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117화 : 윷놀이

by 무적 posted Feb 06,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17: 윷놀이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로서 주로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는 무엇일까?

답은 윷놀이이다.

오늘은 던지기만 하면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이 윷놀이를 주제로 재미있는 우리말 여행을 떠나보자.

 

윷놀이에는 네 개의 윷짝, 아래와 같은 말판과 말로 쓰일 조그마한 물건(바둑알과 같이 서로 구분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4개씩 합계 8개가 필요하다.

 

윷을 던지어 뒤집어 지는 개수에 따라 도····모라고 부르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므로 생략하고, 도는 돼지를, 개는 개를, 걸은 양을, 윷은 소를, 모는 말을 뜻한다고 하는데 이는 부족국가(부여)시절에 각 부족마다 가축을 한 가지씩 나누어 기르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윷판의 명칭은 아래의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은데 이 외에도 여러 이름이 있다.


윷판.png


가운데 열십자는 땅을 뜻하고 바깥 쪽 원은 하늘을 뜻한다고 하니 전체를 우주로 보면 될 것이며, 특히 시작점인 멱은 날밭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말이 점수를 내는 것을 난다라고 하는 데서 기인한 것 같다.

 

그럼 이제 실제로 윷을 놓아 보자.

먼저 윷을 골라야 하는데 TV 등에서 민속놀이를 설명할 때 쓰이는 윷은 장작윷 이라 하여 그 길이가 15Cm 정도 되며 손으로 던지는 반면, 일반적으로 시골에서 멍석에 윷판을 그리고 종지기에 넣어 던지는 윷은 그 길이가 2~3Cm 정도로 이를 밤윷이라고 한다.

윷을 던지고 말을 쓰는 것은 독자들도 잘 알 것이니 설명할 필요가 없지만 우리말과 관련된 재미있는 단어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계속해 나간다.

말은 하나로도 갈 수 있고 두 개 이상으로도 포개서 갈 수 있다. 이렇게 두 개 이상 포개는 것을 일반적으로 업는다라고 하는데 이는 표준말은 아니다.(이의 표준말은 아우르다이다)

말 한 개를 외동무니(또는 단동무니)라고 하는데 특히 바리라고 하며, 두 개가 업힌 것을 두동무니(또는 두동사니), 세 개의 경우를 석동무니(또는 석동사리), 네 개를 넉동무니(또는 넉동사리, 막동)이라고 한다.

 

윷은 말 네 개가 먼저 나는 사람이 이기는데 위 윷판에서와 같이 멱에서 시작하여 모를 거치고 방을 거쳐서 멱으로 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며, 그 다음이 멱(혹은 멱뒷모)순으로 반 바퀴를 돌아 멱으로 나는 것이 두 번째요, 뒷모 째를 거쳐 멱으로 나는 것은 한 바퀴를 삥 도는 가장 늦은 방법인 것이다. 이렇게 한 바퀴를 삥 도는 것을 팔방돌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멱방을 거쳐서 나는 것이 가장 빨리 나는 방법이라고 했는데 이 때에는 필히 방에 말이 놓여야만 한다. 흔히 모와 걸이 나오면 방에다가 말을 쓰게 되는데 이렇게 방에다가 말을 쓰는 것을 방이다라고 한다.

 

한편 이나 가 나오면 이를 사리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는 윷을 한 번 더 던질 수가 있다. 또한 상대방의 말을 잡을 경우에도 윷을 한 번 더 던질 수가 있는데 이렇게 한 번 더 윷을 던지는 일을 새김이라고 한다.

 

이제 윷은 그 끝을 향하여 가고 있다. 우리 편은 말을 두 개밖에 못 냈는데 상대방 편의 넉동무니 말은 멱에 가 있다. 이와 같이 다음에 우리 편이 윷을 던져서 그 말을 잡지 못하면 그 다음에 상대방 편의 윷이 어떤 것이 나와도 이기게 되는 것을 단백사위라고 한다.

이제 우리 편이 그것들을 잡지 못하면 이 판은 끝이 난다.

저 말을 잡기 위해서는 필히 사리가 나오고 한 번 더 던져 필요한 끗수가 나와야만 하는데 이렇게 내가 목표로 한 꼭 필요한 끗수를 사위라고 한다.

여기에서 한 가지 짚고 넘어 갈 것은 단백사위 촉 간다.’라는 속담이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것이 나와도 승부가 결정되는 상황(이기는)인데도 져 버렸다는 것이니 이는 (정확한 표현은 무효)이라는 결정적인 실수를 조심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어 하나 더!

도 긴 개 긴이라는 속담이 있다. 여기에서의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말이니, ‘도 긴 개 긴은 도나 개로서도 잡을 수 있는 짧은 거리 즉,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오십보백보또는 도토리 키 재기와 비슷하다고나 할까!

이제 윷도 끝나고 잔치도 끝났다.

이겼다고 뻐길 일도 아니요, 졌다고 투덜거릴 일도 아니다.

또 다시 윷판은 펼칠 수 있으니까!

그러나 인생은 다시 오지 않으니 모든 일에 신중해야한다는 것을 오늘의 주제로 삼아 윷 이야기로 각색했다.

 

아우르다 - 여럿을 모아 한 덩어리나 한 판이 되게 하다.

윷놀이에서, 말을 두 개 이상 한데 합치다.

바리 - 마소의 등에 잔뜩 실은 짐. 또는 그것을 세는 단위.

윷놀이에서, 말 한 개를 이르는 말.

팔방(八方)돌이 - 이곳저곳 여러 군데를 도는 일.

윷놀이에서, 말이 윷판의 사방을 돌아 가장 먼 길로 가는 일.

방이다 - 윷놀이에서, 말을 방에 놓다.

어떤 부분을 힘 있게 후려치다.

사리 - 윷놀이에서, ‘을 이르는 말. 또는 그 횟수를 세는 단위.

새김 - 윷놀이에서, 모나 윷이 나온 뒤나 상대편의 말을 잡았을 때, 윷을 한 번 더 던지는 일.

단백사위 - 윷놀이에서, 마지막 고비에 이편에서 윷을 던져 이기지 못하면 그 다음에 상대편에서 도만 나도 이기게 될 때 이편에서 쓰는 말.

사위 - 주사위나 윷을 놀 때에 목적한 끗수.

단백사위 촉() 간다 - 윷놀이에서, 마지막 고비에 한 번 윷을 놂으로써 이기고 지는 것이 결정될 때 그만 지고 말았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단수(單手)에 실패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윷놀이에서,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

 

  • ?
    무적 2013.02.06 17:44

    한 달이면 서너 번이나 고향엘 가곤 하는 나이지만

    설이 다가오니 괜히 마음이 설렌다.

     

    업무상 가는 것과

    설이라는 명절이 주는 차이 때문일까?

     

    다들 즐거운 마음으로 명절을 보냈으면 하는 마음이다,

?

  1. 제120화 : 쌍둥이는?1

    제120화 : 쌍둥이는?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쌍둥이(혹은 쌍생아)는 일란성과 이란성으로 구분되는데 그 차이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일란성 쌍둥이> 성별이 같은 똑같이 닮은 아이들이 한 어머니에게서 시간차이를 두고 태어난 경우인데 한 개의 ...
    Date2013.03.05 By무적 Views9999
    Read More
  2. 제119화 : 이춤1

    제119화 : 이춤 11월 초인데도 바깥 기온이 25도를 넘나드는 이상기온의 날씨가 계속되고 있지만 그래도 계절의 전령사인 창밖의 은행나무는 차츰차츰 노란 옷을 벗어가고 있다. 저 잎이 다 지고 나면 가지만 앙상한 은행나무는 겨울을 재촉할 터인데…… 우리나...
    Date2013.02.20 By무적 Views8508
    Read More
  3. 제118화 : 손녀딸을 보면서1

    제118화 : 손녀딸을 보면서 내리사랑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뜻은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을 사랑함. 또는 그런 사랑. 특히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이른다.」고 국어사전에서는 설명하고 있는데, 나는 이 설명보다는 「자기가 낳은 자식보다 그 자식이...
    Date2013.02.14 By무적 Views9298
    Read More
  4. 제117화 : 윷놀이1

    제117화 : 윷놀이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로서 주로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는 무엇일까? 답은 윷놀이이다. 오늘은 던지기만 하면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이 윷놀이를 주제로 재미있는 우리말 여행을 떠나보자. 윷놀이에...
    Date2013.02.06 By무적 Views9968
    Read More
  5. 제116화 : 바다로 창을 내겠소!1

    제116화 : 바다로 창을 내겠소! 올 초에 공직을 퇴직하신 가형께서 고향인 금산 쇠머리(우두)에다가 여생의 보금자리로 삼을 집을 짓고 계신다. 나는 여러 가지 일로 금산엘 자주 가는 편인데 가형을 아는 사람들을 만나면 꼭 받는 질문이 “자네 형, 집 다 지...
    Date2013.01.25 By무적 Views5932
    Read More
  6. 제115화 : 도가니1

    제115화 : 도가니 충격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도가니』는 공지영 작가의 소설(2009년) 「도가니」를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이 영화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한 청각장애학교에 새로 부임한 미술교사가 교장과 교사들에게 학대당하던 아이들을 위해 진실을 ...
    Date2013.01.18 By무적 Views4984
    Read More
  7. 제114화 : 신기한 호칭들1

    제114화 : 신기한 호칭들 70억의 인구가 얽히고설켜 살고 있는 우리 지구상에는 가족관계도 그만큼 얽히고설켜 호칭문제가 무척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친족의 호칭도 어렵지만 사돈집과 관련된 호칭은 생각하기도 싫게 복잡하여 각자가 그때...
    Date2013.01.11 By무적 Views5721
    Read More
  8. 제113화 : 쪽지예산1

    제113화 : 쪽지예산 지난 2012년 12월 19일에 치러진 우리나라의 제18대 대통령선거는 출마자들의 선거공약이 거의 엇비슷하여 결국 보수의 준비된 대통령론과 진보개혁의 정권교체론이 마지막 키워드였다. 이에 민주통합당 선거대책대본부는 국민의 60%가 정...
    Date2013.01.06 By무적 Views4676
    Read More
  9. 제112화 : 흥이야항이야1

    제112화 : 흥이야항이야 어제(2011.08.24.) 치러진 서울시의 무상급식에 대한 주민투표는 우리 전라도지역이나 내가 직접 관여된 일도 아니기에 내가 흥이야항이야 할 것도 없지만 그래도 가만히 보고만 있는 것도 따지기 좋아하는 나의 성격(?)에 맞지 않아 ...
    Date2013.01.02 By무적 Views4534
    Read More
  10. 제111화 : 경우가 바르다?1

    제111화 : 경우가 바르다? 한창 혈기 왕성한 젊은 사람을 보고 “그 삶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참 점잖다!”라고 했다면 이 말은 어법에 맞는 말일까, 맞지 않는 말일까? ‘젊잖다’는 ‘젊지 않다’에서 변형된 말이지만 ‘점잖다’로 써야 맞기에 위의 경우(境遇)는 ...
    Date2012.12.27 By무적 Views6470
    Read More
  11. 제110화 : 깨단하다1

    제110화 : 깨단하다 『우리가 보통 70까지 산다고 가정할 때, TV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약 7년이고, 잠자는 데 23년 정도, 일하는 데 26년, 양치질하고 씻고 화장실 가는 데 약 3년 반, 그리고 화내는 시간은 약 2년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면 웃는 시간은 얼마...
    Date2012.12.24 By무적 Views4747
    Read More
  12. 제109화 : ‘맞히다’와 ‘맞추다’1

    제109화 : ‘맞히다’와 ‘맞추다’ 스포츠가 전 국민의 취미생활로 자리 잡은 지가 꽤 오래 되었다. 스포츠를 즐기는 방법으로는 동호회 등을 결성하여 직접 경기에 임하여 땀을 흘리는 경우와 프로 선수들의 수준 높은 경기를 관람하는 경우가 있다. (불과 100여...
    Date2012.12.17 By무적 Views56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