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레슬러… 이름만 들어도 그 얼마나 살벌한 직종인가? 실제 프로레슬러를 만나본 사람이라면 그들의 상상을 초월한 체구에 혀를 내두를 것이다. 앞서 김일의 ‘링 캐리어’ (Ring Career)를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이젠 그의 이면을 보도록 하자.. 링 위에서는 대포알 같은 박치기를 보여주는 김일이지만, 링을 내려온 김일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그 누구도 관심 갖지 않았던 부분을 파헤쳐 본다. 김일이 과연 링 바깥에서 어떻게 선행을 베풀었고, 김일의 가족들은 김일을 아버지로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김일은 자신을 낳아주신 부모님들을 어떻게 공경했는지…등, 레슬러는 괴물 같이 포장되던 시절의 ‘인간 김일’을 소개하고자 한다.
- 남모르는 선행
김일이 링 밖에서 하는 선행들은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 김일이 의도적으로 남몰래 선행을 베풀어 왔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김일이 하는 선행들은 정말로 마음에서 우러나와서 하는 선행들로 보여진다. 요즘 일부 연예인 매니저가 등 떠밀어 방문하는 ‘고아원 우정 출연’이 아닌. 기껏해야 연말연시 때나 가끔 가다가, '증거 사진' 하나 찍기 위해서 불우시설 등을 찾는, 그런 '보이기 위한 선행'과는 차원이 달랐다.
1965년 한반도는 전국적으로 가뭄이 극심한 상태였다. 해갈에 목 말라 하던 농촌지역을 위해서 김일은 양수기 50대를 소리 소문 없이 조용히, 가뭄지역에 기증하기도 했다. 1978년 7월 30일엔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서, 구호용 라면 2백상자(당시 싯가 50여만원 상당)를 강남구청에 기부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투병생활을 하고 있을 무렵엔, 자신에게 들어온 성금의 일부를 '자신보다 더 불우한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다시 내놓기도 하였다. 이런 일도 있었다. 때는 1994년. 사형 선고를 받은 한 사형수가 '죽기 전에 꼭 김일을 돕고 싶다'며 교도소에서 한푼 두푼 모아 보낸 성금 1백만원에 감동한 김일은, '이 돈은 받을 수 없는 돈'이라며 끝내 거부를 하고, 후에 '김일을 위한 자선바자회'등에서 들어온 돈 200만원을 전국의 교도소에서 수감중인 사형수들과 시각 장애인들에게 쾌척하기도 하였다.
프로레슬링에 대한 선입견… 지방에서 덩치 좀 크고 주먹 꽤나 쓴다는 ‘준 조폭’ 또는 ‘양아치’ 들이나 하는 운동이라고 하던 레슬링의 대가의 모습은 어쩌면 링 밖에서 더 위대했는지도 모른다. 60-70년대 김일이 누리던 국민적 지지의 원천은 바로 이런 김일의 ‘타고 난 히어로이즘 (heroism)’ 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싶다. 본인보다 약하고 어려운 사람을 위하는 그의 심성 때문에, 그리고 김일 역시 스타로써의 생명력은 팬들의 따뜻한 성원뿐이란 점을 너무도 잘 알았기 때문에 그는 한때나마 ‘대통령보다도 더 유명한’ 인물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 김일의 가족
김일의 가족은 '레슬링 가족'이다. 동생 김광식씨, 장남 김수안씨, 사위 강성용씨 등 일가족 4명이 모두 링 위에서 '뼈대가 굵은' 집안이다. 역도산과 그의 아들이 '레슬러 부자지간'인 것처럼, 김일도 마찬가지로 2대가 레슬러였던, 레슬러 가문이었던 것이다.
이런 김일은 가정에서 자녀들을 어떻게 대했을까? 한없이 가정적이고 다정다감스런 성격으로 가족들을 대했다고 한다. 김일의 둘째딸 김순희씨의 얘기를 직접 들어보자.
"선수로 활동하시던 시절엔, 1년에 많아야 2달 정도만 가족들과 함께 생활하시는 아버지였지만, 같이 있으실 때만큼은 저희들에게 한없이 자상하고 가정적인 아버지이세요. 저희들이 어질러 놓은 물건들은 언제나 손수 꼼꼼히 치워주시는 분이지요. 딸들이 부끄러워할 정도의 잔 일까지 흐뭇해 하시면서 구석구석 찾아 다니며 하시거든요….제가 별로 밖으로 나다니지 않기 때문에 옷이 없고, 간소한 편이에요. 그래서 한 사흘 정도를 같은 옷만 입고 다니면, '넌 도대체 여자가 왜 그 모양이냐고 막 화를 내시기까지 해요…. 미국 같은 곳에 가시면 선물로 모자나 가방 같은 것들을 사서 보내세요. '미국 여성들은 모자나 가방을 애용한다. 요즘은 이런 것이 유행인 것 같더라'라는 편지까지 함께 부쳐서 말이죠. 얼마 전 텍사스쪽에 시합을 가셨을 때는, 아주 차양이 긴, 큰 모자를 보내셨더라고요. '요즘 텍사스에서 유행이니 너도 한번 써보렴' 이란 편지도 함께요. 그래서 얼마나 웃었는데요."
(이상 1970년 8월 12일자 '주간 여성'지에서 발췌)
김일은 자녀에게 자상한 아버지였고, 부모님들에게도 효심 깊은 아들이었다.
선수 시절, 해외원정 말고 서울에 체류하는 동안이라도, 바쁘게 생활하다 보니, 밤 늦게 귀가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렇게 밤늦게, 아무리 늦게 들어와도 김일은 어머니 (선처자 씨)가 계신 방으로 가서 꼭 인사를 드렸다. 김일의 어머님도 이 인사를 받아야 잠이 드셨고, 김일도 이 인사를 해야만 잠을 청했다고 한다.
백척거구 김일도 어머님의 말씀에는 절대 거역을 못했다. 1969년도는 어머님께서 회갑이 되시는 해였다. 김일은 마음속으로 성대한 회갑잔치를 준비하고, 어머니에게 말씀을 드리지만, 김일은 어머니에게 꾸중만 들었다. (상상이 가는가? 김일 선수가 꾸중 듣는 모습이? ^^;) 차라리 그 잔칫돈으로 어머님의 고향 (전남 고흥군 금산면 어전리)에 전기나 가설하라는 어머님의 말씀을 듣고, 그 길로 곧바로 전기를 놓아 주었다고 한다.
피로 범벅이 된 김일의 얼굴을 보면서 자상한 이웃집 아저씨 같다는 생각을 한 위인은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김일의 ‘다른 모습’을 지켜 보면서, 천하의 김일에게도 ‘약한 구석’이 있다는 점을 깨우치며 인간적인 교감이 형성 된다. 언제나 힘에 부치지 않을 것 같아 보이던 김일. 언제나 속 시원한 박치기를 갈겨대며 우리의 스트레스를 해소 시켜줄 것 같았던 김일. 그런 그이기에 어쩌면 팬들의 외면 이 더 가슴 아팠을지도 모른다. 김일은 어려움에 빠진 주윗사람을 외면하며 살지 않았기 때문에…김일은 그렇게 살지 않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