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009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9 : 대궁

 

 

나의 경우, 어린 시절 이야기의 밑바탕에는 거의가 가난이라는 주제가 흐르는 것 같다.

어디 나뿐이랴!

35년간(흔히들 일제치하를 36년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그 치욕을 잊지 말자는 뜻으로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기간을 과장해서 쓴 것이다, 정확히는 경술국치일인 1910829일부터 해방일인 1945815일까지이니 35년이 맞다)의 일제의 식민지하에서 수탈당하고, 또  6.25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전쟁으로  폐허가 된 국토를 일구느라 가난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네 부모 세대의  사람들 중 밥이라도 양껏 먹을 수 있었던 사람이 몇 명이나 되었을까?

그래도 한반도의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우리 거금도의 섬사람들 중에서 굶어 죽었다는 사람의 이야기는 못 들었으니 그것은 이라는 특산품이 주었던 천혜의 혜택이었나 보다.

 

그 어려웠던 시절, 우리들은 남의 집에 손님으로 가면 밥을 다 먹지 말고 조금 남겨라.’라고 교육받았다.

그 이유인즉, 뜻하지 않는 손님이라도 오는 날이면 부엌에서 식사를 준비한 사람의 밥은 없단다. 식구 수에 꼭 맞게 밥을 지었기 때문이다.

그러면 식사를 준비한 그 사람은 다음 식사 때까지 굶을 수밖에 없을 터.

 

그래서 남의 집에 뜻하지 않게 손님으로 가기 되면 자기가 먹던 밥을 남겨 부엌에서 일하는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우리네의 삶의 냄새가 흠뻑 풍기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렇게 먹다가 남기는 그 밥을 대궁이라고 한다.

 

대궁 - 먹다가 그릇에 남긴 밥.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냥 위와 같이만 풀이되어 있는데, 가난했지만 남을 배려하는 옛 조상들의 따뜻한 마음이 깃든 단어이기에 올리면서, 아울러 기왕 이야기의 주제가 남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으로 흘렀기에 몇 년 전의 베스트셀러였던 위즈덤 하우스가 쓴 (마음을 움직이는 힘)배려라는 책의 소개말을 올리니 이 좋은 가을날에 독서삼매에 빠져보는 것도 영혼을 살찌우는 한 방법이 아닌가 한다.

 

<책 소개말>

 

주인공 ''는 수석으로 입사하여 회사 내에서 고속 승진을 계속하던 인물이다. 그런데 갑자기 정리대상으로 지목받는 프로젝트 1팀으로 발령을 받으면서 혼란에 빠진다. 거기다 그를 못 견뎌하며 집을 나간 아내는 이혼서류를 보내온다. "왜 나에게만 이런 일이 생긴 거지? 난 열심히 살아온 사람이야. 이건 너무 부당해..."

 

어느 날 갑자기 닥쳐온 혼란스런 상황 앞에서

과연 어떻게 자기 자신을 극복하고 새로운 인생의 길을 발견한 것인가?

늘 승승장구하던 그에게는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일까?

11층에서 만난 '인도자'가 그에게 준 카드의 키워드는 무엇일까?

 

이 책은 너와 내가 경쟁하는 삶이 아니라, 함께 배려하며 사는 삶이야말로 진정한 공존의 길임을 보여주는 한국형 자기계발 우화다.

주인공 는 앞만 보고 무작정 달려온 현대인의 상징이다.

가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을 통해 혼자만 잘사는 세상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행복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배울 수 있다. 또한 내가 먼저 베풀며 나누는 삶이 주는 감동도 느낄 수 있다.

 

TAG •
  • ?
    무적 2010.09.13 18:24

    그 무더웠던 여름 날씨도 자연의 섭리로 물러가고

     

    아침 저녁의 날씨가 제법  시원한 초가을입니다.

     

    이제 또 두어 달 후이면 겨울이 올 것이라는 것을 모르는  우리 국민이 없을 터인데

     

    앞으로 약 100여년 후에는 우리나라 기후가 아열대로 바뀌어

     

    겨울이 없어진다는 뉴스를 접하니  아찔하군요!

     

    어떻게 어떻게?????해야만이 그런 날을 조금이라도 늦출 수 있는 건지

     

    다 함께 고민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우리말을 찾아서(제21화 : 보꾹) 2 file 무적 2010.10.01 4571
20 우리말을 찾아서(제20화 : 방망이) 1 무적 2010.09.30 2434
19 우리말을 찾아서(제19화 : 발맘발맘) 3 무적 2010.09.29 3082
18 우리말을 찾아서(제18화 : 반살미) 1 file 무적 2010.09.28 2108
17 우리말을 찾아서(제17화 : 물수제비) 1 file 무적 2010.09.27 4934
16 우리말을 찾아서(제16화 : 민낯) 1 무적 2010.09.21 2173
15 우리말을 찾아서(제15화 : 모숨) 2 file 무적 2010.09.19 2002
14 우리말을 찾아서(제14화 : 모릿줄) 2 file 무적 2010.09.18 2852
13 우리말을 찾아서(제13화 : 감똥?) 1 file 무적 2010.09.17 2461
12 우리말을 찾아서(제12화 : 망고) 3 무적 2010.09.16 3037
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화 : 들메) 1 무적 2010.09.15 2147
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화 : 대우) 1 무적 2010.09.14 2310
» 우리말을 찾아서(제9화 : 대궁) 1 무적 2010.09.13 2009
8 우리말을 찾아서(제8화 : 쫀뱅이 낚시) 1 file 무적 2010.09.12 2642
7 우리말을 찾아서(제7화 : 고팽이) 4 file 무적 2010.09.10 2581
6 우리말을 찾아서(제6화 : 감풀) 3 무적 2010.09.09 2281
5 우리말을 찾아서(제5화 : 물질) 1 무적 2010.09.04 2634
4 우리말을 찾아서(제4화 : 희아리) 1 무적 2010.09.03 2424
3 우리말을 찾아서(제3화 : 가대기) 2 무적 2010.09.02 2759
2 우리말을 찾아서(제2화 : 마중물) 2 file 무적 2010.09.01 248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