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41]

by 운영자 posted Jul 05,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토니오 이노키와 숙명의 첫 경기를 펼친 1960년은 아마도 일본 전후에 일본에 얽히고 설킨 문제들이 과포화 상태까지 다다른 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0년 5월 정치·경제·군사적으로 미국에의 일본 종속을 강화하는 미·일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학생들의 시위로 인해 도쿄대생 간바 미치코가 경찰과 충돌, 국회 안에서 사망했다. 그 뿐만 아니다. 일본 노동계의 미이케 투쟁, 일본 사회당 당수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 등 대형 사건이 신문을 도배했다.


pho_200606200846500501000005010100-001.jpg
↑ 안토니오 이노키는 프로레슬링 데뷔전을 나와 치렀다.
 이노키는 7분6초만에 패배 했다.
이후 나와 이노키는 수십차례에 걸쳐 숙명의 라이벌전을 치렀다.
사진은 1974년 10월10일 열렸던 경기였는데 난 이 경기서 이노키에게 처음으로 패배했다.



세계적으로는 로마올림픽이 열렸던 해였다. 또 존 F 케네디가 미대통령에 당선됐고 컬러 텔레비전이 처음으로 판매됐다. 컬러 TV 시판은 프로레슬링 흥행의 신호탄이나 다름 없었다.
 
스승 역도산은 이런 일본 사회의 변화를 읽고 사업 수단에 활용했다. 스승은 레슬러 뿐만 아니라 프로듀서로서도 재능을 펼쳤다. 프로 레슬러로서 거친 싸움 노선을 폈던 스승은 자신과 다른 유형의 젊은 레슬러들을 경쟁시켜 누가 경쟁에서 이길지 흥미롭게 지켜 보며 그들을 혹독하게 훈련시켰다.
 
마침내 1960년 9월30일 도쿄 다이토 체육관에서 그것을 테스트하는 경기가 치러졌다. 이날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은 훗날 일본 레슬링의 판도를 좌지우지 했던 레슬러들이었다.
 
그때 난 이노키와 숙명의 한판 대결을 벌였다. 이노키는 스피드와 투지가 넘쳤지만 레슬링 입문 겨우 6개월에 지나지 않아 기술은 약간 떨어졌다. 공이 울리자 그는 나의 허리를 휘감았다. 그러나 별로 위력적이지 않았다.
 
난 재빨리 빠져나와 역기술을 시도하며 그의 허리를 잡았다. 그에게 다리 걸기를 시도 매트에 눕힌 후 위에서 눌렀다. 이노키의 거친 숨소리라 귓가에 들렸다. 그는 '이얍'하는 기합 소리를 내면서 투지를 불살랐다.
 
그의 눈빛이 내가 선배가 아니고 링에서 쓰러뜨려야 하는 대상으로 바뀌는 것 같았다. 나의 누르기에서 빠져 나온 그는 팔 꺾기를 시도했다. 경기는 엎치락 뒤치락 했다. 난 경기를 일찍 끝낼 수 있었지만 일부러 경기를 좀 더 끌었다.
 
그는 첫 시합이라 노련미가 역시 떨어졌다. 마치 곡예사처럼 튕기기만 할 뿐 본격적인 기술은 하나도 없었다. 거기다가 시간이 지나니 박력도 없어졌다. 이노키와의 첫 대결은 시합이라기 보다는 사나이들의 의지를 건 결투를 스승이 테스트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격정·흥분·광포·아수라장으로 대비되는 레슬링 시합과는 달랐다. 이노키는 어깨 부딪치기를 감행하며 힘을 썼다. 그것이 먹혀 들지 않자 곧 때리고 발로 차면서 나를 화나게 했지만, 나는 맞아도 흥분하지 않았다.
 
난 힘을 낭비하는 밀어치기는 사용하지 않았다. 착실히 정공법으로 기회를 노렸다. 마침내 이노키 허점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가 지쳐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그를 집중공격했다. 보디슬램·꺾기·당수를 날리면서 정신없게 만들었다.
 
그의 기력이 한계가 왔음을 느꼈다. 난 그의 몸을 덮쳤다. 심판의 카운터에 그는 몸을 밀치지 못했다. 7분6초만에 나의 승리이자 이노키의 패배였다. 매트에서 일어난 이노키는 머리를 절래 절래 흔들었다.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과 같았다.
 
나 역시 첫 경기에서 패했을 때 얼마나 낙담했는지 그 기분을 알 것 같았다. 우린 거의 동시에 라커로 들어갔다. 이노키는 별말이 없었다. 난 그에게 다가가 "잘 싸웠다"며 악수를 건넸지만 그는 '픽'웃고만 말았다. 그날 경기에는 또 한명의 전설적인 레슬러가 데뷔전을 치렀다. 키 216㎝. 올드팬들에게 낯익은 얼굴일게다. <계속> 

 

TAG •
?

  1.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35]

     여자가 많다는 것은 사실이다. 남자에게 여자가 많다는 것은 듣기에 따라 좋을 수도 또 나쁠 수도 있다. 나의 경우에는 어디에 포함되는지 모르지만 나 역시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있었다.   좋은 것을 굳이 말하자면 동료들의 부러움 대상이랄까? 항상 여자...
    Views2095
    Read More
  2. No Image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36]

     1959년 말쯤 되었다. 이름은 기억나지 않았지만 미국 선수와 일전을 앞두고 있었다. 내가 세계적 선수로 발돋움할 것인가, 국내(일본)용 선수로 머물 것인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한판이었다. 스승 역도산은 반드시 이겨야 한다며 훈련을 독려했다. 난 그 경...
    Views2214
    Read More
  3. No Image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37]

     링에 오르면 상대방과 눈싸움을 벌인다. 그 눈을 보면 경기에 이길 것인가, 질 것인가 승패를 예측할 수 있다. 나의 눈은 이미 초점이 흐려져 있었다. 평소 같으면 이글거렸던 눈은 그날 따라 동태눈이 되었다.   '땡'하는 공이 울렸다. 그는 맹수처럼 덤벼...
    Views2182
    Read More
  4.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38]

     그의 인상은 특이했다. 얼굴이 컸고, 서구적으로 생겼다. 또 턱이 길어 처음 보아도 그의 인상은 머리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체격은 좋았다. 어깨는 떡 벌어졌지만 너무 말라 바람 불면 금방이라도 넘어질 것 같았다. ↑ 역도산 문하생으로 입문한 안토니오...
    Views2413
    Read More
  5.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39]

     안토니오 이노키는 운동 선수가 지녀야 할 체격 조건을 다 갖췄다. 일반적으로 체격이 좋으면 몸의 유연성이 떨어지지만 이노키는 그렇지 않았다. 유연성·순발력·민첩성, 거기에다 파워까지 막강했다.   스승 역도산은 처음부터 이노키에게 프로레슬링 기술...
    Views2361
    Read More
  6.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40]

     안토니오 이노키는 타고난 프로레슬러였다. 프로레슬링에 입문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남들 1년만에 익힐 기술을 수개월도 되지 않아 습득했다. 스승 역도산이 한가지 기술을 가르켜 주면 이노키는 두가지를 소화하고 또 응용할 줄도 알았다. ↑ 지난 2월말 ...
    Views6076
    Read More
  7.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41]

     안토니오 이노키와 숙명의 첫 경기를 펼친 1960년은 아마도 일본 전후에 일본에 얽히고 설킨 문제들이 과포화 상태까지 다다른 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60년 5월 정치·경제·군사적으로 미국에의 일본 종속을 강화하는 미·일 안보 조약에 반대하는...
    Views32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