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241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3: 고랑+두둑=이랑

 

 

작년에는 가을 가뭄으로 고구마가 크기를 멈췄다고 하더니 올해는 비가 너무 많아 고구마 밑이 잘 들지 않았다고 한다. 고구마를 주식으로 삼았던 어린 시절을 겪어서 고구마를 심고 수확하는 과정을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던 나도 고구마가 이렇게 가뭄과 장마의 영향을 많이 받는지는 미처 몰랐다.

아무래도 직접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 짓는 농사를 곁에서 거들어줄 뿐이었던 나인지라 농사와 가뭄과 비에 대한 역학관계를 직접 피부로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리라!

 

이른 봄에 방안의 두지(뒤주의 사투리)에 쌓여 있는 고구마에서는 저절로 움이 터 나오는데, 그 때 즈음에 우리 부모들은 그 고구마를 밭에 심어 고구마 순을 기른다. 그 심는 밭을 무강밭이라 하였고 그 심는 행위를 무강 논다또는 무강 심는다라고 하였다.(참고 : 경상남도 남해에서는 고구마를 무강이라고 한다)

무강밭에서 움은 봄날의 따뜻한 햇볕과 양분을 먹으면서 고구마 밭으로 옮겨 심어질 그날만을 기다리며 너울너울 넝쿨을 이루며 잘 자라고 있다. 이렇게 자라고 있는 것을 고구마 순이라고 한다.

 

이른 여름.

이모작을 하는 밭의 보리를 베어내고 쟁기질을 하여 이랑을 만들어 두었다가 비가 오면 우리는 고구마를 심는다.

잘 자란 고구마 순을 약 20~30cm 정도로 심기 좋게 잘라 이미 만들어 놓은 밭의 두둑에다 심으면 뿌리식물인 이 고구마는 엔간한 가뭄에도 잘 견디면서(?)초가을에 우리에게 맛있는 햇고구마를 선사하는 것이다.

여름 방학이 끝날 즈음에 밭두둑의 잘 자라 얽히고설킨 고구마 순을 헤쳐 보면 두둑이 쩍 갈라진 곳이 있는데 그 곳을 허브면(하비면의 사투리) 어김없이 어린 학생들의 주먹만 한 고무마가 크고 있었다.

 

그로부터 한 달여가 지난 10월 중순 쯤 되면 본격적인 고구마 캐기가 시작되는데 이 고구마 캐기는 손포가 많이 필요해 품앗이로 일을 한다.

전날에 두둑의 고구마 순을 다 걷어 내고 당일에는 쟁기질로 고구마를 캐는데 쟁기가 지나간 자리에는 갖가지 모양의 크고 작은 고구마들이 주렁주렁 뒹굴고 그 뒤를 따르는 엄마들이 고구마를 주워 한 곳에 모으는 것이다. 이렇게 모아진 고구마는 가을 및 겨울의 식용으로 사용할 것과 절간고구마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구분되어 식용으로 사용될 것은 집으로 운반되고 나머지는 빼갱이로 만들어 진다.

 

한편, 고구마 순을 길러내고 난 무강은 양분이 전부 빠져나가 사람이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쪄서(삶아서) 대부분 돼지 사료로 이용되었으나 어쩌다가 하나씩은 먹을 수도 있었는데  역시나 양분이 전부 빠져 나간 그 무강의 맛은 새삼 여기에서 말 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 또한 고구마 순은 꼴이 나지 않은 겨울에 소의 좋은 먹이로  사용된다.

 

고구마 관련 기사를 보고는 고무마를 심고 캐는 일이야 우리 금산 사람들에게는 새삼 설명할 필요도 없지만 위의 소제목인 고랑, 이랑 두둑과 기타 관련된 우리말을 소개하고자 주저리주저리 몇 자 적었다.

 

거웃 - 논이나 밭을 쟁기로 갈아 넘긴 골. 또는 그것을 세는 단위.

고랑 - 두둑한 땅과 땅 사이에 길고 좁게 들어간 곳.

두둑 - 밭과 밭 사이에 길을 내려고 흙으로 쌓아 올린 언덕. 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타서 만든 두두룩한 바닥. 물갈이에는 두 거웃이 한 두둑이고, 마른갈이나 밭에서는 네 거웃이 한 두둑이다.

이랑 - 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그것을 세는 단위.

사래 - 이랑의 길이.(재 넘어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뇨).

사래 - 묘지기나 마름이 수고의 대가로 부쳐 먹는 논밭.

손포 - 일할 사람. 일할 양.

품앗이 - 힘든 일을 거들어 주어서 서로 품을 지고 갚고 하는 일.

품 갚다 - 자기가 앗았던 품을 갚음으로 상대자에게 품을 제공하다.

품 앗다 - 자기가 제공한 품의 갚음으로 상대자의 품을 받다.

하비다 - 손톱이나 날카로운 물건 따위로 조금 긁어 파다. 남의 결점을 드러내어 헐뜯다. 아픈 마음을 자극하다.

  • ?
    무적 2010.10.29 17:45

    저번 일요일.

     

    딸네미가 누구네 밭에 가서 고구마 캐는 일을 도와주고

    그 품삯(?)으로 고구마를 조금 가져왔다.

     

    엄마, 고구마는 어떻게 심어? 쪼개서 심어?

     

    감자는  눈이 하나씩 있게 쪼개서 심지만

    고구마는 이렇게 심는단다 하고 이 글을 보여 줬다.

     

    누구를 탓할 수도 없는 현실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우리말을 찾아서(제60화 : 가을운동회) 1 file 무적 2010.11.18 2097
60 우리말을 찾아서(제59화 : 새치기) 1 file 무적 2010.11.17 2091
59 우리말을 찾아서(제58화 : 살피꽃밭) 1 file 무적 2010.11.15 2188
58 우리말을 찾아서(제57화 : 그 시절, 그 놀이) 1 file 무적 2010.11.14 1929
57 우리말을 찾아서(제56화 : 새해를 시작하면서) 1 무적 2010.11.13 1998
56 우리말을 찾아서(제55화 : 잔다리밟다) 1 무적 2010.11.12 2531
55 우리말을 찾아서(제54화 : 아람) 2 file 무적 2010.11.11 2299
54 우미말을 찾아서(제53화 : 감 잡았나요?) 1 무적 2010.11.10 2590
53 우리말을 찾아서(제52화 : 의암송) 2 무적 2010.11.09 2045
52 우리말을 찾아서(제51화 : 윷놀이) 2 무적 2010.11.08 2934
51 우리말을 찾아서(제50화 : 고락) 2 무적 2010.11.06 1950
50 아름다운 우리말(제49화 : 좋은 것 같아요) 1 무적 2010.11.05 2397
49 우리말을 찾아서(제48화 : 데면데면하다) 2 무적 2010.11.04 2415
48 우미말을 찾아서(제47화 : 애면글면) 1 무적 2010.11.03 2559
47 우리말을 찾아서(제46화 : 성냥노리) 1 무적 2010.11.03 2615
46 우리말을 찾아서(제45화 : 자빡 2) 1 무적 2010.11.01 2293
45 우리말을 찾아서(제44화 : 자빡 1) 3 무적 2010.10.30 2478
» 우리말을 찾아서(제43화 : 고랑+두둑=이랑) 1 무적 2010.10.29 3241
43 우리말을 찾아서(제42화 : 을씨년스럽다) 1 무적 2010.10.28 2614
42 우리말을 찾아서(제41화 : 쌍둥이는?) 1 무적 2010.10.26 263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