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28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6 : 감풀

 

 

 

   

 

우리 금산 사람들은 거의가 바다를 생활의 근거지로 삼았기에 물때의 영향을 아니 받을 수 없어 물때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나도 바다와 바로 접해 있는 우두마을 출신이므로 어느 누구 못지않게 그 물때에 대해서는 잘 안다고 자부한다. (초살 열물, 초야드레 한조금, 보름 일곱물, 스무사흘 한조금, 그믐 일곱물 등 등 등)

바닷물이 들고 나는 현상을 조수라고 하는데 이 바닷물의 들고 남으로 인해 바닷물의 해수면이 높아지기도 하고 낮아지기도 한다. 이렇게 바닷물의 해수면이 가장 높아지는 때와 가장 낮아지는 때를 각각 만조와 간조라고 하는데 이 둘을 합하여 간만이라고 한다. 간만은 달의 인력이 지구에 미쳐 바닷물을 세게 끌어당겨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하루에 두 번 되풀이 된다.

또 이 만조와 간조의 높이차를 간만의 차 또는 조차(潮差)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의 간만의 차가 크고 동해안의 간만의 차는 작다는 것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한편, ‘물때아침저녁으로 밀물과 썰물이 들어오고 나가고 하는 때.를 말하는 것으로 이 물때를 안다는 것은 음력으로 며칟날은 몇 시에 간조가 되고 또 몇 시에 만조가 됨을 안다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이 물때가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금산의 경우 한 사리 때의 만조가 대략 오전 11~12시 사이가 되는데 서해안인 인천이나 동해안인 삼척 등은 다른 시간대가 된다.

 

각설하고,

내가 태어나서 자란 우리 금산(쇠머리)의 경우 여덟 물때(음력 초하루와 열엿새)나 아홉 물때에 바닷물이 제일 많이 나가는데 여름방학 때의 그 날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마을 사람들은 전부 바닷가로 나간다.

썰물이 저 멀리까지 빠져 나간 갯바닥에는 갯것들이 지천으로 널려 있어 바지락을 캐는 사람, 굴을 따는 사람, 게를 잡는 사람, 고둥이나 소라를 줍는 사람, 낚시를 하는 사람, 들자세(1)로 고기를 잡는 사람, 청각이나 우뭇가사리 등 해초를 뜯는 사람, 낚시질 미끼(갯지렁이)를 파는 사람, 낙지나 문어를 잡는 사람 등등 아주 갖가지 작업이 그 한없이 널려진(어린 마음에는 한없이 넓었다) 갯바닥에서 이루어지곤 하였던 것이다.

이럴 때 우린 꼬맹이(초등학교 소학년)들도

감풀(썰물 때에만 드러나 보이는 넓고 평평한 모래벌판)에서 다른 사람들이 잡은 갯것을 구경도 하며 밀물이 들어 올 때까지 뛰어 놀곤 하였다.

조금만 더 깊은 바다로 나가면 펄에서는 진질도 많이 자라고 있어 굵고 통통한 놈으로 팔에 안을 수 있을 만큼 캐어 집으로 가져와 잘 다듬어서 며칠 동안 말리면 꼬들꼬들해 지는데 그것은 우리들의 훌륭한 간식이 되었다.

짭조름하며 달짝지근한 그 진질의 맛을 지금의 무슨 맛에 비할까?

 

내 어느 날, 물때에 맞춰 고향에 가서 온 몸을 바닷물에 적셔가며 진질을 캐어 여러분에게 조금씩 나누어 줄 터이니 그 맛을 감상하시기 바란다.

 

한편 우리 마을의 작은 마을(우리는 거기를 진몰이라고 부른다) 앞은 개펄로 되어 있는데 썰물 때면 바닷물이 멀리까지 밀려나가 개펄이 넓게 변한다. 이렇게 썰물 때는 멀리까지 드러나는 개펄먼개라고 한다.

 

1 들자세 : 반두와 같은 모양으로 얕은 바다에서 손으로 밀어서 고기를 잡는 그물을 이름.

 

조수(潮水) : =미세기. 아침에 밀려들었다가 나가는 바닷물.

달의 인력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바닷물.

 

미세기 : 밀물과 썰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TAG •
  • ?
    무적 2010.09.09 18:36

    태풍이 지나가더니

     아침 저녁엔 제법 가을 냄새가 나네요.

     

    제주의 어느 돌담길엔

    키가 좀 작아 아쉬운 코스모스도  하늘거리더군요.

     

    이런 환절기엔 감기 조심이 최고?????????????????

  • ?
    지나가는 나그네 2010.10.08 15:13

    무적님 덕분에 우리말 공부 많이 하고 있습니다.

    참 좋은 공부방입니다. 이렇게 좋은 일을 하시니

    무어라 감사를 해야할지요?

     

    가물가물 기억이 떠오르며 향수를 느끼게 합니다.

     

    짭잘하고 달짝지근한 진질 맛 너무나 그립습니다.

    많이 씹어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바다에서 나는 산삼이 아니었을까요? 우리 몸에 아주 이로운

    "해초"라 생각되는군요.

    지금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있다면 옛날에 먹었던 그 맛이 그대로 있을지?

    아! 옛날이여!

     그 때 그 시절이 그리워집니다.

    혹시 통시까리를 아시는지요?

    그 것도 별미였는데....

     

     

    통시까리

  • ?
    무적 2010.10.08 23:53

    쇠머리 앞바다의 진질은 무성히 잘 자라더이다.

    짭조름한 그 맛도 예전 그대로이고요.

    단지 우리의 입맛이 인스탄드 식품에 길들여져

    그 향취를 느낄 수 없다는 것이 다르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통시까리는 무엇??????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우리말을 찾아서(제21화 : 보꾹) 2 file 무적 2010.10.01 4571
20 우리말을 찾아서(제20화 : 방망이) 1 무적 2010.09.30 2434
19 우리말을 찾아서(제19화 : 발맘발맘) 3 무적 2010.09.29 3082
18 우리말을 찾아서(제18화 : 반살미) 1 file 무적 2010.09.28 2108
17 우리말을 찾아서(제17화 : 물수제비) 1 file 무적 2010.09.27 4934
16 우리말을 찾아서(제16화 : 민낯) 1 무적 2010.09.21 2173
15 우리말을 찾아서(제15화 : 모숨) 2 file 무적 2010.09.19 2002
14 우리말을 찾아서(제14화 : 모릿줄) 2 file 무적 2010.09.18 2852
13 우리말을 찾아서(제13화 : 감똥?) 1 file 무적 2010.09.17 2461
12 우리말을 찾아서(제12화 : 망고) 3 무적 2010.09.16 3037
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화 : 들메) 1 무적 2010.09.15 2147
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화 : 대우) 1 무적 2010.09.14 2310
9 우리말을 찾아서(제9화 : 대궁) 1 무적 2010.09.13 2009
8 우리말을 찾아서(제8화 : 쫀뱅이 낚시) 1 file 무적 2010.09.12 2642
7 우리말을 찾아서(제7화 : 고팽이) 4 file 무적 2010.09.10 2581
» 우리말을 찾아서(제6화 : 감풀) 3 무적 2010.09.09 2281
5 우리말을 찾아서(제5화 : 물질) 1 무적 2010.09.04 2634
4 우리말을 찾아서(제4화 : 희아리) 1 무적 2010.09.03 2424
3 우리말을 찾아서(제3화 : 가대기) 2 무적 2010.09.02 2759
2 우리말을 찾아서(제2화 : 마중물) 2 file 무적 2010.09.01 248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