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과 사람들
안토니오 이노끼
김일과 안토니오 이노끼…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는 라이벌이자 선, 후배, 그리고 동료였다. 이 두 ‘거함’의 격돌을 목격했던 독자라면, 당시 둘 사이에 존재했던 (최소한 표면 위로의) 라이벌 의식은 ‘왕정치 - 나가시마’, ‘알리 - 프레이져’ 그리고 ‘매직 죤슨 - 래리 버드’의 정도에 버금갔다는 말에 큰 이견이 없으리라 본다. ‘4강의 링’ 안에서 이노끼의 ‘머리를 올려준 사람’이 김일이었다면, ‘장영철 폭로 사건’ 이후 침체 되었던 국내 레슬링 재건의 1등 공신은 어쩌면 안토니오 이노끼였는지도 모른다. 통산 전적 1승1무 1패가 말해주듯, 김일은 영원한 한국의 ‘뚝배기’ 였고, 이노끼는 일본의 ‘사시미’ 였다. 오십이 가까운 나이의 김일이 젊고 늘씬하게 잘 빠진 이노끼 (43년 생 - 190cm, 102kg) 를 상대로 분전하는 모습을 보면서 대한의 어린이들은 희망과 용기를 얻었고 일에 지친 가장들은 가정을 되찾게 되었다.
안토니오 이노끼 (본명 칸지 이노끼)… 브라질 계 혼혈아 출신으로 전 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 후 17살 때, 역도산에 의해서 레슬링 계에 입문하게 되었다. 역도산 사망 후 같은 문하생 출신이었던 자이언트 바바와 ‘파’가 나뉘어져 그는 ‘신 일본 레슬링’의 우두머리 자리를, 바바는 ‘전 일본’을 책임지던 일본 레슬링 계의 양대 산맥 중 한명이었다. 일반인들의 기억 속에는 안토니오 이노끼의 ‘주걱턱’ 이 그 무엇보다도 인상 깊게 남아있지 않나 싶다. 워낙 강렬한 인상의 이노끼의 매력 포인트이면서, 한편으론 ‘옥의 티’ 였던 그누메 ‘주걱턱’ 땜시 당시 초등학교를 다니던 어린 애들 사이에서 턱이 손톱만큼만 돌출했다 하면 그 친구는 무조건 ‘안토니오 이노끼’란 별명이 붙었었다. 아마 그 당시에 전국구 단위로 ‘이노끼’란 별명이 붙었던 친구들을 다 불러 모았더라면… 초등학교 운동장 하나정도는 채워지지 않았을까 싶다. 이는 분명 당시 이노끼에 대한, 또는 프로레슬링에 대한 국민들의 애증과 관심을 단적으로 나타내 주는 사회적 현상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시 한국 국민들이 일개 일본인 레슬러 이노끼에 대한 관심이 하늘을 찌를 수 밖에 없었던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바로 76년 6월 26일에 개최 되었던 ‘세기의 격투기 무하마드 알리 VS 안토니오 이노끼’ 전 때문이었을 것이다. ‘20세기 최고의 스포츠 인’으로 선정될 정도의 ‘고귀한 몸’ 알리를 상대하기에 이노끼에겐 규정 상 제약이 워낙 많았던 이유로, 그는 전 매치를 매트 위에 누워서 풀어 나갔다. 어차피 일어선 채로 알리와 ‘맞장’ 떴다간 그 ‘주걱턱’이 날라갈 것이고, 누운 채로 계속 알리의 다리만 집중적으로 차는 공격을 펼쳤다. 그 결과 금세기 가장 ‘소문난 잔칫집’으로 기억되긴 했지만, 세계 최고의 철권을 상대로 동양인 레슬러, 특히 우리 김일 선수와 대결하던 낯 익은 얼굴 이노끼가 알리를 상대한 사실 하나만으로도 이노끼에 대한 관심은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 되었다.
74년 10월 10일… 어느새 레슬러로써 확고한 자리를 잡았을 뿐만 아니라, 레슬링의 본 고장인 미국의 3대 헤비급 타이틀 중 하나를 거머쥘 정도로 급성장한 (NWA) 이노끼를 상대로 김일이 정식 타이틀 도전장을 내민다. 이를 위해 김일은 괌에 비밀 캠프를 차려놓고 이노끼의 얼굴이 그려진 샌드백과 매일 시름 할 정도로 의욕에 불타고 있었지만, 적지에서의 승부 결과는 의외로 간단하게 끝났다. 경기 시작 13분 13초 만에 김일은 이노끼의 ‘코브라 트위스트’에 덜미를 잡혀 무릎을 꿇게 된다. 이때부터 또 한번 한반도는 이노끼의 ‘공포의 코브라 트위스트’ 물결에 휩싸이게 되고, 도대체 어떤 기술이길래 천하의 김일이 일본인 이노끼에게 ‘Give Up’ (‘항복’)을 외쳤는지 궁금해 한다. 이노끼의 ‘코브라 트위스트’, 피부 색깔을 막론하고 이 기술에 한번 걸렸다 하면, ‘최소한 허리 병신’ 이란 얘기도 있었고, 경기 입장 시 항상 목덜미에 감겨졌던 이노끼의 ‘ 휜색 타올’ 만큼이나 유명했던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총력전을 펼치던 중, 상대의 힘이 거의 다 소진 되었다고 생각할 때 링 한 가운데에서 걸고 들어가는 ‘코브라 트위스트’는 다리와 팔을 모두 이용해서 상대의 몸을 완전히 쥐어 트는 ‘항복 기술’ (Submission Hold) 이었다. 실제 후추 스탭 중 한명이 코브라 트위스트의 위력을 만끽 (?) 하고자 얼마 전 이왕표 선수를 만났을 때, 특별 시범을 요청했는데…. 아, 그 광경은 인간이 눈 뜨고 볼 수 없는 광경이었다. ‘쑈 (Show) 라던 레슬링 기술이 아파야 얼마나 아플까..?’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겁 세포 상실한 상태’에서 부탁했다가… 이 친구 사흘째 허리와 다리를 못 쓰고 있다
. 안토니오 이노끼의 데뷔전을 상대해주며 승리로 이끈 후, 정상급 레슬링 스타가 되어서 처음 맞붙은 대결에서 완패한 김일은, 이듬해인 75년 3월 한국에서 설욕전을 갖는다. 과거에 비해서 시들해진 레슬링의 국민적 관심도가 이노끼와의 라이벌 전을 통해 다시 활기를 찾게 되고, 75년 이노끼가 한국 순회전을 위해 데리고 들어 온 일본 선수단 역시 국내 레슬링 재건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이렇게 준비 된 이노끼와의 세번째 대결에서는 무승부로 끝나, 결국 누구도 통산 전적 우위를 누리지 못한 채 링을 떠나게 된다.
한-일 레슬링의 두 간판 김일과 이노끼의 승부 세계는 이처럼 팽팽한 평행선을 유지해 나갔지만, 링 밖에서 두 사나이가 나누었던 정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역도산 문하생 시절 둘 사이의 ‘야사’는 물론, 부츠를 벗은 90년대 김일과 이노끼가 나눈 인간적인 사랑과 동료애는 한,일의 국경을 뛰어넘어 많은 사람의 가슴을 울리기에 충분했다. 1989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서 스포츠 평화당의 비례대표로 출마해서 국회의원으로 당선 된 이노끼는, 1993년 제 14대 대통령 취임식에 일본 경축단의 일원으로 참가하기 위해 내한했다. 오랜 선배이자 동지였던 김일의 눈물겨운 투병 소식을 들은 이노끼는 김일의 거처를 수소문 했고, 그런 친구를 병상에서 맞이할 수 없다던 김일은 무거운 몸을 이끌고 직접 김포공항으로 그를 마중 나갔다. 장충체육관이 아닌 김포공항, 레슬링 타이즈가 아닌 두터운 겨울 외투를 걸치고, 한명은 번듯한 정치인 그리고 또 한명은 병마와 싸우는 평범한 노인의 모습으로…두 사나이들은 감격의 재회를 나누었다. 이후 이노끼는 곧 바로 김일의 치료를 위해 일본 후쿠오카의 일류 병원이라는 ‘도고 병원’ 으로 김일을 후송했고, 김일의 미지막 ‘파이터 정신’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제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야말로 ‘쑈 (Show) 꾼’ 들의 의리와 우정치곤 너무나도 아름다운 장면이 아닌가…
여건부
김일의 명예의 전당 얘기를 꺼내면서 굳이 ‘여건부’ 란 어색한 이름을 꺼내는 이유는… 그냥… 그러고 싶어서… 여건부란 재일 교포 레슬러를 별도로 후추 명에의 전당에 헌액 시키기엔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그렇다고 70년 대 중반 여건부가 국내 링에서 보여준 ‘신기’를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여건부란 이름이 국내 레슬링 계에 가져 다 준 ‘바람’이야 말로 ‘센세이션’ 그 자체였다. 75년 3월. 이노끼의 ‘신 일본 레슬링 연맹’ 군단과 함께 모국 땅에 들어온 여건부는, 단 번에 그의 이름을 대한민국 레슬링 사에 올려 놓게 되고, 레슬링 팬에겐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70년대 한국 레슬링 ‘제 2의 물결’의 주인공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일본 명 ‘호시노 간다로’… 크지 않지만 다부진 몸집에 전광석화와 같은 스피드로 상대를 교란시키던 여건부는 미국 테네시 주 태그 챔피언으로써, ‘인간 탄환’ 이란 별명을 가질 정도로 다이내믹한 플레이를 펼쳤던 선수였다. 이노끼 팀과 귀국 당시, 본인은 한국인의 이름으로 한국 선수와 한 조가 되어서 매치에 임하겠다고 해서, 당시 ‘풍차 돌리기의 명수- 김기남’ 과 짝이 되어 일본 선수들의 혼줄을 빼놓으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 선수이다. 70년대 중반, 우리 레슬링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던 때, 천규덕의 박치기, 장영철의 드롭킥, 김일의 박치기..등의 ‘헤비급 기술’이 고작이었다. 특히, 여건부 같은 경량급 (?) 선수들의 고난도 기술을 일찍이 본 적도 없었으며 ‘레슬링을 저렇게 해도 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현란한 기술을 선 보였던 장본인이다. 김일의 메인이벤트에 앞서 세미파이널 태그 매치에 주로 등장했던 여건부의 당시 인기는… 꼬맹이들 사이에서 ‘여건부 신드롬’을 앓지 않았던 친구가 드물 정도였다. 왼팔에 상대방의 머리를 끼어넣고 ‘스카이 콩콩’ 타듯 팔짝팔짝 뛰면서 상대방의 머리통을 가격하던 ‘복서 출신 레슬러 - 여건부’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링 위를 ‘날아 다니던’ 여건부의 모습을 보기 위해 경기장을 찾은 팬들이 물결이 끊이지 않았고, 단순히 ‘신 일본 팀’과의 순회 경기를 치르고자 한국을 방문했던 본인의 당초 의사와는 달리, 여건부는70년대 후반 국내 레슬링 매치 최대 ‘빅 카드’가 되어 버렸다. 역발산, 백경… 등과 함께 84년 6월 6일까지 잠실 실내 체육관에서 매치를 벌였으니 10년 가까운 세월동안 여건부가 매료시킨 레슬링 팬들의 숫자만 하더라도 짐작이 잘 가지 않을 정도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