 러셀, 윌트 챔버레인, 밥 쿠지, 제리 웨스트..등의 농구 영웅들과 함께 코트를 누빈 적이 있었다면 아마도 그는 지금쯤 ‘국민 훈장’ 이란 훈장은 모조리 싹쓸이 했을 것이다. 그에 대한 위인전이 출판 되어도 십 수개는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김일에겐 그런 영광을 돌려준 이는 아무도 없었다, 적어도 최근까지는. 그 이유는 뭘까? 레슬링은 결국 ‘쇼 (Show) 떠는 것’ 이니 그들의 땀은 가치가 없어서? 그들은 그 ‘쇼 (Show)’ 를 하기 위해 다른 스포츠 인만큼의 체력 훈련이나 정신력 훈련을 안 할 것 같아서? 이 자체가 바로 ‘제일 우스운 쇼 (Show)’ 가 아니고 뭔가? 그런 논리라면, 한국이란 나라도 잘 모르던 60대 초반, 세계적인 ‘쇼 (Show) 꾼’ 들과 어울려 제일 그 짓을 잘 했던 한국인에게 최소 ‘예술상’이나 ‘연기상’은 주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역사 바로 세우기 어쩌구…’ 타령을 해대도 우리는 우리 역사나 문화적 뿌리를 찾는데 수준 이하다. 너무 빨리 끓어 오르고 너무 빨리 식어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