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47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 45 화 : 자빡(1)

 

 

1985년 어느 날.

중학교 시절부터 친하게 지냈으며, 나의 군 입대 송별연에도 참석했으나 그 이후 연락이 되지 않았던 친구가 내가 살고 있던 여수로 나를 찾아왔다.

나도 잘 알고 있는 간호사와 결혼한 사실은 풍문으로 들어 알고 있던 터라 안부를 물었더니 지금 미국에 가 있고 자기는 혼자 살고 있다는 것이다.

모처럼 만난 지라 그냥 보낼 수 없어 밤에 술을 마시면서 이런저런 지난 이야기를 나누다가 그가 마지막으로 꺼낸 이야기는 한마디로 나보고 은행대출 보증을 서 달라는 것이다.

광주 백운동에다가 애완용 동물을 취급하는 가게를 내는데 돈이 부족하단다.

처음으로 받은 부탁이라 매정하게 뿌리칠 수가 없어 보증을 서 주었고 그 가게의 개업식에도 참석하여 축하하여 주었는데.........

 

그러고는 몇 개월이나 지났을까?

보증을 선 사실을 까마득히 잊고 광주세무서로 전근해서 근무하고 있는데 은행에서 독촉장이 날라 왔다. 원금 ****원 9개월 미납이자 ****원 합계 *****원. 언제까지 갚지 아니하면 월급에 압류하겠다는.

그 친구에게 연락을 해 보니 연락이 안 된다.

다른 친구들에게 이리저리 수소문을 해 봐도 연락이 안 되는 것은 마찬가지.

나중에 알고 보니 계획적으로 접근하여 여러 친구들에게 사기를 친 것이다. 물론 그 가게는 우리를 홀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고.

 

결국 마누라에게 욕을 바가지로 먹고 넣고 있던 적금을 해약하여 보증 빚을 갚았는데 결국 그런 일로 인하여 그 친구는 영원히 우리 동창들에게 나타나지 못하고 있는데, 지금도 내가 생각하는 그 친구보다 더 나쁜 녀석은 자기가 그 친구에게 당했던 사기를 나에게 전가시킨 그 은행원 녀석이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그 은행원 녀석도 그 친구에게 나와 똑 같은 사기를 당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그 친구를 만나 다시 대출을 받아 자기가 보증을 선 금액을 상환하게 하고 그 보증의무를 나에게로 전가시킨 것이다.

 

뭐 나의 개인적인, 오래된 이야기를 그것도 자랑할 것도 아닌 내용을 여기에다 쓸 이유도 없지만 굳이 쓰는 이유는 이 글의 소제목인 ‘자빡’이란 단어를 소개하기 위해서다.

 

자빡 - 결정적인 거절.

자빡(을) 대다(치다) - 아주 딱 잘라 거절하다.

 

부디 여러분은 확실하지 않은 어려운 부탁에 대하여는 자빡을 쳐서 아이큐가 두 자리 수밖에 안된 나 같은 경우를 당하지 말지어다. 결국 돈 잃고 사람 잃은 경우를 당하게 될 터이니 말이다.

 

TAG •
  • ?
    무적 2010.10.30 18:42

    모처럼 아내와 단둘이서

    꽂게 축제가 열린다는 진도 끝머리까지 드라이브를 즐겼다.

     

    진도대교까지 가는 길은 목포를 경유하였고

    오는 길은  성전, 영암을 스쳐 지나는 여정이었다.

     

    진도대교는 제1교가 낡아서인지 제2대교가 새로운 위용을 자랑하였고

    오는 길은 4차선으로 잘 포장이 되어있었다.

     

    오메, 우리 금산까지는 언제 4차선으로

    또, 언제 거금대교로 가게 될꼬!!!!!!!!!!!!!!

  • ?
    처련 2010.10.31 13:45

    그러셨군요

    저 역시도 '자빡'에 어두워 한심한 경험이 있죠

    지금 생각하면 사회라는 무지에서 오는 크나큰 사건이 아니었나...

    30대 후반은 굴곡으로 점철된 역사려니 치부하고 말죠

    타관의 거금인들이 많이 겪어가는 일상이 아니련가요

    생활에서 오는 과정들을 우리말로 풀어 헤치니

    운치가 있고 하나하나 재밌군요  

     

    갓 밝이 :  새벽 동이 틀 무렵의 희끄무레한 상태

    검기울다 : 검은 기운이나 먹구름이 차차 퍼져서

                       해를 가리고 점점 어두워지다

    돋은별 : 해돋이 무렵 처음으로 솟아오르는 별

    돋을양지 : 돋을볕(햇귀)이 잘 드는 곳

    개밥바라기 : 해진뒤에 서쪽 하늘에 반짝이는 금성(太白星)

     

    대청봉의 가을은 한폭의 풍경화랍니다

    만추의 단풍을 즐기려는 여유로운 사람들로 인산인해며

    이곳저곳 온 산이 몸살을 앓고 있네요

    늘 건필하기를 비오며~ ~ ~

     

  • ?
    무적 2010.11.01 13:18

    조정래님께서 최근에 쓰신

     '허수아비춤'이라는 장편소설의 후기에서

    "이런 소설을 쓸 필요가 없는 세상을 소망하면서

    이번 소설을 썼다. 그러나 이런 소설이 완전히

    필요없게 될 세상은 오지않을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그 도정이 인간의 삶이고, 우리네 인생 아닐까?"

    라고 밝히고 있다. 

     

    그렇다.

    위 내가 겪었고  철현이가 겪었던 일들도

    영원히 우리가 감내해야 할 우리네 인생인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우리말을 찾아서(제60화 : 가을운동회) 1 file 무적 2010.11.18 2096
60 우리말을 찾아서(제59화 : 새치기) 1 file 무적 2010.11.17 2090
59 우리말을 찾아서(제58화 : 살피꽃밭) 1 file 무적 2010.11.15 2187
58 우리말을 찾아서(제57화 : 그 시절, 그 놀이) 1 file 무적 2010.11.14 1928
57 우리말을 찾아서(제56화 : 새해를 시작하면서) 1 무적 2010.11.13 1997
56 우리말을 찾아서(제55화 : 잔다리밟다) 1 무적 2010.11.12 2530
55 우리말을 찾아서(제54화 : 아람) 2 file 무적 2010.11.11 2298
54 우미말을 찾아서(제53화 : 감 잡았나요?) 1 무적 2010.11.10 2589
53 우리말을 찾아서(제52화 : 의암송) 2 무적 2010.11.09 2045
52 우리말을 찾아서(제51화 : 윷놀이) 2 무적 2010.11.08 2933
51 우리말을 찾아서(제50화 : 고락) 2 무적 2010.11.06 1949
50 아름다운 우리말(제49화 : 좋은 것 같아요) 1 무적 2010.11.05 2396
49 우리말을 찾아서(제48화 : 데면데면하다) 2 무적 2010.11.04 2414
48 우미말을 찾아서(제47화 : 애면글면) 1 무적 2010.11.03 2558
47 우리말을 찾아서(제46화 : 성냥노리) 1 무적 2010.11.03 2614
46 우리말을 찾아서(제45화 : 자빡 2) 1 무적 2010.11.01 2292
» 우리말을 찾아서(제44화 : 자빡 1) 3 무적 2010.10.30 2477
44 우리말을 찾아서(제43화 : 고랑+두둑=이랑) 1 무적 2010.10.29 3240
43 우리말을 찾아서(제42화 : 을씨년스럽다) 1 무적 2010.10.28 2613
42 우리말을 찾아서(제41화 : 쌍둥이는?) 1 무적 2010.10.26 2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