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터널 성과 분석
- 본 과업구간의 경우 대부분이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록터널의 경우 일부 흑운모호상 편마암이 분포하고 있음 - 단층파쇄대 예상구간에 대해서는 조사횟수를 증가시키고 특수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여 파쇄대 특성 파악 - 종방향 물리탐사 선시행 후 이상대구간에 수직·수평시추 및 원위치시험 추가 실시 - 3D-Kriging을 통한 파쇄대, 단층대, 지질연약대, 저비저항대 확정 - 거금터널 - 소록터널 - 광역조사결과, 거금터널 인근지역에 2개소의 선형구조가 분포하나 터널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전기비저항탐사결과 STA.1+600~1+620 구간에 소규모의 저비저항대가 분포하고 있으나 지하수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STA.1+700~1+730 구간의 이상대는 파쇄대의 영향으로 판단 - 탄성파탐사결과 STA.1+610~650 및 STA.1+790~800m구간에서 저속도 이상대가 관찰되나 시추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나며 STA.1+840~850 구간은 저속도대 이상대가 관찰됨 - 토모그래피탐사결과 TB-1의 GL(-) 13.5~20.3m 구간 저속도대 분포 - 위성영상분석결과 거금터널 인근지역에 2개소의 선형구조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남 - 터널 인접한 선형구조는 파쇄대가 발달할 가능성이 높으나 통과 지점이 터널구간에서 벗어나 있어 터널의 안정성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 (1) 분석단면
- STA.1+600~1+620 구간에 소규모의 저비저항대가 분포하고 있음 -〉 시추조사결과와 일치 하지 않음. -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한 저비저항대가 터널기준으로 STA.1+700~1+730에 위치 - STA.1+600~1+620 구간의 이상대가 시추조사결과와 일치하지 않은 것은 일부에 집중되어 있는 지하수위의 영향으로 판단되나, STA.1+700~1+730 구간의 이상대는 파쇄대의 영향으로 판단 -〉 지보패턴 적용에 활용 - 토사층에 해당하는 700m/s이하의 층후는 0.5~10.0m, 풍화암층에 해당하는 700~1200m/s는 0.5~5.2m의 분포심도를 보이며, 암반층(연암)에 해당하는 1900m/s 이상은 6.2~16.5m의 분포심도를 보임 - STA.1+610~650에서 매우 큰 저속도 이상대가 관찰되므로 설계시 반영이 필요하며, STA.1+670~720 구간은 풍화대가 매우 깊게 분포 - STA.1+790~800m, STA.1+840~850 구간은 작은 규모의 저속도대가 나타남 -〉 파쇄대로 추정 - 붕적층 상부는 느슨한 상태이며 하부로 갈수록 매우 조밀함 - 풍화암의 출현심도는 GL(-) 3.2~7.5 하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체로 1~3.0m 내외의 박층으로 분포 - 기반암의 상부는 절리가 발달된 연암이 하부는 절리발달이 적고 신선한 경암이 분포함 - 광역조사결과 소록터널구간을 통과하는 선형구조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검토됨 - 지표지질조사 결과 충상단층(Thrust Fault)은 터널노선과 STA.5+440 전후에 교차 - 전기비저항탐사에서도 STA.5+400~5+440에 저비저항대 존재 -〉 지보패턴선정시 고려 - 격자형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STA.5+440, 5+460 구간에 저비저항대 관찰됨 - 토모그래피탐사 결과 STA.5+400~5+420 구간에 이상대 관찰 - 소록터널 종점부의 화강암을 비롯하여 흑운모 호상 편마암, 화강암질 편마암이 습곡과 충상단층에 의해 반복되어 나타남 - 충상단층(Thrust Fault)은 터널노선과 STA.5+440 전후에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남 - 충상단층은 45°이내의 저경사를 가지는 단층으로 대체로 먼 이동거리를 나타내며(수km~수백km) 많은 파쇄대를 포함하기도 함 - 소록터널구간을 통과하는 선형구조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 - 분석단면 - 전기비저항탐사에서도 STA.5+400~5+440에 저비저항대 존재 -〉 지보패턴선정시 고려 - 본선종단측선에서 STA.5+400~5+450 사이의 터널심도에서 저비저항대가 관찰되나 4개의 횡단측선을 검토한 결과 일부(STA.5+440, 5+460의 터널상부)구간에만 저비저항대 관찰됨 - 저비저항대는 절대값이 아닌 파쇄경향을 나타내는 참고치이나 파쇄대 전구간에 대한 시추 조사 자료가 없으므로 터널지보패턴 설계시 이를 반영하도록 함 - 토사층에 해당하는 700m/s이하는 3.8~13.2m, 풍화토층에 해당하는 700~1200m/s는 0.6~10.0 m의 분포심도를 보이며, 암반층(연암)에 해당하는 1900m/s 이상은 4.1~20.5m의 분포심도를 보임 - 상세지표지질조사 및 전기비저항탐사시 파악된 충상단층의 이상대에 대하여 굴절법토모그래피에 의한 정밀탐사결과 STA.5+400~5+420 구간에 이상대 관찰됨 -〉 터널구간 지반분류시 등급하향조정 - 전반적으로 상부는 느슨한 상태의 표토층(또는 붕적층)이 얇게 존재하고 그 하부에 조밀내지 매우 조밀한 상태의 풍화토가 10m정도의 두께로 분포함 - 소록터널의 중앙부는 자연녹지 구간으로 산림훼손 문제로 시추불가하여 노선중심에서 50m정도 이격된 곳에서 수직 및 수평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시추결과 전반적으로 암질상태가 양호하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예측된 파쇄대(암편상)가 폭 4m정도로 형성되어 있음 단층대 확인을 위해 STA.5+420~5+430을 교차하도록 수평시추를 시행한 결과 터널 횡단노선 좌측에 부분적인 파쇄대 분포함 (RMR, RQD가 상대적으로 40 미만으로 나타남) - 암반의 공학적 특성치 도출을 위한 암반의 정량적 분류 - 경험적 설계를 위한 최적의 정량적 자료 제공 - 정성적, 정량적으로 구분되는 기존의 암반 분류법 중 보다 객관성이 있고 조사, 설계, 시공단계에 걸쳐 일관성 있는 정량적 자료를 제공하는 분류법을 적용 - 따라서 현재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암반분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RMR 분류법, Q분류법을 주 분류법으로 적용하고 이 두 가지 분류법의 주요 평가 항목에 해당되는 RQD값에 의한 분류도 실시 (1) 대상구간의 선정
- 유사 암질특성 및 거동을 하는 암반을 그룹화하여 설계를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를 적용하는데 의미를 둠 - 정량적 데이터인 시추코아를 통한 암반분류와 시추공 사이인 공간 암반분류로 대별됨 - 암반분류 대상구간은 터널거동에 영향을 주는 터널상부 1D 및 하부 1D구간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수평시추공의 경우 전구간을 대상으로 함 (2) 시추코아 암반분류
- 유사암반특성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는 RQD, 강도, 탄성파속도, RMR, Q분류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평점의 개념으로 정량적 평가가 가능한 암반분류방법은 RMR과 Q분류로 대별되며,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됨 - 상기 RQD, 강도, 탄성파속도등에 따른 암반분류법은 절리, 지하수 등의 암반거동에 영향을 주는 주 요인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지반등급 및 지보패턴 결정시 직접적인 자료로 활용되기 어려움 - 본 과업에서는 수직 및 수평시추공의 RMR, Q분류법을 활용하여 터널 시추구간에 대한 암반분류를 수행하고 암반등급 및 지보패턴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 (3) 시추공간 암반분류
- 구간별 암반등급 선정은 시추조사와 이와 관련된 전기비저항 및 탄성파 탐사값과의 상관관계로 결정되며, 지반특성, 굴착공법에 따라 암반등급 조정됨 - 본 과업에서는 지반조건 변화양상에 따라 주요 위험구간에 대해서는 수평시추 및 격자망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여 충분한 시추데이터 확보로 인한 상관분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킴 암질등급이 구간에 따라 변별력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지보패턴을 선정하는데 보조수단으로 사용함 (1) 평가방법
- 현장 암반 특성과 시추 Core에서 획득한 5개의 항목에 대한 점수를 평가 합산하며 터널 굴진방향과 절리의 주향 및 경사 상호관계에 따른 보정을 통하여 암반의 등급을 5가지로 분류 - 평가 항목 : 암석강도, RQD, 절리간격, 절리상태, 지하수 상태, 터널 방향과 절리면 방향 및 경사각 관계 (2) 장점
- 기존의 많은 시공 사례를 통해 경험적으로 획득·분석된 암반특성과 지보형식 등의 관계를 토대로 암반을 정량화한 방법이므로 신뢰성이 큼 - 조사항목이 비교적 간단하며 숙련도에 의한 오차가 작음 - 실적용 사례가 많으며 현재에도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음 - 절리의 방향성 및 절리와 관련된 평가항목들에 주안점을 두어 합리적임 (3) 단점
- 현장 원지반에 대한 응력이 고려되어 있지 않음 - 암반평가 등급, 터널규모, 현장 조건 등을 감안한 보강형식이 제안되고 있지 않음(현재 제안되어있는 보강형식 제안은 터널폭 10.0m, 수직응력 25MPa 이하, 천공 발파식, 마제형 터널, 록볼트 직경 20mm 기준의 것이 제안되어 있음) - 암반 평가점수에 따라 암반의 등급 구분 및 개략적 지보패턴 선정 - 암반정수(강도정수 및 변형계수) 산정에 적용 - 터널의 무지보 자립시간과 최대안정폭에 대한 검토 - GSI값 산정에 적용 - 터널 및 공동의 자립시간과 최대 안정 폭 제시 - 암반등급별 장기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천반지보 선택에 대해 지침 제공 - 암반기초 부분에서 RMR을 이용하여 원위치 변형계수(Em) 산정 - RMR 등급에 의한 무지보 유지시간과 터널의 최대 안정폭과의 상관관계(Bieniawski, 1976) 거금터널 및 소록터널은 대체로 암질등급(RMR)이 대체로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터널의 토피고가 낮고 구간에 따라 풍화대의 심도가 깊어 터널구간 뿐만 아니라 터널상단(1D) 구간까지 고려하여 최종 지보패턴을 선정하여야 함 - 암반 평가점수에 따라 암반의 등급 구분 - 암반등급에 따른 지보 보강량 산정(숏크리트 두께, 록볼트 길이) - 무지보 최대 스팬 및 영구 지보압력 산정 - 암반 변형계수(Em) 추정시 적용 거금터널 및 소록터널은 대체로 Q-system 분류 결과 대체로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측점에 따라 매우 많은 편차를 나타내고 있어 최종 지보패턴선정시 안전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지보패턴선정에 활용하여야 할 것임 (1) 기존 제안 상관식
- RMR = 9lnQ+44 (r2 = 0.77) : Bieniawski (1976) - RMR = 13.5logQ+43 (r2 = 0.85) : Rutledge (1978) - RMR = 5.4lnQ+55.2 (r2 = 0.55) : Moreno (1980) - RMR = 5lnQ+60.8 : Clarke (1981) - RMR = 10.5lnQ+44 (r2 = 0.66) : Budavari (1981) - RMR = 8lnQ+30 (r2 = 0.92) : R. K Goel (1995) (1) 기존의 제안식 및 조사분석 결과에 의한 RMR값에 대한 Q-value 산정치
- 회귀분석을 통한 RMR과 Q값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식은 아래와 같음 RMR = 6.5145×LnQ+37.402 (R. K Goel (1995)와 유사한 값을 나타냄) (2) RMR-Q 상관관계 적용기준
- RMR 〉 50 구간에서의 상관관계식은 R. K Goel (1995)의 상관관계 범위와 유사하게 분포함 - 본 과업 RMR 분류에서 보통암반 상태(Fair) 이하의 등급 구간에서 기존 제안식에 비해 다소 과소한 암반상태로 평가되는데 이는 RMR 최소값이 25이상으로 매우 불량한 암반상태(RMR 20 이하)에 해당하는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됨 - I등급 및 Ⅴ등급의 암반은 시추조사에서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산출된 RMR-Q의 상관관계에 제한적인 한계가 있어 기존의 제안식 경향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설정하여 적용 (1) RMR과 전기비저항치(ohm·m)관계
- 시추 지점의 시추 Core RMR 값과 해당위치의 전기비저항치(R)의 상관성 분석 : V(p) = 21.96 × RMR + 266.92 (2) RMR과 탄성파속도(Vp, m/sec)
- 시추 지점의 시추 Core Q값과 탄성파 속도(Vp) 상관관계 분석 : V(p) = 75.102 × RMR - 639.67 (3) RMR 값과 전기비저항탐사 및 탄성파탐사 결과 나타난 비저항(R) 및 탄성파속도(Vp) 와의 상관관계(R2 = 0.5~0.6)가 비교적 낮게 나타나고 있고 이는 터널 토피고가 낮아 조사심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는 바 각종 탐사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암질등급을 선정하여야 함 (1) RMR과 전기비저항치(ohm·m) 관계
- 시추 지점의 시추 Core RMR 값과 해당위치의 전기비저항치(R)의 상관성 분석 : R = 218.45 × RMR - 3567.8 (2) RMR과 탄성파속도(Vp, m/sec)
- 시추 지점의 시추 Core Q값과 탄성파 속도(Vp) 상관관계 분석 : Vp = 27.344 × RMR + 615.14 (3) 거금터널에 비해 상관관계(R2 = 0.6~0.7)가 비교적 양호하나 전기비저항 및 탄성파속도값이 암질등급을 산정하기는 어려움이 있음. 따라서 시추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각종 탐사를 비교 검토하여 최종 암질등급을 산정함 - 상관관계식을 바탕으로 암질등급,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탐사의 비교등급을 설정함 - 탄성파탐사 및 전기비저항탐사는 현장여건에 따라 비저항과 구역과 탄성파속도층이 구분되어 미시추구간에 대한 암질의 판단을 비교분석할 수 있으나 특징적 암반의 불균질성으로 인해 절대적인 암질을 대변하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전기비저항과 탄성파속도는 기존시추결과에서 나타난 RMR 값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비교 등급을 설정하고 이를 암질등급 선정에 활용하였음 - 지질조사자료, 시추자료, 탐사자료와 같이 암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1D 및 2D 기초자료를 통합화하고 이를 Kriging 기법을 통해 3D 자료로 확장함 - 2D 단면에 각종 자료를 바탕으로 수작업화 되었던 암반 등급 분류 및 지보 패턴의 결정을 Lynx 내의 Kriging 기법을 사용하여 3차원의 Volume화 된 암반 등급 분포도로 가시화 - 각 구간별 터널 내부 암반 등급 결정을 위한 지구통계학적 처리 방안 구현 (1) 시추 및 탐사결과로부터 산정된 암반등급 입력 (2) 실제 입력 자료에 대한 분포 특성 분석 : Histogram 및 Scatter Plot
- Histogram과 정규분포곡선
- 상관성 분석을 위한 Scatter Plot - 이상과 같은 Variogram Model을 추정하고 Kriging할 영역을 설정함 - 영역의 설정은 3D Grid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이 3D Grid는 공간상의 X, Y, Z 좌표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나눔으로써 수많은 단위 Cell로 구성됨 - 이러한 Cell 내부는 실측된 자료로부터 추정된 Variogram Model에 의해 Kriging되어 통계적인 값을 부여받게됨 - 시추자료로부터 산정된 RMR 입력에 따른 3차원 Kriging 및 3차원 암반등급 분포도 (1) 시추 코아로부터 산정된 각 시추구간에 대한 RMR 산정값에 대한 자료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히스토그램과 누적돗수 분포표를 작성 (2) 전체 시추공 내의 총 69개의 RMR 값에 대한 평균값은 53.0이며,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76와 23으로 나타남 (3) RMR 입력값의 히스토그램과 확률누적돗수분포표
- Number of Samples : 69 - Number of Defined Samples : 69 - 9Mean : 53.0 - Standard Deviation : 12.6 - Coefficient of Variation : 0.2 - Maxmum Value : 76.0 - Upper Quartile : 61.8 - Median Value : 54.0 - Lower Quartile : 47.8 - Minimum Value : 23.0 - 자료분포특성으로부터 해당 공간상에 분포하는 RMR값에 대한 Variogram을 계산함 - 이에 대한 가장 적합한 Variogram Model 추정 - 그 결과 거금터널구간의 RMR값에 대한 Variogram Model 추정 결과, Spherical Model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남 - RMR 입력값에 대한 Variogram 계산과 Variogram model 추정결과(Spherical Model) - STA. 1+565 ~ 1+605 : 4등급 이하 - 터널 상부 및 하단부는 3등급 영역이나 중앙부에 4등급이하 분포 - STA. 1+605 ~ 1+690 : 3등급 - 모든 영역이 3등급영역으로 분류 - STA. 1+690 ~ 1+735 : 4등급 - 하부 및 중앙부가 2~3등급으로 분류되나 상부가 4등급으로 분포 - STA. 1+735 ~ 1+780 : 3등급 - 하부가3등급영역이 분포하나 상부 및 중앙부가 3등급 영역으로 분포 - STA. 1+780 ~ 1+840 : 4등급 이하 - 4등급영역이 상부에 중앙부에 분포하며 터널구간상부 1D는 풍화대 - 3D-Kriging 분석결과 탄성파탐사, 전기비저항탐사 및 시추조사 결과와 대체로 부합하고 있으나 일부 탄사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남 - 2개이상의 암질등급이 분포할때는 안전을 중시하여 Kriging 등급을 산정함 - 전기비저항과 RMR, 탄성파탐사와 RMR의 정량적 분석값과 3차원 Kriging의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암반등급 분류에 반영 (1) 시추 코아로부터 산정된 각 시추구간에 대한 RMR 산정값에 대한 자료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히스토그램과 확률누적돗수분포표를 작성 (2) 전체 시추공 내의 총 57개의 RMR 값에 대한 평균값은 56.1이며, 최대값과 최소값은 각각 94와 21로 나타남 (3) RMR 입력값의 히스토그램과 확률누적돗수분포표
- Number of Samples : 57 - Number of Defined Samples : 57 - Mean : 56.1 - Standard Deviation : 20.2 - Coefficient of Variation : 0.4 - Maxmum Value : 94.0 - Upper Quartile : 72.3 - Median Value : 59.0 - Lower Quartile : 37.5 - Minimum Value : 21.0 - 자료분포특성으로부터 해당 공간상에 분포하는 RMR값에 대한 Variogram을 계산함 - 이에 대한 가장 적합한 Variogram Model 추정 - 그 결과 소록터널구간의 RMR값에 대한 Variogram Model 추정 결과 Power Model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남 - RMR 입력값에 대한 Variogram 계산과 Variogram Model 추정결과(Power Model) - STA. 5+205 ~ STA. 5+240 : 5등급 - STA. 5+255 ~ STA. 5+280 : 3등급 - STA. 5+350 ~ STA. 5+400 : 3등급 - STA. 5+450 ~ STA. 5+600 : 3등급 - STA. 5+610 ~ STA. 5+650 : 5등급 - STA. 5+240 ~ STA. 5+255 : 4등급 - STA. 5+280 ~ STA. 5+350 : 2등급 - STA. 5+400 ~ STA. 5+450 : 4등급 - STA. 5+600 ~ STA. 5+610 : 4등급 - 3D-Kriging 분석결과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탐사 및 시추조사결과와 대체로 부합하고 있음 - 지표지질조사결과 나타난 충상단층이 STA. 5+400 ~ STA 5+450 구간 통과할것으로 판단되며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저비저항대로 구분됨 - 전기비저항과 RMR, 탄성파탐사와 RMR의 정량적 분석값과 3차원 Kriging의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암반등급 분류에 반영 - 시추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시추위치별 기반암 등급결정 - 검토된 RMR-Q 분류와의 관계, 전기비저항-RMR 관계 및 탄성파속도-RMR 관계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미시추구간에 암질등급과 비교표를 작성함 - 지표지질조사, 시추조사, 각종물리탐사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파쇄대 및 단층대, 저비저항대, 저속도대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최종적인 암질등급을 결정함 - 3D-kriging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암반등급을 최종 결정함 - 암반등급 I의 암질은 나타나지 않아 전기비저항 등급 및 탄성파탐사에서 구분을 제외함 - 또한 전기비저항 800 이하는 비저항치간의 변별성이 낮아 Ⅳ, Ⅴ 구분이 어려움 - 전반적으로 거금터널은 터널계획고가 낮게 분포하고 있어 대체로 낮은 등급을 선정하였음 - 전기비저항탐사결과 1+700~1+730 구간은 전기비저항 이상대구간이 분포함 -〉 Ⅳ - 탄성파탐사 결과 1+790~1+800 , 1+840~1+850 구간은 저속도대 -〉 Ⅳ, Ⅴ - 종단상에 나타난 전기비저항과 암질등급의 관계가 I, II과 Ⅳ, Ⅴ 변별력이 떨어짐 - 탄성파탐사결과 암질등급 II과 III 구간에서는 저속도층이 얇게 분포하고 있어 구역별로 선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소록터널 지역은 거금터널지역에 비해 전기비저항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로 III등급의 범위를 2,410~10,210 ohm·m로 매우 큰 범위를 나타냄 - 따라서 I, II 및 Ⅳ, Ⅴ간의 변별력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어 구분하지 않았음 암질등급 -〉IV - 지표지질조사결과 5+440 지점에 충상단층 통과 할 가능성 있음 - 굴절법토모그래피 탐사 결과 5+400 ~ 5+420 구간에 저속도대 -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5+400 ~ 5+440구간에 저비저항대 - 격자형 저비저항탐사 결과 5+400~5+460 구간 및 5+440~5+460(횡방향) 구간에 저비저항 이상대 - 수평시추조사결과 5+420~5+430 구간에 암질이 불량한 구간 확인 (1) 터널표준지보패턴 개요도 (2) 거금터널 (3) 소록터널 (4) 지보패턴 적용 흐름도 (5) 암질등급, 전기비저항 - 거금, 소록터널의 지보패턴은 경험적인 지보패턴 설계로 RMR System (1992)에서 제안한 암반터널굴착시 지보System의 Guideline과 Q system에 의한 터널지보재 선정 (Grimstad & Barton 1993)을 검토하여 적용하였음 - 본 해석시는 암반등급별 이상화된 지반에서 지보패턴의 변경에 따른 굴진장, 록볼트 분담면적의 변화를 고려한 3차원 해석을 통해 지보패턴의 적정성을 검토함 - RMR분류에 따른 다양한 조건의 암반등급에서 자립시간과 천장폭의 상관관계로 표시 - 대입된 Data는 낙반조사를 나타냄 (■ : 광산 □ : 터널) - 표준지보패턴은 RMR값에 따라 표준단면-1~표준단면-5로 분류함 - 2차로 터널에서 적용되고 있는 Cycle time과 RMR System Guidelines에서 제시하는 무지보자립시간을 비교함 - ESR은 터널의 폭 혹은 높이의 안전율을 대표한 값임 - 또한 ESR은 지보규모를 변화시켜 비용 및 안정성의 변화를 줄 수 있음 - 표준지보패턴은 Q값에 따라 표준단면-1~표준단면-5로 분류함 - 2차로 터널에서 적용되고 있는 무지보폭과 Q-System 에서 제시하는 무지보폭 비교 RMR System의 기본 지보 패턴제시안을 조정 적용 - 록볼트길이 L (m) = 6-0.05×RMR≥3 (RMR〈80) - 록볼트간격 S (m) = 0.5+0.025×RMR≥1 (RMR〈80) - 숏크리트두께 T (mm) = 200-2.5×RMR≥50 (RMR〈80) - 강지보공간격 Sr (m) = 0.375+0.375×RMR (RMR〈40) 지보패턴별 지보재의 양은 표준지보패턴별 RMR값에 의한 지보량 산출식 사용 - 무지보 - 랜덤볼트 - 시스템볼트 - 시스템볼트, 숏크리트(4~10cm) - 섬유보강숏크리트 (5~9cm)와 록볼트 - 섬유보강숏크리트(9~12cm)와 록볼트 - 섬유보강숏크리트(12~15cm)와 록볼트 - 섬유보강숏크리트(〉15cm)와 록볼트, 강지보재 - 보강콘크리트라이닝 - 숏크리트두께 -〉 와이어 메쉬보강 숏크리트를 기준으로한 RMR System보다 SFRS를 기준으로한 Q-System에서 적정성을 찾을 수 있음 - 록볼트 분담면적 및 록볼트 길이-〉 RMR System 과 Q System모두 만족 - 상기 검토로 표준지보패턴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터널 구간중 암반분류시 고려 항목이외 요소가 터널지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간을 제외한 전구간에 표준지보패턴을 적용한다 - 해석프로그램 : PENTAGON 3D - 해석모델 : Elasto Plastic Model - 파괴규준 : Mohr - Coulomb Failure Criteria - 실제 시공상황을 모사화기 위해 종·횡방향 록볼트간격, 상하반굴착라인, 굴진장을 반영한 모델링 - 모든 지반 요소에 표준지보패턴에 해당하는 암반 분류물성치 적용 - 굴착영향범위를 고려한 모델링 - 모든 시공조건을 고려한 모델링 (1) 천단부 (2) 측벽부 (1) 천단부 (2) 측벽부 - 전체변위도 - X방향변위도 - Y방향변위도 - 소성영역도 - 숏크리트응력도 - 록볼트축력도 - 표준단면별 변위는 지반상태가 불량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모두 5mm 이하로 지보패턴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음 - 지보재의 응력은 천장부, 측벽부 모두 허용력이내이며 록볼트의 축력은 표준단면-5에서 약간 큰 값을 나타내나 허용력 이내로 지보패턴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음 - 평사투영해석 - SMR-net 평가 - 파괴확률해석 - 평면파괴해석(한계평형) - 쐐기파괴해석(SWEDGE) - 전도파괴해석(UDEC) - 평가 : 불연속면의 기하학적 파괴 형태 및 유형파악
WS : 풍화토, WR : 풍화암
주) 표준단면-6은 갱구부에 적용되는 패턴이므로 별도검토
○ : 안전, △ : 국부적 가능성 있음, × : 파괴 가능성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