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3.01.18 09:41

동초제의 시조

조회 수 123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동초 김연수 명창 말년의 모습 = 판소리 학계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초를  셋으로나누어 전기 8명창, 후기 8명창, 근세 5명창 시대라 부른다.

    「흥부가」가운데 놀부가 제비 후리러가는 대목으로 유명한 권삼득(1771-1841), 가왕(歌王) 송흥록(순조-철종)과 동생 송광록(순조-헌종) 등이 전기 8명창에 속한다. 19세기 후반기는 판소리의 최전성기로 이때 활동했던 박유전, 박만순, 김세종, 이날치 등이 후기 8명창으로 불리운다.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는  봉건체제가  해체되고 국권 침탈이라는 민족적 비운에 처해진 시기인데 이때의 근세 5명창이 송만갑(1865-1939), 이동백(1866-1947), 김창룡(1871-1935), 유성준(1874-1949), 정정렬(1875-1938) 등이다.

    이들 근세 5명창마저 사라지고 급속한 서구문물의 유입으로 판소리가  자생력을 잃어가던 1940년부터 60년까지 명창 임방울(1905-1961)과 김연수(1907-1974)가 우리나라 판소리의 양대 기둥 역할을 했다.

    동초(東超) 김연수(金演洙)의 고향은 전남 고흥군 금산이다. 고흥은  다도해  해상공원 위에 마치 호리병처럼 떠 있는 조그마한 반도다. 고흥반도의 녹동항을  출발,  건너 뛰면 닿을 것처럼 가까이 있는 소록도를 오른쪽에 두고 배편으로 20여분 지나다보면 김연수의 고향이며 행정구역상 금산면으로 불리우는 거금도에 이르게 된다. 이 거금도의 한복판에 높이 592m의 적대봉이 솟아있다. 시조시인 노산 이은상은  김연수와 함께 「이충무공전」을 판소리로 만들기 위해 유적지를 둘러보려고  이곳에  들렀을 때 적대봉을 보고 당대 명창 동초가 태어난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며  그  자태에 탄복했다고 전해진다.

    동초 김연수는 이 거금도의 주산(主山)인 적대봉 아래에서 태어나 안산(案山)격인 앞산 용두봉 중턱에서 영욕의 세월을 뒤로 한 채 잠들어 있다. 김연수는 이 적대봉과 용두봉만큼이나 뚜렷한 업적을 판소리사에 남겼는데 그중 하나가 판소리 5바탕의 사설 정리고 다른 하나가 창극 발전이다.

    판소리는 구두전승(口頭傳承) 예술이다. 판소리에서는 서양음악처럼 일정한  악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소리꾼이 제자에게 입으로 전하고 마음으로 가르치는 구전심수(口傳心授)의 전통적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스승과 제자 자신이  악보나 다름없는 육보식교수법(肉譜式敎授法)이다. 이 교수법의 최대  단점은  인간의 기억에 의존하기에 일부 사설의 누락과 와전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노산 이은상은 이를 두고 '국악인들이 다만 창법의 기술만을 배워 익혔을  뿐이므로, 제 자신이 노래를 부르긴 하면서도 그 가사의 뜻을 알지 못한다. 그래서 가사의 내용이 불분명해지고, 다시 그것이 전하고 전할수록, 점점 더  괴상하게  되어서 마지막엔 주역(周易)보다도 더 풀기 어려운 야릇한 말이 되어버린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실정을 안타깝게 여겼던 이가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  1812-1884)로 그는 산만하게 전승되던 전기 8명창시대의 사설을 모아 「변강쇠가」를 포함한 판소리 6바탕의 사설을 정리해 후세에 전하게 했다. 그의 업적에 비견되는 것이 동초 김연수로 신재효본을 중심으로 각 판소리 유파별로 다양하게 발전해온 근세 5명창시대의 판소리 5바탕을 다시 집대성해 이를 5권의 사설집으로 출간한 것이다.  김연수는 소리꾼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어릴적 9년간 서당에 다니고 일제시대에 서울  중동중학교를 졸업한 지식인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연수는 뜻한 바 있어 29살의 늦은 나이에 `소리'에 정식 입문해  근세  5명창 중 한명인 유성준에게 「수궁가」, 송만갑에게 「흥보가」와 「심청가」,  정정렬에게 「적벽가」와 「춘향가」를 사사해 2년만에 판소리 5바탕을 모두 익히는  저력을 보였다. 그는 이에 그치지 않고 각 판소리 유파의 좋은 대목은 한데 모으고  장단과 가락을 다시 짜 자신의 호를 딴 `동초제'라는 독특한 또하나의 유파를 탄생시킨  것이다. 그의 덕에 `동초제' 사설은 다른 유파에 비해 정확하고 전체적인 구성이 짜임새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연수의 또다른 업적은 창극을 통한 판소리의 현대화다. 한학에 신식학문을 익힌 김연수는 소리공부 뒤에 연극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31살이 되던 1937년에 스승이었던 근세 5명창과 나란히 조선성악연구회 이사로 취임하고 그해에 이 연구회에서 직영하는 `조선창극좌' 대표로 선임됐다. 이후 39년에는 `조선창극단'  대표를 맡았으며 해방 되던 해에는 `김연수창극단', 50년에는 `우리국악단'을 조직하는  등 창극 발전에 남다른 열정을 쏟아 부었다. 김연수는 그뒤 대한국악원장을 두  차례나 역임하는 등 60년대까지 국악계를 총괄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하면서  판소리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동초제'의 시조 김연수. 그는 6.25 전란의 와중에서도 가재도구는  팽개친  채 전해오던 판소리 필사본과 자료만을 가지고 피난길에 오를만큼 판소리의 전승에  강한 집념을 보였다.

    지난 64년 중요무형문화재 5호인 판소리 예능보유자(춘향가)로  지정됐던  그가 말년에 다시 짜서 즐겨 불렀다는 `이산 저산'은 가사와 성음이 지닌 높은  품격면에서 출중한 가객으로서의 풍모를 엿보게 한다.

    ' 이산저산 꽃이 피면/ 산림풍경 너른들/ 만자천홍 그림병풍/ 앵가접무 좋은 풍류/ 세월간 줄을 모르게 되니/ 분명코 봄이로구나/ 봄은 찾아 왔건만은/ 세상사  쓸쓸하구나/ 나도 어제는 청춘일러니/ 오늘 백발 한심허구나/ 내청춘도 날 버리고/ 속절없이 가버렸으니/ 왔다갈 줄 아는 봄을/ 반겨헌들 쓸데 있나/ 봄아 왔다가 가랴거든 가거라/ 네가 가도 여름이 되면/ 녹음방초 승화시라/ 옛부터 일러 있고/  여름이 가고 가을이 된들/ 또한 경개 없을손가/ 한로상풍 요란해도/ 제  절개를  굽이잖는/ 황국단풍은 어떠하며/ 가을이 가고 겨울이 되면/ 낙목한천 찬바람에/  백설이  펄펄 휘날리어/ 월백설백 천지백허니/ 모도다 백발의 벗일레라/ 봄은 갔다가 연년이 오건마는/ 이내 청춘은 한 번 가고/ 다시 올 줄을 모르네그려/ 어화 세상 벗님네들/  인생이 비록 백 년을 산대도/ 인수순약 격석화요 공수래 공수거를/  짐작허시는  이가 몇몇인고/ 노세 젊어 놀아 늙어지면는 못노느니라/ 놀아도 너무 허망히 허면/  늙어지면 후회되리니/ 바쁠 때 일허고 한가할 때 틈타서/ 이렇듯 친구 벗님 모아  앉어/ 한 잔 더먹소 덜먹소 허여가며/ 헐 일을 허면서 놀아보자'    

(고흥=연합뉴스) 전성옥기자sungok@yonhapnews.co.kr
?

동초 김연수

김연수(金演洙, 1907-1974)는 전남 고흥군 금산면에서 태어나 20세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이다.

  1. 여수MBC 특별기획 다큐, '명창 김연수' 재조명

    [특집다큐] "소리를 하라 하시오" (판소리 동초제 시조 김연수) *제작/방송: 2013.11.25.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제자 오정숙에게 소리를 전수 한, 불꽃처럼 살다 간 판소리 동초제의 시조 동초(東超) 김연수(金演洙). 전남(고흥군 금산면 대흥리) 출신의 판소...
    Date2017.09.19 Views746
    Read More
  2. [음악듣기] 단가 '이산저산'

    이산 저산 꽃이 피면 산림풍경 너른 곳 만자천홍 그림병풍 앵가접무 좋은 풍류 세월 간 줄얼 모르게 되니 분명코 봄일러라 봄은 찾어 왔건마는 세상사 쓸쓸하더라 나도 이제는 청춘일러니 오늘 백발 한심쿠나 내 청춘도 날 버리고 속절없이 가버렸으니 왔다 ...
    Date2005.10.16 Views11177
    Read More
  3. 김연수와 동초제 판소리의 계승자들

    김연수와 동초제 판소리의 계승자들/ 최동현 군산대교수 첨부파일 pdf참고dongcho_sori.pdf
    Date2004.12.16 Views11247
    Read More
  4. 동초제 판소리보존회 고흥군지부 창립

    지난 4일 오후 3시 30분, 고흥종합문화회관에서 500여 객석을 가득 메운 가운데 '동초제 판소리보존회 고흥군지부 창립기념식'을 가졌다. ▲ 동초제 판소리보존회 고흥군지부 창립기념 공연 ⓒ2003 김성철 진종근 고흥군수는 축사에서 "동초 김연수 선생의 유지...
    Date2003.07.08 Views10201
    Read More
  5. '나 죽으면 선생님 발 밑에 묻어주오' 여제자 명창이 토하는 사부가(師父歌)

    "나 죽으면 선생님 발 밑에 묻어주오" 여제자 명창이 토하는 사부가(師父歌) [동행취재] 오정숙 명창과 동초(東超) 김연수의 사랑 ▲ '동초'의 '동'자만 나와도 눈시울을 붉히는 오정숙 명창. ⓒ2003 오마이뉴스 조호진 "선생님, 선생님 우리 선생님… 못난 제자 ...
    Date2003.04.07 Views11321
    Read More
  6. 동초제 오정숙/맑은결로 치솟는 현대적판소리

    ◎다섯마당 완창한 최초 여명창/가사문학성 중시… 정확한 사설·정교한 너름새가 특징 ○김연수소리 한평생 터질만큼 가득찬 한이 곰삭으면 그 심연에선 투명한 관능이 출렁거린다. 우리 민족은 자정할 수 없는 한을 낯선 강에 띄우고 역사의 바다에 동참한다. 우...
    Date2003.01.19 Views9920
    Read More
  7. 김연수의 고흥선산/창극통해 판소리 현대적 접목(국민일보 1994-04-30)

    김연수의 고흥선산/창극통해 판소리 현대적 접목(국민일보 1994-04-30) 동편제의 우람한 소리와 서편제의 아련한 소리등 판소리의 여러 바디를 정교하게 다시 짜 「동초제」를 형성한 동초 김연수명창. 신재효이후 판소리 다섯바탕의 사설을 정리,판소리 음악...
    Date2003.01.19 Views12236
    Read More
  8. 28년간 동면해 온 김연수의 판소리 다섯바탕

    28년간 동면해 온 김연수의 판소리 다섯바탕 글/노재명(명인기획 대표) 1994년 4월, 지구레코드에서 박록주의 홍보가 음반이 27년만에 재발매되자 국악계에 큰 화제를 불러 일으켰고 귀명창들에게는 큰 기쁨을 안겨주었다. 그 동안 지구레코드의 희귀 명반들...
    Date2003.01.18 Views13027
    Read More
  9. 동초 김연수의 판소리 다섯마당 듣기 - 흥보가,적벽가,춘향가,심청가,수궁가1

    흥보가,적벽가,춘향가는 아직 cd 구입을 하지 못하고 심청가, 수궁가 두 장만 구했습니다.^^ 판소리는 다섯마당 모두 해당 제목을 누르시면 들을실 수 있습니다. ☆추천:흥보가 7번트랙 흥보가 밥을 먹는데~돈타령 흥보가 적벽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Date2003.01.18 Views19780
    Read More
  10. 바다에 젖은 애절한 가락-동초제 소리의 고향 금산2

    바다에 젖은 애절한 가락-동초제 소리의 고향 금산 유영대 / 전주 우석대 교수 자동차길로는 끄트머리인 우리나라의 최남단 고흥 녹동까지 갔었다. 가는 도중 줄곳 동초가 남기고 간 소리를 들었다. 그중에서도 그가 말년에 지은 단가「이산저산」이 계속하여...
    Date2003.01.18 Views10216
    Read More
  11. No Image

    사제(師弟)의 도(道)

    (고흥=연합뉴스) 전성옥기자= 유교 문화권인 우리나라에서는 스승과 제자 사이를 일컬어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라 한다. "임금과 스승, 아버지의 은혜는 다 같다"는 이 뜻 속에는 유교적 엄격함과 규율이 강하게 묻어 난다. 소리꾼 세계에서의 스승과 제자는 ...
    Date2003.01.18 Views8510
    Read More
  12. 동초제의 시조

    = 판소리 학계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초를 셋으로나누어 전기 8명창, 후기 8명창, 근세 5명창 시대라 부른다. 「흥부가」가운데 놀부가 제비 후리러가는 대목으로 유명한 권삼득(1771-1841), 가왕(歌王) 송흥록(순조-철종)과 동생 송광록(순조-헌종) 등이 전...
    Date2003.01.18 Views12335
    Read More
  13. 소리꾼과 당골

    (고흥=연합뉴스) 전성옥기자 = '그 사람 당골네 집안이야.' 명창 임방울과 소리판에서 쌍벽을 이뤘던 동초(東超) 김연수(金演洙 1907-1974)의 소리 내력을 더듬기 위해 그의 고향인 전남 고흥 앞바다 거금도(금산면)를 찾아갔을 때였다. 이 지방 노인들은 당대...
    Date2003.01.18 Views11069
    Read More
  14. 동초 김연수의 약력

    故 김연수 명창의 아호는 동초다. 그는 1907년 전남 고흥군 금산면 대흥리에서 태어났다. 그곳에서 14세까지 한학을 수학하였으나 뜻한 바 있어 서울로 올라와 <중동중학>에서 신학문을 하였고, 이로써 새로운 세계관에 눈 뜨게 되었다. 1935년 순천에 체류중...
    Date2003.01.18 Views118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