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407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92: 칠칠하지 못한 놈?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나무라면서 핀잔을 주는 말로

에이, 칠칠한 놈 같으니라고!” 아니면

에이, 칠칠하지 못한 놈 같으니라고!” 했다면

어느 문장이 올바른 문장인가?

물론 뒤의 문장이 맞다.

그 이유는 칠칠하다의 뜻이 아래와 같으니까 말이다.

칠칠하다 - 나무, , 머리털 따위가 잘 자라서 알차고 길다. 주접이 들 지 아니 하고 깨끗하고 단정하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 다. 터울이 잦지 아니하다.

, 위 풀이 의 뜻에 반하였기에 꾸지람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십진법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는 십()은 정상적이면서 완벽한 의미로 이해하고 그 아래 숫자인 칠(일곱)이나 팔(여덟)이 들어가는 단어는 뭔가 정상적인 것보다는 더 못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엄마 배속에서 열 달을 채 못 채우고 태어난 아이를 칠삭둥이나 팔삭둥이라고 하듯이 말이다.

그래서 칠칠하다의 사용 예를 살펴보았다.

의 경우 : 검고 칠칠한 머리

숲은 세월이 흐를수록 칠칠하고 무성해 졌다.

칠칠한 나물을 뜯으려고 깊은 산속으로 들어갔다.

의 경우 : 칠칠치 못한 속옷 차림

의 경우 : 칠칠하지 못한 사람.

그 사람만큼 칠칠하고 일새 바른 사람을 만나 본 적이 없다.

 

이렇게 사용 예를 직접 살펴보아도 칠칠하다가 긍정적으로 사용되면 문장이 어딘가 어색하게 느껴진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우리가 어떤 일을 조금만 잘못하거나 실수하면 어른들은 노상 칠칠맞은 놈이라고 나무랐기에 칠칠하다가 뭔가가 부족한 사람에게 쓰이는 단어라는 인식이 우리 의식에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을 쓰고 있노라니 갑자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렸던 피천득 선생님의 수필(제목은 생각이 나지 않는다)의 내용 중에 수필은 청자연적이다라는 글귀가 생각난다. 그리고 그 글은 이렇게 이어졌던가?

덕수궁 박물관에 청자연적이 하나 있었다. 내가 본 그 연적은 연꽃 모양으로 된 것으로, 똑 같이 생긴 꽃잎들이 정연히 달려 있었는데, 다만 그 중에 꽃잎 하나가 약간 꼬부라졌었다. 이 균형 속에 있는, 눈에 거슬리지 않는 파격이 수필인가 한다. 한 조각 연꽃잎을 옆으로 꼬부라지게 하기에는 마음의 여유를 필요로 한다.

 

과연 그랬을까?

어딘가 어색하게 느껴진 그 이유가 나에겐 여유가 없어서였을까?

무엇이든지 완벽을 추구하는 나의 편협한 의식이 나를 그렇게 생각하게 한 것이었을까?

그렇다면 곡고화과(曲高和寡)라고 곡이 높으면 화답하는 사람이 적다.’는 것을 왜 몰랐던가?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모이지 않는다.’는 이치를 왜 간과하였던가?

이제부터라도 나도 칠칠하지 못한 놈이라는 말을 더 좋아하는 여유를 갖고 싶다.

 

한편, 안절부절이 명사로 쓰이면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는 모양으로 풀이되는데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는 어떤 표현이 맞는가?

위 뜻풀이로만 보아서는 안절부절하다가 맞아야 되는데 그 반대로 안절부절못하다가 맞다고 하니 우리말이 어렵다는 것을 새삼 절감한다.

 

안절부절못하다 :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

 

  • ?
    무적 2011.01.04 17:48

    우리 전남 고흥군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늙은 곳이란다.

     

    무슨 말인고 하니,

    주민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고령자)으로

    고령인구 비율이 무려 32.04%라고 한다.

     

    지난 해 11월 말 기준 전체 인구는 7만 4천 명으로

    지난 10년 동안 30%나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2만 4천 명으로  20% 이상 늘었다고 한다.

     

    또한 독거 노인이 6,500가구에 이를 정도로

    홀로 사는 노인이 많기 때문에

    복지예산이 늘어 날 수 없는 구조라고 하면서

    고흥의 현재는 우리의 앞날을 비쳐보는 거울이라고 한다.

     

    우리의 고흥이 산수가 좋고 청정해역이라서

    장수고을로 꼽인다면 더 바랄 수 없이 좋은 일이지만

    산업시설이 빈약하여 먹고 살기 위한 방편으로

    젊은 사람들이 도시로 도시로 떠나간 듯하여 

    마음이 조금 무겁다.

     

    며칠 전에 '고흥경제인 연합회'가 발족했다.

    참여한 경제인이 100여 명에 불과해 아쉬움도 있었지만

    잘 발전하여 경제적으로도  살기 좋은 고흥을 만드는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 우리말을 찾아서(제100화 : “아부지 죽어부라고 해!”) 1 file 무적 2011.01.14 2732
100 우리말을 찾아서(제99화 : 나도 그래 봤으면!) 1 file 무적 2011.01.12 3297
99 우리말을 찾아서(제98화 : 검정새치) 1 file 무적 2011.01.11 3283
98 우리말을 찾아서(제97화 : 내 별명이 ‘김따져!’) 1 file 무적 2011.01.10 3499
97 우리말을 찾아서(제96화 : 쌀을 판다?) 1 file 무적 2011.01.09 5437
96 우리말을 찾아서(제95화 : 노우, 프로블렘!) 1 file 무적 2011.01.07 2776
95 우리말을 찾아서(제94화 : 주책이다?) 1 file 무적 2011.01.06 2249
94 우리말을 찾아서(제93화 : 하릅, 두습 그리고 ……) 1 file 무적 2011.01.05 3055
» 우리말을 찾아서(제92화 : 칠칠하지 못한 놈?) 1 file 무적 2011.01.04 2407
92 우리말을 찾아서(제91화 : 세 살 버릇 어쩐다고?) 1 file 무적 2011.01.03 2615
91 우리말을 찾아서(제90화 : 담배 이야기) 1 file 무적 2011.01.01 2006
90 우리말을 찾아서(제89화 : 소의 울음소리) 3 file 무적 2010.12.31 2794
89 우리말을 찾아서(제88화 : 나의 재테크 실력은?) 1 file 무적 2010.12.30 2028
88 우리말을 찾아서(제87화 : 얼싸절싸에 그런 뜻이!) 1 file 무적 2010.12.29 3136
87 우리말을 찾아서(제86화 : 홍두깨) 1 file 무적 2010.12.28 2078
86 우리말을 찾아서(제85화 : 지르신다) 1 file 무적 2010.12.23 2593
85 우리말을 찾아서(제84화 : 피에로와 각설이) 1 file 무적 2010.12.22 2295
84 우리말을 찾아서(제83화 : 워낭소리) 2 file 무적 2010.12.21 2630
83 우리말을 찾아서(제82화 : 장맞이) 1 file 무적 2010.12.20 1964
82 우리말을 찾아서(제81화 : 개차반) 1 file 무적 2010.12.17 268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