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69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05: 반드시와 반듯이

 

 

 

단골레(혹은 당골레)처럼 새살도 좋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말을 잘 하거나 입담이 좋은 사람을 가리키는 속담이다.

단골레무당(=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의 전라도 사투리이고, 새살다른 사람에게 잔소리를 하거나, 어떤 사정을 길게 늘어놓는 일을 뜻하는 전라도 사투리이니 위 속담을 표준말로 바꾸면 무당처럼 말도 (조리 있게) 잘 한다쯤 될까?

 

그런데 단골레라는 말은 어디에서 온 말인가?

단골에서 왔단다.

그럼 단골은 무엇인가?

표준국어사전에서는 단골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단골 : 늘 정해 놓고 거래를 하는 곳. 단골손님

 

위와 같은 단골의 본래 의미는 무당이었다고 한다.

무당을 찾는 사람들은 자기가 신뢰하는 한 무당만을 찾기 때문에 늘 정해 놓고 찾는 무당이라는 의미가 단골에 생겨났다.

여기에서 또 파생하여 늘 정해 놓고 찾는 사람또는 늘 정해 놓고 찾는 곳이라는 뜻으로 확대됐다.

또한 단골 메뉴에서 보듯 단골늘 정해 놓은 것이라는 의미도 있다.

 

나는 오래 전부터 다니고 있는 단골이발소가 있는데 그 이발소의 입장에서는 내가 단골손님인 것이다.

내가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로 이사 온 날이 1995831일이니 그 이발소가 내 단골이 된지도 벌써 15년이 넘었다.

나이가 나와 같고 고향이 벌교라는 뚱뚱한 몸매의 이발사는 일반 이발소가 아닌 목욕탕에 달린 이발소를 운영하는데 그 목욕탕이 다른 사람에게 팔려 버리면 계약 기간에 불구하고 다른 목욕탕과 다시 계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땅한 장소가 얼른 물색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장소가 나올 때까지는 다른 목욕탕의 이발소에 곁붙어서 영업을 하였으니 우리 같은 단골은 아무리 멀어도 단골 이발사가 임시로 영업하고 있는 곳으로 이발을 하러 다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만 했는데 그 횟수가 그리 많지는 않았다.

다행히 최근에는 그 이발사가 우리 집 근처의 목욕탕 이발소로 옮겨와서 나는 목욕과 이발을 가까운 목욕탕에서 할 수 있는 행운(?)을 누리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호사다마라고나 할까? 이런 행운에도 내 마음에 조금 안타까운 것이 있으니 그게 바로 반듯이란 단어의 잘못쓰임이다.

무슨 말인고 하니, 그 목욕탕 안으로 들어가면

탕에 들어갈 때는 반듯이 몸을 씻고 들어가십시오.라는 문구가 쓰여 있는데 그게 어법에 맞지 않아 나의 눈에 거슬린다는 것이다.

하여 목욕탕 주인에게

이 문장에서는 반듯이가 아니라 반드시로 써야 맞습니다.”라고 설명하면서 고칠 것을 당부했지만 아직까지 고쳐지지 않고 있다.

집에서 가깝고 단골 이발사가 있어 다니고 있는 목욕탕을 어법에 맞지 않는 단어가 하나 쓰여 있다는 이유만으로 아니 갈 수도 없어 나로서는 참 고민이다. 그렇다고 갈 때마다 눈에 거슬리는 그 단어를 보고 있을 수도 없기에 다시 한 번 주인에게 고쳐 쓰라고 간곡히 부탁해 봐야겠다.

 

반드시 - 틀림없이 꼭.

반듯이 - 작은 물체, 또는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생김새가 아담하고 말끔하게.

 

  • ?
    무적 2011.01.24 14:58

     

    눈이 오다가 해가 뜨다가를 반복하는

    참 짖궂은 날씨다.

    춥지나 말아야 할 것인데

    내일부터는 또 추워진다니 .........

     

    그렇다고 웅크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아자, 아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을 찾아서(제120화 : 이름과 별명) 1 file 무적 2011.03.02 3492
120 우리말을 찾아서(제119화 : 우리말 바루기) 1 file 무적 2011.02.28 3045
119 우리말을 찾아서(제118화 : 백조의 애환) 2 file 무적 2011.02.25 4232
118 우리말을 찾아서(제117화 : 가즈럽다) 3 file 무적 2011.02.23 3462
117 우리말을 찾아서(제116화 : 호락질) 1 file 무적 2011.02.19 3020
116 우리말을 찾아서(제115화 : 남사당패) 1 file 무적 2011.02.16 3088
115 우리말을 찾아서(제114화 : 께끼다) 3 file 무적 2011.02.14 4039
114 우리말을 찾아서(제113화 : 자리매김) 1 file 무적 2011.02.11 3079
113 우리말을 찾아서(제112화 : 경우가 바르다?) 1 file 무적 2011.02.08 4706
112 우리말을 찾아서(제111화 : 님비현상과 임비현상) 3 file 무적 2011.02.07 3684
1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0화 : 어느 팀이 이길지 맞춰봐라?) 1 file 무적 2011.02.01 3110
1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9화 : 흰소리와 신소리) 1 file 무적 2011.01.31 3647
109 우리말을 찾아서(제108화 : 톺다) 1 file 무적 2011.01.28 2928
108 우리말을 찾아서(제107화 : 그리운 억만이 성!) 3 file 무적 2011.01.26 3491
107 우리말을 찾아서(제106화 : 삼가다) 7 file 무적 2011.01.25 2941
» 우리말을 찾아서(제105화 : 반드시와 반듯이) 1 file 무적 2011.01.24 3696
105 우리말을 찾아서(제104화 : 구멍 난 솥이나 냄비 때워!) 1 file 무적 2011.01.21 3634
104 우리말을 찾아서(제103화 : 날마다 둔벙치로) 1 file 무적 2011.01.19 3188
103 우리말을 찾아서(제102화 : 애물단지) 1 file 무적 2011.01.18 3962
102 우리말을 찾아서(제101화 : 쪼다?) 1 file 무적 2011.01.17 30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