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706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12: 경우가 바르다?

 

 

한창 혈기 왕성한 젊은 사람을 보고 그 삶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참 젊잖다!”라고 했다면 이 말은 맞는 말일까, 맞지 않는 말일까?

젊잖다젊지 않다에서 변형된 말이지만 점잖다로 써야 맞다.

점잖다는 늙었다는 뜻이 아닌 언행이나 태도가 의젓하고 신중하다. 품격이 꽤 높고 고상하다. 는 뜻을 가진 형용사이다. 또한 명사형은 점잔이고.

, 점잖은 사람은 위의 뜻 말고도 얌전하고 착실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경우가 밝아 해야 될 일은 꼭 하지만 해서는 아니 될 일은 결코 하지 않는다.

 

나는 위에서 경우가 밝다라는 문구를 썼는데, 또 이 말은 어법에 맞는 말일까 아닐까?

 

경우가 바르다경위가 바르다모두 쓸 수 있습니다.

경우(境遇)’라는 말은 사리나 도리를 뜻하여, ‘그는 늘 경우가 밝다. 경우에 어긋나는 행동은 하지 마라. 그처럼 경우가 바른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처럼 쓰입니다.

경우(境遇)’경위(涇渭)’와 뜻의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적절히 쓰면 됩니다.

또한 경우(境遇)’놓여 있는 조건이나 놓이게 된 형편, 사정을 뜻하기도 하여 만일의 경우, 대개의 경우, 어려운 경우에 처하다처럼 쓰이기도 합니다.

 

한편, 사리의 옳고 그름이나 이러하고 저러함에 대한 분별경위(涇渭)’라고 합니다. ‘경위가 밝다, 경위가 분명하다, 경위를 따지다, 경위가 바르다. 에서의 경위입니다.

중국의 징수이(涇水, 경수) 강의 강물은 흐리고 웨이수이(渭水, 위수) 강의 강물은 맑아 뚜렷이 구별된다는 데에서 나온 말입니다.

 

또한, 경위(‘經緯)’라는 단어도 있습니다.

이것은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일이 진전되어 온 경로나 경과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해서 앞서 말한 경위(涇渭)와 다소 혼선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 경위나 들어봅시다.’어떻게 해서 이리 되었는지 경위나 알아봅시다.’처럼 씁니다.

그러나 이 두 말은 소리는 같지만 어원상으로 다른 말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위 글 중 「 」로 묶은 글은 경우가 바르다경위가 바르다중 어느 것이 맞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해설을 인터넷에서 발췌해서 나름대로 알기 쉽게(?)편집한 것이지만 헷갈리기는 매한가지.

그래서 어떤 경우(境遇)경우(境遇)’를 쓰고 또 어떤 경우(境遇)경위(涇渭)를 쓰는지는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적절히 쓰면 된다고 하니 너무 따지지 말자.

 

경우(境遇) - 사리나 도리. 놓여 있는 조건이나 놓이게 된 형편, 사정.

경위(涇渭) - 사리의 옳고 그름이나 이러하고 저러함에 대한 분별. 중국의 경수(涇水) 강의 강물은 흐리고 위수(渭水) 강의 강물은 맑아 뚜렷이 구별 된다는 데에서 나온 말이다.

경위(經緯) -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일이 진행되 어 온 과정.

매한가지 - 결국 서로 같음.

 

  • ?
    무적 2011.02.08 17:45

     

    너무 따지지 말고 아무거나 쓰라고????

     

    나의 별명 중 하나인 "김따져"가 무색하게

    글의 맺음이 요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을 찾아서(제120화 : 이름과 별명) 1 file 무적 2011.03.02 3492
120 우리말을 찾아서(제119화 : 우리말 바루기) 1 file 무적 2011.02.28 3045
119 우리말을 찾아서(제118화 : 백조의 애환) 2 file 무적 2011.02.25 4232
118 우리말을 찾아서(제117화 : 가즈럽다) 3 file 무적 2011.02.23 3462
117 우리말을 찾아서(제116화 : 호락질) 1 file 무적 2011.02.19 3020
116 우리말을 찾아서(제115화 : 남사당패) 1 file 무적 2011.02.16 3088
115 우리말을 찾아서(제114화 : 께끼다) 3 file 무적 2011.02.14 4039
114 우리말을 찾아서(제113화 : 자리매김) 1 file 무적 2011.02.11 3079
» 우리말을 찾아서(제112화 : 경우가 바르다?) 1 file 무적 2011.02.08 4706
112 우리말을 찾아서(제111화 : 님비현상과 임비현상) 3 file 무적 2011.02.07 3684
1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0화 : 어느 팀이 이길지 맞춰봐라?) 1 file 무적 2011.02.01 3110
1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9화 : 흰소리와 신소리) 1 file 무적 2011.01.31 3647
109 우리말을 찾아서(제108화 : 톺다) 1 file 무적 2011.01.28 2928
108 우리말을 찾아서(제107화 : 그리운 억만이 성!) 3 file 무적 2011.01.26 3491
107 우리말을 찾아서(제106화 : 삼가다) 7 file 무적 2011.01.25 2941
106 우리말을 찾아서(제105화 : 반드시와 반듯이) 1 file 무적 2011.01.24 3696
105 우리말을 찾아서(제104화 : 구멍 난 솥이나 냄비 때워!) 1 file 무적 2011.01.21 3634
104 우리말을 찾아서(제103화 : 날마다 둔벙치로) 1 file 무적 2011.01.19 3188
103 우리말을 찾아서(제102화 : 애물단지) 1 file 무적 2011.01.18 3962
102 우리말을 찾아서(제101화 : 쪼다?) 1 file 무적 2011.01.17 30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