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85화 : 깨끼

by 달인 posted Aug 0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85: 깨끼

 

 

예전에도 그랬지만 요즘에도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는 말 중에 아직도 왜 그렇게 사용되는지가 의문인 것 중 하나가 쌀을 판다라는 문장이다.

통상적인 사다팔다라는 단어의 의미를 적용시키면 값()을 주고 쌀을

사면 쌀을 산다라고 해야 맞는데 왜 쌀을 판다고 할까?

(이런 현상은 쌀이나 보리, 콩 등 일부 몇 가지 곡물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채소 등 다른 농산물에는 잘 사용되지 않음)

나는 이것이 궁금하여 인터넷을 검색해 보았더니 여러 가지 설이 난무하고 있다.

. 쌀을 팔 수 있는 사람은 대지주인 양반들인데 상인을 천시 여기는 이들이 상인처럼 쌀을 판다고 할 수 없어 반대로 산다고 했다는 설,

농경사회에서는 쌀을 생산하는 농토로 그 부의 정도가 측정되는바 농토가 없어 쌀을 사야만 하는 가난을 조상들에게 안 보여주기 위하여 판다고 했다는 설,

곡물을 생산하는 농민의 입장에서 반어적으로 사용된 관습어라는 등 등 등.

이 모든 설들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은 되지만 뭔가가 부족하다.

 

그래서 나름대로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했으나 나의 능력으로는 어림없는 일이었다. 단지 사다라는 단어의 뜻이 아래와 같이 가진 것을 팔아 돈으로 바꾸다.’는 의미가 있다는 것만 새로이 알았을 뿐.

사다 : 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이나 권리를 자기 것으로 만들다.

가진 것을 팔아 돈으로 바꾸다.

(‘사다라는 단어는 다른 뜻이 많으나 주제와 관련된 것만 발췌함)

통상적으로 사다라는 행위는 위 뜻과 같이 (돈으로) 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으로 이해하는 우리에게 뜻는 뜻밖이었다.

이 뜻에 대해서 조금만 더 언급하면

예전, 화폐가 통용되기 전의 모든 거래는 물물교환의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때는 사다라는 개념과 팔다라는 개념이 없고 바꾸다라는 개념만 존재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거래의 매개체인 화폐()가 등장하고부터는 이라는 개념과 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그렇지만 화폐()는 극히 일부분의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난한 우리 농민들은 여전히 자기가 생산한 쌀이나 기타 곡물을 화폐 대신 사용하였을 것인데 그런 농민들이 사용한 것이 쌀 등 기타 곡물이었을 것이다. 이라는 것은 요즈음에는 엄격한 법의 보호를 받으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지폐나 동전으로 발권된 것을 의미하지만, 예전에는 맞교환할 물건 그 자체를 이라고도 했던 것 같다.(나의 생각이므로 믿거나 말거나이다)

 

그럼 팔다에도 우리가 모르는 뜻이 숨어 있을까?

팔다 : 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를 남에게 넘기거나 노력 따위를 제 공하다. 돈을 주고 곡식을 사다.

(‘팔다라는 단어도 다른 뜻이 많으나 주제와 관련된 것만 발췌함)

새로 알게 된 뜻가 오늘의 의문을 해결해 주었다.

팔다라는 단어에는 돈을 주고 곡식을 사는 것이라는 뜻도 있었는데 내가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 팔다라는 단어에 이런 뜻이 있다는 것을 알고서 위의 쌀을 판다라는 표현을 했을 리는 만무하고 반대로 쌀을 판다라는 관습어 때문에 팔다라는 단어에 그런 뜻을 늦게나마 부여했겠지만 어쨌든 나의 의문이 풀린 것은 다행이었다.

 

그래서 이제 쌀을 판다는 것에 대해서 콩팔칠팔 따지지 말고 쌀의 의미만 짚어보고 이야기를 마치자.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의 은 단순히 밥(음식)을 해 먹는 여러 가지 곡물 중의 하나가 아닌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곡식이다. , 부의 크기를 의미하는 천석꾼이나 만석꾼은 일 년에 쌀을 거두어들이는 량을 나타낸 말이며, ‘독이 비었다에서의 쌀독을 의미하며 그 쌀독이 비었다는 것은 곧 가난함을 의미하는 말이다.

보릿고개나 피고개를 어렵게 넘어온 우리네가 가을에 수확한 벼를 찧어 쌀독에 가득히 채워 놓으면 왜 그리도 마음이 풍족했는고!

우리 고향에서도 벼농사를 짓지 아니한 가정에서는 초겨울에 첫김을 생산하여 팔면 제일 먼저 장만한 것도 쌀이었으니 쌀은 바로 우리의 생명 그것이었으리라.

 

요즈음에는 필요에 따라 Kg 단위로 포대에 담겨있는 쌀을 그때그때 사서(팔아서) 먹지만 예전에는 싸전에서 말이나 되로 사서(팔아서) 먹었다.

싸전 주인이 말질이나 되질을 할 때, 인심이 후한 사람이라면 조금 고봉(高捧)으로 할 터이지만, 대부분의 장사하는 사람은 이익을 많이 남기기 위해 깨끼로 할 것이 분명할 터.

그래서 말질이나 되질을 할 때 정확한 량을 재기 위하여 만든 기구가 있으니 그게 바로 ()미레라고 한다.

또한 정확한 량을 잰다는 것은 파는 사람이나 사는 사람에게 모두 공평한 것이니, 그렇게 하는 의미의 ()미리치다를 함께 소개한다.

 

콩팔칠팔 - 갈피를 잡을 수 없도록 마구 지껄이는 모양. 하찮은 일을 가지고 시비조로 캐묻고 따지는 모양.

()미레 - 말이나 되에 곡식을 담고 그 위를 평평하게 밀어 고르게 하는데 쓰는 방망이 모양의 기구.

()미리치다 - 고르게 하다. 또는 평등하게 하다.

깨끼 - 곡식을 되질하거나 그릇에 밥 등을 담을 때에, 수북이 담지 않고 전과 수평으로 담는 방법.

 

  • ?
    달인 2012.08.06 14:39

    추위보다는 더위를 좀 더 견딜 수 있다고 생각한 내가

    정부의 에너지 시책에 따라(?) 집에서는 에어컨을 켜지 않던 내가

    어제는 에어컨을 켰다.

    낮에는 손님이 와서, 밤에는 잠을 깊게 잘 수가 없어서!

    덕분에 하루 종일 콧물이 나를 괴롭힌다.

    한참 잠잠하던 비염이 에어컨 바람에 화가 났나보다.

    나보고 어쩌란 말이냐 더위야 어쩌란 말이냐!!!!!

  • ?
    ^&^ 2012.08.08 08:16

    Happy Birthday to You ~!

    Facebook 에서 알려 줍디다

    즐거운 날, 기쁜 날 되시고,

    행복 하시옵기를......옵빠 ㅎㅎㅎ~

  • ?
    달인 2012.08.09 09:28

    Facebook이 빠르긴 하지만

    음과 양을 구별 못하는 멍청이라서.......

     

    암튼 감사합니다, 춘깡님!

?

  1. 제96화 : 조쌀하다2

    제96화 : 조쌀하다 세계에서 여성이 대권을 잡은 경우는 얼마나 될까? 철의 여인이라고 불렸던 영국의 대처 수상을 필두로 하여 독일과 뉴질랜드에서도 여성 수상이 정권을 잡았으며, 그 외에도 핀란드, 칠레, 아일랜드, 필리핀, 아르헨티나 등에 이어 작년에...
    Date2012.09.20 By달인 Views4381
    Read More
  2. 제95화 : 그리운 억만이 성!1

    제95화 : 그리운 억만이 성! 누구에게나 기억에 남는 책 한 권쯤은 있는 법이다. 하얗게 밤을 지새우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던 책. 주인공의 감정에 몰입되어 함께 웃다 울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며 아쉬움에 잠겼던 책. 그리하여 벅찬 감동으로 새벽을 ...
    Date2012.09.14 By달인 Views4009
    Read More
  3. 제94화 : 삼가다1

    제94화 : 삼가다 우리나라의 최대 여객운수회사는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차량대수 1,214대에 종업원 2,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금호고속이다. 금호고속은 창업주인 고 박인천 님께서 1948년에 트럭을 개조하여 광주여객이라는 상호로 사업을 시작하였다는데...
    Date2012.09.11 By달인 Views3974
    Read More
  4. 제93화 : 무릿매1

    제93화 : 무릿매 1970년대 초반에 채 20살이 못된 시골의 젊은 청춘들은 낮에는 집안 일로 바빴지만 혼자의 시간인 밤에는 무엇을 하며 젊은 혈기를 억눌렀을까? 밤이 짧은 봄이나 여름, 가을철에는 역기와 아령으로 근육을 단련시키는 등 육체미운동으로 하루...
    Date2012.09.07 By달인 Views3633
    Read More
  5. 제92화 : 모지랑이1

    제92화 : 모지랑이 아주 가끔씩 빛바랜 앨범을 들추어 보면, 많지는 않지만 어렸을 때 찍은 흑백사진들이 나를 미소 짓게 한다. 그런 사진 중에 압권인 것은 내가 중학교 1학년 때, 큰 누나의 결혼기념으로 우리 5남매가 당시의 쇠머리 우리 집 마당에서 함께 ...
    Date2012.09.04 By달인 Views3855
    Read More
  6. 제91화 : 쪼다1

    제91화 : 쪼다 「조금은 어리석고 모자라 제 구실을 못한 사람」을 ‘쪼다 같은 사람’ 또는 줄여서 그냥 ‘쪼다’라고 한다. 이 말의 어원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장수왕의 아들인 조다(助多)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잘 알다시피 장수왕...
    Date2012.08.30 By달인 Views3925
    Read More
  7. 제90화 : 발등걸이1

    제90화 : 발등걸이 지난 런던 올림픽에서 사상 처음 동메달을 딴 축구팀의 박종우 선수가 일본을 이기고 동메달을 땄다는 감격에 도취하여 관중석에서 던져준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피켓을 들고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겠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그...
    Date2012.08.23 By달인 Views3712
    Read More
  8. 제89화 : 반기1

    제89화 : 반기 큰집 제사에 다녀오신 엄마가 내놓은 떡과 쌀밥을 맛있게 먹던 녀석이 문득 엄마에게 묻는다. “엄마, 제사가 뭐야?” “후손들이 돌아가신 조상의 은덕을 잊지 않고 기리는 것이란다.” “왜 제사를 지낼 때는 떡도 하고 쌀밥을 하는 거야?” “돌아가...
    Date2012.08.20 By달인 Views3575
    Read More
  9. 제88화 : 흔전만전1

    제88화 : 흔전만전 가진 것도 없고 많이 배우지도 못한 우리 대부분의 서민들은 흥청망청 쓸 돈은 없지만 그래도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예의범절 내지는 공중도덕은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부와 권력을 손에 쥔 부모를 둔 일부 얼빠진 놈들(절대 그...
    Date2012.08.17 By달인 Views4592
    Read More
  10. 제87화 : 검정새치1

    제87화 : 검정새치 현대를 무한경쟁시대라고 한다. 학교에서만이 아닌 직장(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적자생존(適者生存)의 원칙이 적용된다. 그러면 이러한 경쟁시대에서 어떠한 사람이 이기게 되는가? 물론 통상적으로는 자신의 부단한 노력을 ...
    Date2012.08.13 By달인 Views3749
    Read More
  11. 제86화 : 내 별명이 ‘김따져!’1

    제86화 : 내 별명이 ‘김따져!’ 어디에선가 「걱정」에 대해서 읽은 내용이다. 70%는 일어나지도 않을 일에 대한 걱정이요, 20%는 걱정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닌 걱정이요, 단지 10%만이 진정 걱정해야 할 걱정이라고. 나는 내가 생각해도 조금은 심하다고 ...
    Date2012.08.09 By달인 Views3609
    Read More
  12. 제85화 : 깨끼3

    제85화 : 깨끼 예전에도 그랬지만 요즘에도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는 말 중에 아직도 왜 그렇게 사용되는지가 의문인 것 중 하나가 ‘쌀을 판다’라는 문장이다. 통상적인 ‘사다’와 ‘팔다’라는 단어의 의미를 적용시키면 값(돈)을 주고 쌀을 사면 ‘쌀을 산다’라고...
    Date2012.08.06 By달인 Views36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