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43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제96화 : 쌀을 판다?

 

 

예전에도 그랬지만 요즘에도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는 말 중에 아직도 왜 그렇게 사용되는지가 의문인 것 중 하나가 ‘쌀을 판다’이었다.

왜 돈을 주고 쌀을 사는데도 ‘쌀을 판다’고 했을까?

(이런 현상은 쌀이나 보리, 콩 등 일부 몇 가지 곡물에게만 적용되는 것으로 채소 등 다른 농산물에는 잘 사용되지 않음)

나도 이 점이 궁금하여 인터넷을 검색해 보았더니 여러 가지 설이 난무하고 있다.

즉. 쌀을 팔 수 있는 사람은 대지주인 양반들인데 상인을 천시 여기는 이들이 상인처럼 쌀을 판다고 할 수 없어 반대로 산다고 했다는 설,

쌀을 사야만 하는 가난을 조상들에게 안 보여주기 위하여 판다고 했다는 설,

곡물을 생산하는 농민의 입장에서 반어적으로 사용된 관습어다는 등 등 등.

이 모든 설들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뭔가 부족하다.

 

그래서 나름대로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했으나 나의 능력으로는 어림없는 일이었다. 단지 ‘사다’라는 단어의 뜻이 아래와 같이 ‘가진 것을 팔아 돈으로 바꾸다.’는 의미가 있다는 것만 새로이 알았을 뿐.

사다 : ①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이나 권리를 자기 것으로 만들다.

②가진 것을 팔아 돈으로 바꾸다.

(‘사다’라는 단어는 다른 뜻이 많으나 주제와 관련된 것만 발췌함) 통상적으로 ‘사다’라는 것은 위 뜻①과 같이 「(돈으로) 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으로 이해하는 우리에게 뜻②는 뜻밖이었다.

이 뜻②에 대해서 조금만 더 언급하면

예전, 화폐가 통용되기 전의 모든 거래는 물물교환의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때에는 ‘사다’라는 개념과 ‘팔다’라는 개념이 없고 ‘바꾸다’라는 개념만 존재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거래의 매개체인 화폐(돈)가 등장하고부터는 ‘돈’이라는 개념과 ‘값’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이다.

그렇지만 화폐(돈)는 극히 일부분의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난한 우리 농민들은 여전히 자기가 생산한 쌀이나 기타 곡물을 화폐 대신 사용하였을 것인데 그 농민이 사용한 것이 쌀 등 기타 곡물이었을 것이다.

한편 ‘돈’이라는 것은 요즈음에는 엄격한 법의 보호를 받으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지폐나 동전으로 발권된 것을 의미하지만, 예전에는 맞교환할 물건 그 자체를 ‘돈’이라고도 했던 것 같다.(믿거나 말거나이다)

 

그럼 ‘팔다’에도 우리가 모르는 뜻이 숨어 있을까?

팔다 : ①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를 남에게 넘기거나 노력 따위를 제 공하다. ②돈을 주고 곡식을 사다.

(‘팔다’라는 단어도 다른 뜻이 많으나 주제와 관련된 것만 발췌함)

새로 알게 된 뜻②가 오늘의 의문을 해결해 주었다.

즉, ‘팔다’라는 단어에는 「돈을 주고 곡식을 사는 것」이라는 뜻도 있었는데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제 쌀을 판다는 것에 대해서 콩팔칠팔 따지지 말고 쌀의 의미만 짚어보고 이야기를 마치자.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의 ‘쌀’은 단순히 밥(음식)을 해 먹는 여러 가지 곡물 중의 하나가 아닌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곡식이다. 즉, 부의 크기를 의미하는 천석꾼이나 만석꾼은 일 년에 쌀을 거두어들이는 량을 나타낸 말이며, ‘독이 비었다’에서의 ‘독’은 ‘쌀독’을 의미하며 그 ‘쌀독이 비었다’는 것은 곧 가난함을 의미하는 말이다.

보릿고개나 피고개를 어렵게 넘어온 우리네가 가을에 수확한 벼를 찧어 쌀독에 가득히 채워 놓으면 왜 그리도 마음이 풍족했는고!

우리 금산에서 벼농사를 짓지 아니한 가정에서는 초겨울의 뻘벳김 해우를 팔면 제일 먼저 장만한 것도 쌀이었으니 쌀은 바로 우리의 생명 그것이었으리라.

 

요즈음에는 필요에 따라 Kg 단위로 포대에 담겨있는 쌀을 그때그때 사서(팔아서) 먹지만 예전에는 싸전에서 말이나 되로 사서(팔아서) 먹었다.

싸전 주인이 말질이나 되질을 할 때, 인심이 후한 사람이라면 조금 고봉(高捧)으로 할 터이지만, 대부분의 장사하는 사람은 이익을 많이 남기기 위해 깨끼로 할 것이 분명할 터.

그래서 말질이나 되질을 할 때 정확한 량을 재기 위하여 만든 기구가 있으니 그게 바로 ‘평(平)미레’라고 한다.

또한 정확한 량을 잰다는 것은 파는 사람이나 사는 사람에게 모두 공평한 것이니, 그렇게 하는 의미의 ‘평(平)미리치다’를 함께 소개한다.

 

콩팔칠팔 - ①갈피를 잡을 수 없도록 마구 지껄이는 모양. ②하찮은 일을 가지고 시비조로 캐묻고 따지는 모양.

평(平)미레 - 말이나 되에 곡식을 담고 그 위를 평평하게 밀어 고르게 하는데 쓰는 방망이 모양의 기구.

평(平)미리치다 - 고르게 하다. 또는 평등하게 하다.

깨끼 - 곡식을 되질하거나 그릇에 밥 등을 담을 때에, 수북이 담지 않고 전과 수평으로 담는 방법.

  • ?
    무적 2011.01.09 06:04

    고봉(高捧 : 곡식을 되질하거나 그릇에 밥 등을 담을 때에, 그릇의 전 위로 수북하게 담는 방법)의

    반대말인 '깨끼'가 표준어라는 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께끼' 표기하고선 사전에 없다는 이유만으로 사투리인 줄 알았는데.

    정확한 표기가  '깨끼'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 우리말을 찾아서(제100화 : “아부지 죽어부라고 해!”) 1 file 무적 2011.01.14 2732
100 우리말을 찾아서(제99화 : 나도 그래 봤으면!) 1 file 무적 2011.01.12 3297
99 우리말을 찾아서(제98화 : 검정새치) 1 file 무적 2011.01.11 3283
98 우리말을 찾아서(제97화 : 내 별명이 ‘김따져!’) 1 file 무적 2011.01.10 3499
» 우리말을 찾아서(제96화 : 쌀을 판다?) 1 file 무적 2011.01.09 5437
96 우리말을 찾아서(제95화 : 노우, 프로블렘!) 1 file 무적 2011.01.07 2776
95 우리말을 찾아서(제94화 : 주책이다?) 1 file 무적 2011.01.06 2249
94 우리말을 찾아서(제93화 : 하릅, 두습 그리고 ……) 1 file 무적 2011.01.05 3055
93 우리말을 찾아서(제92화 : 칠칠하지 못한 놈?) 1 file 무적 2011.01.04 2407
92 우리말을 찾아서(제91화 : 세 살 버릇 어쩐다고?) 1 file 무적 2011.01.03 2615
91 우리말을 찾아서(제90화 : 담배 이야기) 1 file 무적 2011.01.01 2006
90 우리말을 찾아서(제89화 : 소의 울음소리) 3 file 무적 2010.12.31 2794
89 우리말을 찾아서(제88화 : 나의 재테크 실력은?) 1 file 무적 2010.12.30 2028
88 우리말을 찾아서(제87화 : 얼싸절싸에 그런 뜻이!) 1 file 무적 2010.12.29 3136
87 우리말을 찾아서(제86화 : 홍두깨) 1 file 무적 2010.12.28 2078
86 우리말을 찾아서(제85화 : 지르신다) 1 file 무적 2010.12.23 2593
85 우리말을 찾아서(제84화 : 피에로와 각설이) 1 file 무적 2010.12.22 2295
84 우리말을 찾아서(제83화 : 워낭소리) 2 file 무적 2010.12.21 2630
83 우리말을 찾아서(제82화 : 장맞이) 1 file 무적 2010.12.20 1964
82 우리말을 찾아서(제81화 : 개차반) 1 file 무적 2010.12.17 26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