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비탈면 설계
- 지형·지질 및 주변환경과 녹지자연도를 고려한 자연훼손 최소화의 환경친화적 비탈면 설계 - 현장조사 및 시험결과를 통해 깎기, 쌓기 비탈면 및 터널 갱구비탈면 안정성 검토 - 불연속면 특성 및 노선주변 붕괴사례 종합분석에 의한 비탈면 경사 결정 - 장기적 안정성 확보와 현장지반조건에 적합한 비탈면 보호·보강공법 적용 - 비탈면의 계측 및 시공관리 대책수립 (1) 지반조사 및 분석
- 인접 지역 사례분석 - 지반설계정수 산정 - 불연속면 특성 분석 - 암반분류 및 평가 - 설계적용 지하수위 결정 (2) 비탈면 안정검토
- SEEP/W 해석 - SMR-NET 해석 - 평사투영해석 - 한계평형해석 - 낙석 및 낙반해석 - 연속체 및 내진해석 (3) 비탈면 정밀해석
- 비탈면파괴 확률해석 - 강우시 포화심도를 고려한 비탈면의 안정해석 - 절리를 고려한 불연속체 해석 (4) 비탈면 보강 및 보호공
- 경사완화, 보강대책 - 불연속체 수치해석 - 낙석, 낙반 대책수립 - 비탈면 계측 및 유지 관리계획 수립 (1) 쌓기 및 깎기 비탈면구간의 현장 지형조건과 대상지역에서 시행한 지반조사 및 실내시험 결과를 고려하여 본 비탈면 구간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사항을 선정 (2) 중점검토사항은 최소비탈면 기울기를 고려하여 안정성 확보와 동시에 깎기량과 용지확보가 최소화 되도록 검토 (3) 지반정수의 산정
- M.C.S 통계처리 (4) 강우시 지하수위 산정
- 침투에 의한 포화심도 결정 (5) 비탈면안정 신뢰도분석
- 파괴확률검토 - 과업구간 지질 분포 특성 분석 및 지질 구조 이상대 분포 현황 파악 - 정밀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및 시추공 영상촬영에 의한 암반상태 및 특성파악 - 지층분포 현황 및 지층 조성 상태 파악 - 지반설계 정수 도출에 필요한 공학적 특성 파악 (1) 거금터널 시점 및 종점구간
- STA.1+610~650에서 매우 큰 저속도 이상대가 관찰 - STA.1+670~720 구간은 풍화대가 매우 깊게 분포 - STA.1+790~800m, STA.1+840~850 구간은 작은 규모의 이상대가 나타남 (2) 북측 앵커리지구간
- 암반층(연암)에 해당하는 1200m/s 이상은 1.2~3.8m의 분포심도를 보임 -〉 풍화암선이나 기반암선이 지형변화와 일치하여 나타나고 있음 - 따라서 기반암의 표고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1) 거금터널 시점 및 종점 갱구부 비탈면
- 지층 상부는 느슨한 상태의 표토층이 존재하고 그 하부에 조밀한 상태의 풍화토가 분포함 - 기반암의 상부는 절리가 발달된 연암이 하부는 절리발달이 적고 신선한 경암이 분포함 (2) 제2깎기부
- 표토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의 층서로 구분되며, 풍화암까지의 깊이는 약 10m정도이며 하부 연암은 절리, 균열이 매우 발달되고 보통풍화 상태임 (3) 북측앵커리지
- 지층구성은 붕적토, 풍화토, 연암, 경암의 층서로 나타나며 연암은 절리가 발달되어 있고 보통풍화 상태이며 경암은 비교적 신선함 - 풍화암의 출현심도가 7.0~18.6m로 나타나는 등 지역별 기반암 출현심도차가 큼. - 기존 비탈면 현황조사를 통하여 과업구간의 비탈면 설계시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 - 비탈면 현황, 이력, 암종 및 절리면의 분포상태 등을 파악함으로써 조사계획 수립에 반영 - 기존 비탈면은 신설구간 및 시추조사 결과와는 달리 장기간에 걸쳐 풍화를 받은 상태로서 신설비탈면의 예상 풍화양상을 파악할 자료로 활용 - 조사장비 접근이 곤란한 구간에 대하여 절리면 특성 및 지층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설계에 활용 - 검토대상 : 거금도일주도로 시공사례, 인근비탈면 현장조사, 거금도 연육교(1단계) 가설공사 설계 과업구간과 같은 거금도 내의 일주도로 설계는 화강암질 편마암이 주된 기반암을 이루는 지역으로 본 설계 지역화 흡사한 암석물성치를 나타내고 있음 (1) 비탈면현황 및 비탈면해석 결과
- 거금도 일주도로 비탈면검토 사례를 분석한 결과 토사비탈면에 대해서 STABL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탈면해석을 실시하였고 암반비탈면에 대해서 평사투영해석을 시행하였음 - 토사 및 리핑 비탈면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암반비탈면은 일부 전도파괴 가능성을 제시하였음 (2) 분석결과 분석 - 인근지역은 화산암류와 화강암류가 주로 분포하고 있으나 본과업구간의 특성은 화강암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냄 (1) 기존 비탈면 파괴양상 및 원인조사
- 쐐기파괴 발생
- 단층대로 인한 파괴
- 차별풍화 및 낙석 (2) 기존 비탈면 경사확인
- 토사비탈면의 경사는 대부분 1:1.2 경사를 유지하고 있으나 비탈면의 높이가 5m 이상 분포는 일부지역에서 쇄굴현상이 발생하거나 우기시 토사 유실이 현저하게 발생 - 풍화암의 경사는 대부분 1:1.0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대체로 안정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일부 풍화암내의 암편이 일탈하여 낙석이 발생하기도 하기도 함 (3) 문제점
- 암반경사적용 - 일반구간 1 : 0.5, 파괴구간 1:0.7~1:1.0 적용 - 일부구간은 파쇄대 차별풍화로 인한 파괴(쐐기) 및 낙석 예상 - 대규모 붕적에 의한 절취시 붕락위험 (4) 고려사항
- 1:0.5~1:0.7적용(암반) - 비탈면 보호공법 적용 - 부분적 보강공법 적용 - 본 과업지역의 인근 비탈면은 대체로 1:0.5경사를 설정하고 있으나 붕괴가 발생하는 지역은 대체로 1:0.7내지 1:1.0으로 경사를 완화하여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음 - 낙석이 발생하는 구간에 대해 낙석방지망 및 낙석방지책을 설치 - 낙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대부분 낙석의 크기가 소규모로 나타남 (1) 토사비탈면 : 1:1.2(6m이상) 적용시 안정 (2) 암반비탈면
- 평사투영해석 : 1:0.5에서 쐐기파괴가 발생가능성 존재 - 한계평형해석 : 1:0.5에서 안정(FS = 1.53) (1) 인근지역의 비탈면에 낙석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전도파괴외 지역에도 일부 지역에도 나타나고 있으므로 낙석방지책은 대부분 높이 10m 이상의 비탈면에 설치하여야 함 (2) 낙석에 대한 안전성 해석시 낙석의 무게와 낙석에 대한 비탈면 높이를 고려하여 안전한 낙석방지책을 설치하여야 함 (3) 인접구간 설계사례, 기존비탈면분석, 대표깎기 비탈면 안정성해석결과를 종합/고려하여 적용방안 제시
- 토사 : 1.2이상에서 안전성을 나타내나 비탈면 높이가 5m 이상되면 1:1.5 경사로 조정 - 리핑암 : 일부지역서 1:0.7 가능하나 안전성을 고려하여 1:1.0 으로 적용 - 발파암 : 1:0.5 적용하되 부분적인 평면파괴 예상구간은 1:0.7로 완화 또는 보강공법 적용 (1) 토사구간 비탈면 검토
- 토사구간 높이 5m까지는 1:1.5, 그 이하는 1:1.2의 경사를 적용 - 풍화암구간은 1:0.7의 경사를 적용할 경우 토사 비탈면의 안정성 확보 (2) 암반구간 비탈면 검토
- 암반깎기 비탈면에 대한 평사투영 및 한계평형해석결과 비탈면 경사 1: 0.3을 적용할 경우 불안정하게 나타났으며 표준경사(1: 0.5) 적용시 안정함 - 그러나 검토된 비탈면 경사는 내진 및 강우강도를 고려한 안정성 및 수치해석을 통하여 현재 검토된 경사에 대하여 재검증한 후 적용하여야 할 것임 (3) 설계반영
- 과업구간의 기반암이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1단계 구간의 화강암과 비슷한 물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므로 설계시 1단계 물성치를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함 - 암반의 불연속체 물성치는 절리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고려대상 제외 - 비탈면의 경사는 1단계 사례를 고려할 때 다음기준에 맞추어 표준경사를 선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됨 - 쌓기비탈면구간 - 깎기비탈면구간 - 터널갱구비탈면 및 교차로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1+240~1+480 - 검토단면 : 본선,STA.1+440 - 최대쌓기고 : 10.1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9.4M (GL-9.4m) - 풍화암 : 0.8M (GL-10.2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080~2+160 - 검토단면 : 본선,STA.2+120 - 최대쌓기고 : 9.3 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3.9M (GL-3.9m) - 풍화암 : 4.1M (GL-8.0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940~3+120 - 검토단면 : 본선,STA.2+980 - 최대쌓기고 : 8.6 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0.8M (GL-0.8m) - 풍화토 : 7.9M (GL-8.7m) - 풍화암 : 6.1M (GL-14.8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5+960~6+240 - 검토단면 : 본선,STA.5+990 - 최대쌓기고 : 8.4 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7.0M (GL-7.0m) - 풍화암 : 3.2M (GL-10.2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6+360~6+440 - 검토단면 : 본선,STA.6+380 - 최대쌓기고 : 12.0 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1.0M (GL-1.0m) - 풍화토 : 2.5M (GL-3.5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금진교차로, STA.0+310~0+758 - 검토단면:금진교차로,STA.0+420 - 최대쌓기고 : 13.9 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3.9M (GL-3.9m) - 풍화토 : 4.1M (GL-8.0)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0+030~0+290 - 검토단면 : 본선,STA.0+220 - 최대깎기고 : 14.5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2.0M (GL-2.0m) - 풍화토 : 12.0M (GL-14.0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400~2+580 - 검토단면 : 본선,STA.2+460 - 최대깎기고 : 13.9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0.5M (GL-0.5m) - 풍화토 : 5.0M (GL-5.5m) - 풍화암 : 4.8M (GL-10.3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460~2+500 - 검토단면 : 본선,STA.2+480 - 최대깎기고 : 17.4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0.5M (GL-0.5m) - 풍화토 : 5.0M (GL-5.5m) - 풍화암 : 4.8M (GL-10.3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610~2+760 - 검토단면 : 본선,STA.2+660 - 최대깎기고 : 14.8 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1.0M (GL-1.0m) - 풍화토 : 15.0M (GL-16.0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2+780~2+900 - 검토단면 : 본선,STA.2+880 - 최대깎기고 : 12.7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0.4M (GL-0.4) - 풍화토 : 11.1M (GL-11.5m) - 풍화암 : 3.5M (GL-15.0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5+710~5+940 - 검토단면 : 본선,STA.5+740 - 최대깎기고 : 12.7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풍화토 : 10.0m (GL-10.0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본선, STA.6+260~6+320 - 검토단면 : 본선,STA.6+300 - 최대깎기고 : 9.3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4.0m (GL-4.0m) - 풍화암 : 3.6m (GL-7.6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구간 : 금진교차로, STA.0+200~0+310 - 검토단면 : 금진교차로,STA.0+240 - 최대깎기고 : 14.4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0.4m (GL-0.4m) - 풍화토 : 8.4m (GL-8.8m) - 풍화암 : 0.4m (GL-9.2m) (1) 평면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1+590 - 최대깎기고 : 17.2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3.9m (GL-3.9m) - 풍화암 : 1.8m (GL-5.7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1+590 - 최대깎기고 : 13.3m (3.2) 지층개요
- 매립토 - 풍화토 : 0.8m (GL-0.8m) - 풍화암 : 1.9m (GL-1.9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1+820 - 최대깎기고 : 12.7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2.4m (GL-2.4m) - 풍화암 : 1.9m (GL-4.3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1+820 - 최대깎기고 : 23.1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3.9m (GL-3.9m) - 풍화암 : 2.1m (GL-6.0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FRP보강그라우팅 적용)
- 검토단면 : STA.5+230 - 최대깎기고 : 16.0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10.3m (GL-10.3m) - 풍화암 : 1.9m (GL-12.2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5+230 - 최대깎기고 : 11.5m (3.2) 지층현황
- 풍화토 : 10.6m (GL-10.6m) - 풍화암 : 3.7m (GL-14.3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FRP보강그라우팅 적용)
- 검토단면 : STA.5+640 - 최대깎기고 : 23.0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11.1m (GL-11.1m) - 풍화암 : 4.9m (GL-15.0m) (1) 현황도 (2) 검토단면 (3) 현황 및 지층개요
(3.1) 현황
- 검토단면 : STA.5+640 - 최대깎기고 : 20.6m (3.2) 지층개요
- 풍화토 : 11.8m (GL-11.8m) - 풍화암 : 4.9m (GL-16.7m) - 비탈면 설계기준은 입찰안내서, 건설교통부 및 한국도로공사의 적용기준과 외국의 적용사례를 종합분석하여 본 과업구간의 기준을 결정 - 검토구간의 토질조건, 비탈면의 높이 등 구간별 안정성 분석결과에 의해 경사조정 - 지층 구성상태, 토질 및 암반의 역학적 특성, 용출수의 유무, 절취에 따른 이완과 풍화정도, 주변 지형조건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 - 비탈면 해석방법은 토사비탈면과 암반비탈면을 구분하여 거동특성에 적합한 해석방법 적용 - 쌓기비탈면 경사는 일반적으로 자연지반 토질의 풍화 및 균질정도, 성층상태, 간극 및 함수량 등에 의해 지배를 받으므로 일정한 기준을 선정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임 - 원지반의 지층상태 및 쌓기재의 특성을 조사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안정계산을 실시한 후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비탈면 경사를 결정하도록 하여야 함 - 암반비탈면의 안정은 암질상태 및 불연속면의 특징(방향, 연장 등)에 따라 결정 - 노선인근의 기존 비탈면 현황을 조사하여 암질상태를 평가하고 설계 표준비탈면 경사 기준을 선정 - 설계 비탈면 경사는 지반조사결과 및 비탈면 안정검토를 통하여 조정 및 확정 - 우기, 용수 등에 의한 침투작용과 비탈면의 침식 방지 - 일반적으로 토사와 암반의 경계부가 되는 이방성 지반인 경우에는 용수를 고려하여 설치토록 함 - 지역적인 상황에 따라 소단 설치 폭 변경 가능토록 함 - 쌓기부 - 깎기부 - 비탈면의 안정성은 안전율을 근거로 판단하여 이론상 안전율이 Fs≥1.0 이상이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나 설계시 비탈면의 불확실한 요소로 인한 여건을 감안하여 허용 안전율 적용 - 자료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수단 -〉 강도정수, 하중, 파괴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보정 - 지반 변형에 관한 안정성 확보 차원 - 동일한 비탈면에 대해서 안전율의 결정에 미치는 요소로서 전단강도 시험방법, 전단강도의 선택, 해석방법 등이 있으며 복구비용 및 시험의 신뢰도가 추가로 고려될 수 있는 바 아래와 같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 - 전단강도의 특징, 비탈면의 기하학적 조건 및 기타 조건에 대한 불확실 정도 -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키거나 높이를 감소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 - 비탈면 파괴시의 피해액과 결과 - 비탈면이 일시 구조물인지 영구 구조물인지의 선택여부 판단 (1) 국내외 기관별 허용안전율 (2) 본 과업구간에 적용한 허용안전율 (1) 국내외 기관별 허용안전율 (2) 본 과업구간에 적용한 허용안전율 - 비탈면 상단에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 실제 기초면에 작용하는 접지압 적용 - 비탈면에 작용하는 하중에는 구조물로 인한 하중과 차량주행에 따른 교통하중으로 구분되며 쌓기 비탈면인 경우에는 쌓기높이를 고려하여 쌓기체 상단에 상재하중 적용 - 지진계수의 산정방법은 설계지반 운동수준에 의한 방법, 지반분류에 의한 방법, 지진 재해도에 의한 방법 등이 있음 - 본 과업의 지진계수산정은 건교부 내진설계기준 II를 근거로 설계지반 운동수준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함 - 시설물의 내진성능 수준결정 - 지진구역 구분 - 평균재현주기에 따른 위험도 계수 - 비탈면내의 지하수위는 지형, 지층 분포상태, 지반의 투수성 및 계절변화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며 비탈면 안정검토시 지하수위의 위치는 안전율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끼침 - 강우시 쌓기 비탈면은 실제 측정된 지하수위 결과를 적용하되 깎기비탈면의 경우는 확률강우를 고려하여 강우강도 및 지속시간에 따른 방법과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적 방법으로 산출하여 지하수위 조건 결정 - 쌓기 비탈면은 쌓기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축조하므로 지하수위 예측이 비교적 용이함 - 쌓기재의 지하수위 상승은 비탈면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강우로 인한 지하수위의 상승을 막기 위해 배수시설을 설치함 - 강우의 침투로 인한 비탈면 표면부근이 포화되거나 세굴 또는 국부적인 붕괴의 발생가능성을 고려하여 비탈면 보호공 적용 - 본 과업에 적용된 쌓기 비탈면 지하수위 적용기준 - 깎기 비탈면의 경우 지하수위가 지표면 부근에 있을 경우 깎기작업이 진행되면서 수위변동이 발생되며 강우가 지속되면 지표면부근이 포화되어 기존 지하수위 상부에 일시적인 지하수위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음 - 깎기 비탈면의 안정성은 강우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뿐만 아니라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강우의 연직 침투과정에 의한 포화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강우에 의한 일시적인 지하수위 상승심도와 지속적인 강우의 침투로 인한 비탈면의 침투심도를 모두 고려하여 검토 - 지표면 포화심도의 산정은 Pradel & Radd가 제시한 확률강우와 SEEP/W프로그램에 의한 결과를 비교·검토 후 산정 (상세한 내용은 “7. 포화심도를 고려한 강우시 바탈면 안정해석 ” 참조) - 본 과업에 적용된 깎기 비탈면 지하수위 적용기준 - 토사 및 풍화대 우세구간은 Slope/W(한계평형해석)를 이용, 암반우세 구간은 현장조사시 파악된 절리상태, 절리면의 거칠기 등을 근거로 Dips를 이용한 평사투영해석 후 불안정한 비탈면에 대한 한계평형해석(평면 및 쐐기파괴)을 시행 - 암반비탈면의 정밀해석을 위하여 비탈면파괴 확률분석 및 S/W을 사용하여 파괴블록 예측 -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구간은 대책공법을 강구하는 한편 최종적으로 해석된 결과에 대해 FLAC 및 UDEC Program를 이용하여 검증 - 낙석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Rockfall을 이용한 낙석의 거동을 예상하는 한편 방지책에 대한 대책 강구 - TARLEN97 : 보강공법을 고려한 한계평형해석 - FLAC : 강도정수감소에 의한 최소안전율 산정 - UDEC : 불연속면을 고려한 비탈면의 안정성 해석 - Rockfall : 낙석의 예상궤적 및 낙석의 충둘에너지 산출 - 본 과업구간의 쌓기재료는 터널에서 발생되는 암버력과 토사재료가 사용되므로 쌓기재료는 암버력과 토사재료로 구분하여 선정 - 깎기부는 토사비탈면과 암비탈면이 생성되며 깎기부 지반정수는 토사층(붕적층, 매립층, 모래자갈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경암으로 구분하여 선정 (1) 외적요인
- 지형의 변화(인위적인 깎기, 유수에 의한 침식 등) - 침식이나 인위적인 깎기 - 하중의 증가 (상재하중, 비탈면높이 증가, 수위하강시 유효응력 증가, 충격과 진동) - 인접한 호수 또는 저수지의 수위강하, 강우 (2) 내적요인
- 진행성 파괴 - 풍화작용 (동결용해, 건조수축 등) - 물의 침투로 인한 침식 (표면침식, 파이핑현상 등) (1) 붕락(Falls)
- 연직으로 깍은 비탈면의 일부가 낙하하거나 굴러서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때 떨어지는 물체와 비탈면 사이의 전단변위는 거의 없고 낙하속도가 대단히 빠름 (2) 활동(Slides)
활동면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활동물질과 활동면 사이에 전단변형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형상에 따라 구분됨 - 직선활동(병진활동) : 활동하는 흙의 깊이가 비탈면의 높이에 비해 작은 경우, 자연비탈면과 같이 비탈면 아래로 내려갈수록 강도가 커지는 지반에서 직선적으로 활동
- 원호활동 : 하부 지반에 연약층이 존재하여 연약층이 비교적 균질할 경우에 발생
- 대수나선 활동 : 깊이에 따라 전단강도가 증가하거나 지층이 비균질하고 전단강도의 변화가 큰 경우 발생 - 복합곡선 활동 : 기초지반에 얇은 연약지반이 있는 경우 직선과 곡선의 복합형태로 발생 (3) 유동(Flows)
- 활동깊이에 비해서 활동되는 길이가 대단히 길며, 소성적인 활동이 지배적이고, 활동속도가 대단히 느린 경우가 많으며, 지반은 Creep 변형 발생됨 (1) 얕은 표층붕괴
- 경사 비탈면이 침식되기 쉬운 흙으로 구성되고 배수가 미비할 때 점차적으로 넓은 표층붕괴로 진행 (2) 깊은 쌓기붕괴
- 고함수비의 점쌓기로 높은 쌓기를 급속히 시공하면 쌓기대 내부에 과잉 간극수압이 발생 쌓기의 저부에서 붕괴 (3) 기초지반을 포함한 붕괴
- 불안정한 경사지반이나 활동이 용이한 토층이 있는 비탈면 위에 시공한 경우 기초지반 내 활동면에 의한 대규모 붕괴 발생 - 비탈면의 붕괴현상은 자연적인 원인과 인위적인 행위에 의하여 발생하며, Varnes에 의해 제시된 암반비탈면 붕괴형태는 다음과 같음 - 일반적으로 암반에서 비탈면의 파괴형태는 원형파괴(Circular Failure), 평면파괴(Plane Failure), 쐐기파괴 (Wedge Failure) 및 전도파괴(Toppling Failure)임 - 특히, 암반에서의 파괴는 절리면의 방향(주향 및 경사)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현장 지표지질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검토 - 일반적으로 깎기부 토사 및 풍화암 비탈면의 안정성 해석시 널리 사용되는 해석방법들은 한계평형이론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 방법으로 산정한 안전율이 허용안전율 이상이 되면 비탈면은 파괴에 대하여 안전하고 변형은 허용치 이내인 것으로 판단 - 문제를 단순화시키기 위한 가정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단한 정역학 이론으로 해를 얻을 수 있음 - 한계평형이론에 의한 비탈면안정해석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정확성은 강도정수와 기하학적 조건의 정확도 및 각 해석방법 고유의 정밀도로 좌우됨 - 한계평형해석법은 실제 비탈면의 거동을 이해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음 - 일반 한계평형이론은 비탈면 안정해석시 얻어지는 임계활동면이 실제 비탈면에서의 활동면과 정확히 일치된다고 볼 수 없으며 파괴시 힘의 평형만 고려할 수 있고 파괴에 이를 때까지의 변형 해석은 불가능함 - 한계평형해석법 자체로서도 미지수보다 방정식수가 많은 부정정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함 - 부정정 연립방정식을 풀기 위한 가정을 하여야 함 (1) 한계평형해석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정확한 비탈면 안정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주요 검토단면에 대해 수치해석 기법중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
- 한계평형해석(SLOPE/W) (2) 현재까지 축적된 경험과 자료로 입증된 한계평형해석법과 비탈면의 변형과 파괴형태를 유사하게 모사할수 있는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안정성 검증
- 보강해석(TARLEN97) (3) 해석결과 비교 및 비탈면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검증(FLAC V3.3)
- 수치해석(FLAC2D) (1) 평사투영법(DIPS)
- 절리면의 방향과 내부마찰각을 평사투영하여 비탈면 안정성을 기하학적으로 예비평가 (2) 한계평형해석(SWEDGE)
- 예상 파괴면인 절리면을 따라 암괴에 미치는 응력분포와 절리면의 전단저항 특성, 지하수 조건 등을 고려하여 비탈면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해석 (3) 개별요소해석
- 비탈면 형상 등의 기하학적 조건과 암반물성을 고려하여 불연속체에 대한 개별요소로 안정성 해석 (4) Key-Block해석
- 암반 절리면에 대한 제반 조건 등을 고려, 불연속체에 대한 역학적 거동 해석에 대한 안정성 판단 - Steronet상에 비탈면, Daylight Envelope, Friction Cone, Toppling Envelope 등을 작성, 절리면 방향의 밀도 분포에 의하여 비탈면 안정성을 평가 - 평사투영법은 암반비탈면의 불안정 요소인 불연속면의 기하학적인 배치를 나타내므로 평사투영에 의해 안정한 것으로 평가된 비탈면은 한계평형해석을 수행하지 않음 - ①지역 : 불연속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큰 Daylight로서 불안정한 지역 - ②지역 : 불연속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작은 Daylight로서 안정한 지역 - ③지역 : 불연속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작으며, Daylight도 아닌 안정한지역 - ④지역 : Toppling 붕괴의 위험성이 잠재된 불안정한 지역 - ⑤지역 : 불연속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크더라도 Daylight나 Toppling Envelope가 아니므로 안정한 지역 - RMR-NET은 현재 시공 현장에서 가장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RMR 암반 분류법과 평사 투영법을 통합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비탈면 및 터널에 대한 불연속면 방향의 평가 기준을 보완하여 재설정하고 이를 극 투영망(Polar net)에 도시한 SMR-NET과 TMR-NET으로 구성 - 본 과업에서는 깎기 비탈면의 암반 분류를 위해 SMR-NET을 적용하였으며 SMR-NET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 SMR-NET의 기본이 되는 암반 분류법은 RMR을 비탈면에 응용한 SMR 분류법 - 기존 SMR 분류법의 불연속면 방향 평가 기준에 불연속면의 마찰각을 도입하여 보완 - 보완된 불연속면 방향 평가 기준에 따라 극 투영망 상에 평면파괴, 쐐기파괴, 전도파괴에 대한 보정점수 영역(-60~0)을 도시하고 이 영역과 불연속면의 극점 분포 관계에 따라 SMR 보정값, 파괴 유형별 가능성 및 파괴 방향 등을 분석 - SMR-NET의 파괴 유형별 영역은 비탈면의 방향 및 경사, 불연속면의 마찰각에 의해 결정되며 동일한 마찰각을 적용하였을 경우 비탈면의 경사가 작아질수록 비탈면에 불리한 영역이 축소 비탈면의 경사/경사방향 = 70/130 불연속면 방향에 대한 보정 점수 0 = Very Favorable, -6 = Favorable, -25 = Fair, -50 = Unfavorable, -60 = Very Unfavorable (1) 인장균열이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검토 (2) 한계평형 해석에 사용된 가정
- 미끄럼 인장균열은 비탈면에 평행하며 연직방향으로 깊이 (Zw)까지 물로 채워짐 - W, U 및 V 등은 미끄럼 블럭의 중심을 통하여 작용 - 단위두께를 가진 슬라이스로 가정, 파괴부분의 양측면은 미끄럼 저항이 없는 자유면으로 가정 F = {C·A+(Wcosψp-U-V·sinψp)tanφ}/(W·sinψp+V·cosψp) A = (H - Z)cosecψp, V = (γwZ2 w)/2 U = {γwZw(H - Z)cosecψp}/2 A : 파괴면의 면적 H : 비탈면의 높이 Z : 인장균열 깊이 W : 암괴의 중량 Ψp : 파괴면의 경사각 U : 파괴면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한 양압력 V : 인장균열속의 수압에 의한 힘 (1)상부비탈면에 인장균열이 있는 경우
W = {γ2H2((1-(Z/H)2)cotψp - cotψf)}/2 (2) 비탈면내에 인장균열이 있는 경우
W = {γ2H2((1-(Z/H)2)cotψp(cotψptanψf - 1)}/2 (1) 건기/우기시의 경우
F = {c·A+(Wcosψp-U)tanψ}/Wsinψp (2) 지진의 경우
F = {c·A+W(cosψp-αsinψp)tanψ}/W(sinψp+αcosψp) A : 파괴면의 면적 H : 비탈면의 높이 ψp: 파괴면의 경사각 ø: 절리면의 내부 마찰각 A = Hwcosecψp W : 암괴의 중량 Hw : 지하수로 포화된 비탈면의 높이 U: 파괴면상의 수압에 의한 양압력 α: 지진가속도 U = (γw(Hw)2cosecψp)/4
주) P = 평면파괴, W = 쐐기파괴, T = 전도파괴, αs = 비탈면의 경사방향, αj = 불연속면의 경사방향, βs = 비탈면의 경사각, βj = 불연속면의 경사각, ø = 불연속면의 마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