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942 추천 수 1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06: 삼가다

 

 

우리나라의 최대 여객운수회사는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차량대수 1,214대에 종업원 2,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금호고속이다.

금호고속은 창업주인 고 박인천 님께서 1948년에 트럭을 개조하여 광주여객이라는 상호로 사업을 시작하였다는데 현재의 정확한 회사명은 금호산업주식회사고속사업부이다.

회사의 연혁을 살펴보면 1967년부터 직행버스가 서울 노선을 뛰었고, 1973년부터 광주서울의 고속버스가 운행되었다고 한다.

별다른 큰 기업체가 없는 우리 남도지역에 전국에서 운수업으로는 첫손가락 꼽히는 금호산업이 있다는 것은 우리 남도인의 큰 자랑이자 긍지이다.

 

나는 1968년에 광주로 유학하면서 1년에 두 번의 방학 때만 고향엘 오갔는데 그때에는 광주녹동 노선에 광주여객과 금성여객 두 회사의 차가 운행되고 있었다. 헌데 소위 급행이라는 노선이(녹동에서 출발하면) 고흥, 과역, 벌교, 곡천, 사평, 화순을 경유해야 했으므로 차를 타는 시간만 5시간 이상이었다. 물론 차도도 비포장에 구불구불하여 차멀미를 하는 것은 기본이었고 오줌보가 터질 듯했던 일도 비일비재였다. 전에 다른 글에서 밝힌 적이 있듯이 실제로 오줌을 참지 못하여 달리는 버스 안에서 오줌을 싸버린 아주머니도 있었다.

 

그러니까 그때는 고향의 집에서 광주의 자취방까지 오려면 아침 8시에 배를 타야 했으며 녹동에서 10시에 버스를 타면 광주에 오후 3시경에 도착, 그리고 자취방까지 1시간여를 계산하면 총 소요 시간이 무려 8시간이 된 셈이다.

현재 건설 중에 있는 가칭 거금연륙교가 예정대로 내년 말에 개통이 된다면 광주의 집에서 고향의 우리 마을까지 승용차로 2시간 이내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니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승용차가 대중화된 요즘에는 나도 고향엘 갈 때에는 승용차를 이용하고 있으나 교육이나 출장으로 수원과 서울 등 장거리를 여행할 경우에는 열차와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때 이용하는 것이 바로 금호고속이다.

초창기의 일반고속버스보다 안락하게 여행을 할 수 있게 좌석수를 줄인 우등고속버스에서는 웬만한 TV프로그램도 시청할 수 있는데 막 출발하면서 들려주는 아래와 같은 안내방송이 내 기분을 상하게 한다.

우리 금호고속을 이용해 주셔서 (중략), 차안에서는 무엇무엇을 삼가하여 주시고 (하략)……

아마도 위 방송에서의 삼가하다삼가다를 잘못알고 사용하였을 것이다.

나는 관계자에게 전화로 위의 잘못을 지적을 해 줬는데 고쳐지지 않아 다시 회사의 게시판에도 글을 올렸는데도 아직까지 답이 없다.

 

이와 같이 삼가다삼가하다로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예는 수도 없이 많지만 그래도 회사홍보를 주관하는 부서가 별도로 있는 굴지의 재벌회사만큼은 정확하게 사용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금호산업주식회사고속사업부 예로 들었음을 밝히며 삼가다의 뜻과 사용 예문을 살펴보고 맺는다.

 

삼가다 :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말을 삼가다. 어른 앞에서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만용은 삼가는 게 좋을 것이다.

앞으로 수사 중인 사건에 관한 이야기는 삼가기로 하겠다.

입 속에 음식이 있을 때에는 되도록 말을 삼가며

꺼리는 마음으로 양()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아니하도록 하다.

술을 삼가다.

문밖출입을 삼가다

그는 건강을 위하여 담배를 삼가기로 했다.

 

2010년 겨울에

 

TAG •
  • ?
    무적 2011.01.25 17:07

    수지니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달숙이, 깡식이, 달깡님  땜에 올 겨울은 즐거웠습니다.

     

    그리고  까칠이, 까도남, 달인, 무저기로 불리우는

    저를 아는 모든 사람들 땜에 행복했습니다.

     

    모두들 감사합니다.

     

  • ?
    나그네 2011.01.25 21:40

    내가 알고 있는 무적님의 별명이 하나 빠진 것 같네요.

     

    바로 김따져!

     

    전국방송을 탄 '김따져'를 왜 넣지 않았을까?

  • ?
    무저기 2011.01.26 19:32
    나그네 님에게 달린 댓글

    누구다요, 나의 치부를 알고 있는 댁은?

     

    김삿갓도 아님시롱

    삿갓을 쓴 것맨키로 나그네는 무슨 나그네?

     

    하기사

    자주 오지 않고 이따금 오면

    나그네는 나그네제!

  • ?
    날지니 2011.01.26 15:30

    위문 차 왔습니다

     아프 지라?

    나도 아프요

    ㅎㅎㅎ~~

    어이쿠~ 숙이가 알면 또 놀림감이네

    함께 웃는 동안 모두가 다 즐거웠을 것입니다

     

    인생은 힘들면 힘들수록 웃음이 필요한것 아니겠습니까 ?

     

     

  • ?
    무적 2011.01.26 19:29

    아따메, 여그서 본께로 무쟈게 반갑구마라!

     

    무슨 바람이 불어서 여그까장.

     

    그나저나 돈은 준비했소?

     

    그 돈이 나와야제 설을 쇠겼는디.

     

     

  • ?
    알꺼요 2011.01.26 22:29

    ㅎㅎㅎ 춘천댁~~

    비~잉 하고 또 몰래와서 무적님을 만나고 있네그랴!

    음메~응큼한거~~ㅎㅎㅎ

    그래놓고 날 보고 나~중에 오라고?

    무적님 아프다 했더니

    머~어~~ 위문차?

    미운정도 정이라고 인정있다 했더니

    벼락같이 달려온 이유는 콩밭에 있었구마.ㅎㅎㅎ

    무적님 .

    미안허요. 여까지 와서...

    그나저나 통증엔 알콜이 최고라 하길레

    대문앞에 소주 열병 사다놓고 가요~~

     

     

     

  • ?
    구경꾼2 2011.01.28 12:45

    구경꾼이  팔도로 다니면서 재밋는

    구경을 다하는디.......

     

    이곳을 지나다 들렸드니  어디서

    마~니마니 본 사람들이라  무쟈게

    반갑소~~~~ㅎㅎㅎ

     

    날지니~깡식이 까도남 설 잘~쇠고~

    입춘 지나  날받어서 살풀이한번 하고

    오손도손 정답게 살어~~?  지발~~덕분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을 찾아서(제120화 : 이름과 별명) 1 file 무적 2011.03.02 3493
120 우리말을 찾아서(제119화 : 우리말 바루기) 1 file 무적 2011.02.28 3046
119 우리말을 찾아서(제118화 : 백조의 애환) 2 file 무적 2011.02.25 4233
118 우리말을 찾아서(제117화 : 가즈럽다) 3 file 무적 2011.02.23 3463
117 우리말을 찾아서(제116화 : 호락질) 1 file 무적 2011.02.19 3021
116 우리말을 찾아서(제115화 : 남사당패) 1 file 무적 2011.02.16 3089
115 우리말을 찾아서(제114화 : 께끼다) 3 file 무적 2011.02.14 4040
114 우리말을 찾아서(제113화 : 자리매김) 1 file 무적 2011.02.11 3080
113 우리말을 찾아서(제112화 : 경우가 바르다?) 1 file 무적 2011.02.08 4707
112 우리말을 찾아서(제111화 : 님비현상과 임비현상) 3 file 무적 2011.02.07 3685
1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0화 : 어느 팀이 이길지 맞춰봐라?) 1 file 무적 2011.02.01 3111
1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9화 : 흰소리와 신소리) 1 file 무적 2011.01.31 3648
109 우리말을 찾아서(제108화 : 톺다) 1 file 무적 2011.01.28 2929
108 우리말을 찾아서(제107화 : 그리운 억만이 성!) 3 file 무적 2011.01.26 3492
» 우리말을 찾아서(제106화 : 삼가다) 7 file 무적 2011.01.25 2942
106 우리말을 찾아서(제105화 : 반드시와 반듯이) 1 file 무적 2011.01.24 3697
105 우리말을 찾아서(제104화 : 구멍 난 솥이나 냄비 때워!) 1 file 무적 2011.01.21 3635
104 우리말을 찾아서(제103화 : 날마다 둔벙치로) 1 file 무적 2011.01.19 3189
103 우리말을 찾아서(제102화 : 애물단지) 1 file 무적 2011.01.18 3963
102 우리말을 찾아서(제101화 : 쪼다?) 1 file 무적 2011.01.17 304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