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기타 설계
현장조사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지반특성 자료를 분석, 평가하여 토공량의 균형 여부, 토공작업성 및 토공재료의 적합성 등을 검토하여 합리적인 토공방안을 수립 (1) 지반조사 및 분석
- 지표지질조사 - 물리탐사 및 시추조사 - 실내 및 현장시험 - 지반의 공학적특성 분석 (2) 깎기부 토공설계
- 굴착경계 기준의 설정 - 깎기부의 토공방안 제시 (3) 쌓기부 토공설계
- 쌓기재료의 적합성 검토 - 쌓기재료의 다짐특성 검토 - 쌓기부 시공방안 제시 (4) 발파설계
- 발파계획 수립 - 시험발파 - 시험발파에 의한 발파설계 - 발파에 의한 주변환경영향 검토 - 구간별 현황도 - 깎기부 - 쌓기부 - 터널 갱구부 - 굴착난이도 분석에 의한 깎기구간의 토사, 리핑암 및 발파암 경계기준 설정 - 깎기구간의 토공방안 제시 - 시공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제시 일반적인 굴착난이도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토공계획시 굴착난이도에 따라 지반을 토사, 리핑암, 발파암으로 분류함 - 굴착대상 암반내 절리간격과 현장에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슈미트해머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또는 점하중 시험기에 의한 점하중 강도를 이용하는 분류방법 - 절리간격과 강도의 관계에 따라 암반을 인력굴착(Dig), 기계굴착(Rip), 발파에 의해 이완되는 암반, 발파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암반으로 분류 - 굴착난이도 판정 상기 굴착난이도 판정방법 중 도로설계편람, Weaver의 분류방법, 탄성파속도를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굴착지반을 구분함 - 과업노선 내 깎기부는 본선 및 금진교차로, 터널 갱구부로 구분되며 깎기부 현황은 다음과 같음 - 토공작업 분류는 암반비탈면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토구간은 총 3개소임 - 깎기구간에서 채취한 시료를 구간별로 구분하여 C.B.R값을 산정하여 설계 C.B.R값을 계산 - 지지력 평가를 통해 포장설계시 기초자료로 이용 (1) C.B.R값 기각판정
여기서, r(n, 0.05)는 기각판정용 값으로 아래와 같음 (2) 설계 C.B.R 산정
- 기각판정 결과 실내 C.B.R의 최대치와 최소치는 허용범위를 만족하므로 설계 C.B.R 산정시 채택 - 설계 C.B.R = C.B.R (평균치) - (C.B.R (최대치) - C.B.R (최소치))/d2(적용계수) 여기서, d2는 설계 C.B.R 계산용 계수
- 설계 C.B.R : C.B.R(평균치) = 10.5 - (13.8 - 7.7)/3.08 = 8.52 ≒ 80.% 각 시험굴 조사에서 시행한 C.B.R값의 누적빈도와 누적백분율을 계산하여 도표에 도시하고 C.B.R 누적백분율의 90%에 해당되는 값을 설계 C.B.R로 산정 (1) 설계 C.B.R 결정을 위한 백분율 계산 (2) 설계 C.B.R 누적분포곡선
누적분포곡선에 따른 누적백분율 90%에서의 C.B.R값은 8.3% 이며, 설계 C.B.R값으로 8.0%를 사용 - C.B.R 누적 백분율 - 본 과업구간의 깎기부에서 발생한 쌓기재료의 설계 C.B.R은 8.0%로 산정됨 - 이는 노선 전체에 대한 값으로 포장단면 설계시 구간별 토질특성 및 동결심도 등을 감안하여 적용 - 쌓기재료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총 9개소의 시험굴 시료에 대해 물성시험 및 다짐시험 실시 - 본 구간에 대한 시험결과를 참고로하여 다짐특성 파악 및 다짐방법을 제시 - TP-5(SM) - TP-6(ML) - 쌓기작업시 다짐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시공 함수비를 최적함수비(OMC)로 유지하고 토질특성에 따라 다짐방법과 다짐장비를 적절히 선정하여 시공하여야 함 - 본 깎기구간 흙의 자연함수비는 최적함수비보다 다소 큰 편이므로 다짐효과를 높이기 위해 시료를 건조시키며 다짐을 실시하는 것이 적합함 - 쌓기 작업중 함수비의 조절은 지속적인 현장관리시험을 통하여 현장조건에 적합하게 조정함 흙이나 암반을 굴착하거나 다짐할 때의 토량변화율은 시험에 의해 산정하며 소량의 토공작업일때는 기존문헌에서 제시하는 토량변화율을 적용 토량환산계수 산정공식 - C = 다져진 상태의 토량(㎥)/자연상태의 토량(㎥) = 자연상태의 건조밀도(tf/㎥)/다짐 상태의 건조밀도(tf/㎥) - L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자연상태의 토량(㎥) = 자연상태의 건조밀도(tf/㎥)/흐트러진 상태의 건조밀도(tf/㎥) 검토결과는 - 토사층의 토량변화율 산정 결과 토량환산계수는 C = 0.8, L = 1.3 (D다짐의 평균값) - 기존문헌에서 제시하는 값과 비교시 C값은 다소 작고 L값은 비슷한 경향을 보임 - 토공량 산정시 적용할 토량변화율은 토사층은 시험결과를 적용하되 리핑암, 발파암의 토량변화율은 “도로공사 설계적용 기준”에 제시된 값을 적용함 - 본 결과는 얕은 심도에 대한 것으로 실제 토공작업시 심도의 증가에 따라 C, L값과 자연함수비의 변화가 예상됨 - 쌓기재료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시험굴 조사시 채취된 시료에 대한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와 시방서 기준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판정함 - 다짐완료 후 노상의 품질은 재료, 시공여건, 시공장비의 성능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공에 사용되는 쌓기재료는 시험시공을 통하여 적합여부를 확인하여야 함 (1) 상관분석 내용
- 표토층 하부의 풍화토에 대해 심도별-#200체 통과량의 상관분석 실시 - 시험굴 시료(TP-2, 3) : #200체 통과율 〉25% - 풍화토(CB-2, 7) 시료 : #200체 통과율〈 25% - 풍화토 G.L -4~7m정도의 심도에서 #200체 통과량은 노상재료(상부) 기준을 만족함 (2) 심도(m)-#200체 통과량 - 시험굴조사의 쌓기재료 적합성 판정 : #200체 통과량 〉 25%로서 노상재료로는 부적합 판정 - 상기결과는 G.L -1.5m 내외인 심도에서 측정된 결과로서 심도에 따른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적용 - 입도분포특성 고려시 G.L하 4~7m정도의 심도에서 #200체 통과량 〉 25% 이므로 선별 사용가능 - 흙쌓기 작업시 쌓기재료의 특성 및 지형조건, 지지층의 강도특성을 고려하여 실시 - 토질에 적합한 다짐장비 및 다짐방법을 적용 - 쌓기 비탈면은 흙쌓기 본체와 동시에 다짐기계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다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다짐규정은 최소 관리기준 이므로 각층의 모든 부분이 소정의 다짐도를 만족하여야 함 - 토질에 적합한 시공장비를 사용하고 수평으로 얇게 균일하게 다짐 - 흙쌓기 시공에 있어서 효과적인 다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공함수비를 최적함수비로 유지하며 다짐방법 뿐만 아니라 토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다짐기계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 - 다짐방법 및 투입장비에 따른 효과적 다짐관리방안은 다음 표와 같이 적용 - 깎기부와 흙쌓기부의 지지력이 불연속적이고 불균등하게 되어 부등침하 발생 - 깎기부와 흙쌓기부의 경계에 지표수, 용수, 침투수 등이 집중되기 쉬워 이로 인해 흙쌓기부가 약화되어 침하 발생 - 경계부는 다짐이 불충분하기 쉽기 때문에 흙쌓기부는 압축에 의한 침하가 발생함 - 편절·편성에서는 기초지반과 흙쌓기의 접착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고 지반의 변형과 활동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기 쉬움 - 절성경계부 및 편절성부에서 쌓기구간의 다짐 및 압밀정도가 원지반과 상이하여 부등침하 발생가능 - 쌓기재의 자중과 윤하중, 우수침투 등에 의한 토립자의 재배열 및 압축침하 발생 - 부등침하발생시 포장균열, 단차(Faulting), 기울어짐(Tilting)등이 발생 - 원지반과 쌓기부 접속지역의 부등침하 발생에 따른 포장안정성 및 보강슬라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통한 부등침하량 산정 - STA. 2+040 (1) Y-Displacement (2) 침하량분포곡선 (3) 검토결과
- 편절·편성구간 중 일부구간은 깎기부 하단이 토사지반으로 다짐쌓기체와의 변형계수 차이로 부등침하가 발생함 - 수치해석결과 부등침하량은 약 3.0 cm로 예상됨 - 차량공용시 부등침하로 인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시공관리를 통해 절쌓기경계부의 부등침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임 (1) 대책단면도 (2) 절·성경계부 침하대책
(2.1) 부등침하방지를 위해 흙쌓기 및 흙깎기 접속부 경사 1:4로 원지반 제거 (2.2) 접속구간장
- 흙깎기부 노상치환이 없을 때 : 25m - 흙깎기부 노상치환이 있을 때 : 17m - 원지반이 암구간일 때 : 5m (2.3) 흙쌓기부 경계면에 맹암거 설치 (2.4) 경계구간 접속부는 암버력 쌓기 배제 (1) 대책단면도 (2) 편절·편성부 침하대책
- 흙깎기 단부에서 흙쌓기부 노상 저면의 깊이 까지 굴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1:4(H:V)정도 경사의 접속구간을 두고 흙깎기부 노상 저면에 접속시킴 - 깎기부분은 흙쌓기부 노상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되메우고, 소정의 다짐도로 균일하게 다짐 - 1:4(H:V) 보다 급한 경사를 가진 흙쌓기부의 기초지반은 층따기를 실시하는 것이 좋음 - 배수를 위하여 원칙적으로 상부 노체면 또는 깎기면에 지하 배수구를 설치하고 배수 유출구로 유도 배수함 (1) 땅깎기부 상부노반에 치환이 없을 때 (2) 땅깎기부 상부노반에 치환이 있을 때 (3) 원지반이 암석이어서 접속구간을 길게하는 것이 비경제적으로 되는 경우 - 적정한 토량균형을 위해 현장에서 깎기 및 터널굴착시 발생하는 암버력을 노체로 쌓기 시공하는 것으로 계획 - 본 과업 노선은 거금터널 및 소록터널에서 다량의 암버력이 발생하므로 토공 균형상 쌓기구간의 상당부분은 암버력을 사용하여 암쌓기 시행함 - 암버력을 쌓기재료로 사용할 시에는 품질 및 다짐관리기준 검토 후 시공계획 수립 - 본 검토에서는 쌓기재료로 암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검토한 후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1) 혼합비율
- 시험시공에 의해 결정 - 토사혼합비를 달리하여 다짐 후 최적 혼합비를 결정 (2) 다짐관리
- 다짐시험에 의해 결정 - 20회 다짐도를 100%로 하는 상대밀도 90%의 다짐횟수를 관리기준으로 설정 (3) 토사유실 방지대책
- 노상아래 상부노체 60cm 설치 : 양질토사 사용, 노상안정성 확보 - 암쌓기 최상층에 Filter층 40cm 설치 : 입경 φ300mm 이하 적용, 토사유실 방지 - 비탈면 암버력 노출방지 : 식생, 조경 가능하도록 양질토로 복토 (4) 암쌓기 상단 Filter층 설치
- 암버력으로 시공되는 쌓기부의 상부노상등에 세립재를 시공하는 경우 세립토의 침출로 인한 간극이 발생하여 하자원인이 되므로 세립토의 침출을 방지하기 위한 입상재료 중간층을 설치하도록 계획 - 중간 필터작용 : 하부층은 상부층에 대해 침식을 방지하는 필터로서 역할을 함 - 입도 분포곡선 : 필터층과 상부층의 입도분포 곡선은 서로 평행하는 것이 좋음 - 침식방지 조건 : 투수성과 간극이 너무 크지 않아야 함 - 필터 조건 (Bertram, 1940) D15(필터)/D85(토사) ≤ 4~5, D15(필터)/D15(토사) ≥ 4~5 D15(암버력)/D85(필터) ≤ 4~5, D15(암버력)/D15(필터) ≥ 4~5 여기서, D15 : 암버력 재료의 15% 통과입경 D15 : 중간층 재료의 15% 통과입경 D15, D85 : 세립재의 15%, 85% 통과입경 - 노체와 노상재료로는 터널굴착시 발생하는 암버력과 깎기부의 깎기토사를 유용 계획 - 암버력과 토사의 입경차이에 의하여 제체 표면의 침투수에 의해 입경이 작은 노상층의 토사가 입경이 큰 암버력 사이로 흘러내리는 유사현상(또는 침식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음 - 따라서 쌓기재료 입도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유사현상 방지대책으로 암버력 하부에 필터층을 두는 것이 바람직함 - 중간 필터작용 : 하부층(F)는 상부층(S)에 대해서 침식을 방지하는 필터로서 역할을 함 D15F/D85S 〈 5, D15F/D15S 〉 5 - 입도분포곡선 : 필터층과 상부층의 입도분포곡선은 서로 평행하는 것이 좋음 D50F 〈 25D50S - 침식방지 조건 : 투수성과 간극이 너무 크지 않아야 함 D15F 〈 40D15S, D15F 〈 5D80S (1) 적용방법 (2) 입도분포곡선
- 상기의 필터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깎기토사의 입도분포곡선을 이용하여 쌓기재의 사용한계 Φ600mm이내에서 상하층간의 필터기능을 검토함 - 쌓기제체의 침하는 Sower(1965), Lawton & Lester(1964) 등의 경험식과 수치해석 등에 의해 산정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침하는 시공중에 발생할 것이며 잔류침하량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쌓기 기초지반이 대부분 SM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기침하의 우려는 없음 - 암반비탈면 깎기시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한 발파설계로 발파로 인한 주변시설물 및 인체의 손상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 시험발파 결과를 통하여 본 과업구간에 타당한 진동추정식을 사용하여 발파설계 수행 - 발파현장의 주변현황 및 암질 특성을 조사하여 여러 발파공법을 비교 검토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공법 선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1) 사전조사
- 파괴물 및 기반암조사 - 주변환경 조사 - 발파 여건조사 (2) 발파계획수립
- 천공, 발파방식 선택 - 사용화약 및 뇌관 선정 - 발파 패턴 설계 (3) 시험발파
- 진동 및 소음식 추정 - 발파공해 허용치 초과여부 (4) 발파공해 영향 및 효과 분석
- 시설물과 주민피해 여부 - 발파면 형상 및 파석량 조사 - 적정 장약량 산정 (5) 장악량 및 발파설계 - 본 과업의 발파예상 구간은 산악지대와 주택 밀집지역을 통과하며 발파시 발생되는 진동, 소음으로 인한 민원발생 가능성이 큼 - 본선 깎기 구간 중 암반부 발파가 예상되는 지역은 깎기 2구간 및 거금터널 시·종점부로 인근에 민가 및 구조물이 매우 근접하여 발파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됨 - 민원발생 소지가 있는 구간은 발파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특수공법 등을 비교 검토하여 선정하여야 함 - 거금터널 시점부 1+540~590 - 거금터널 종점부 1+820~840 - 거금도 깎기구간 2+460~500 - 거금터널 및 깎기구간 - 소록터널 및 우물통 발파구간 (1) 경험식(미광무국식)
- 제656호(Nichols, Johnson and Duvall, 1977) 식 V = 160(D/W1/2)-1.6 - 지형적여건, 암반의종류, 지질, 지층의두께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복합적인 통계방식으로 산출하여 노천발파 조건에서는 아주 잘 맞는 발파진동 추정식으로 평가 - 각각의 그래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시험발파의 값이 약간 상회하므로 본 과업 적용에 타당성이 있고 안전측임 (2) 비교검토 그래프 - 현재까지 국내의 터널발생시 발생하는 발파소음을 지발당장약량과 거리의 함수인 환산거리별로 회귀분석하여 발표된 연구결과는 없는 실정임 - 노천발파의 경우에는 발파소음 전파식이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바 있으며, 기존의 많은 발파설계 과정에서 별다른 검증없이 적용해 온 발파소음 전파식이 있음 - 발파작업시 발파음은 순간적인 충격음으로서 폭약의 종류 및 사용량, 이격거리, 발파 방법, 지질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그 영향범위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음 - 기존의 소음추정식을 비교·검토하여 본 과업에 적합한 소음추정식을 결정함 본 과업구간에서 적용될 소음추정식은 아래와 같이 기존의 설계과정에서 적용해 온 식과 연구보고서 및 국내 벤치발파 현장에서 측정된 발파소음 전파식을 비교 검토하여 선정함 - 상기의 조건식 중에서 가장 큰 소음이 예측되는 식을 본 현장의 발파소음 전파식으로 적용하여 안전율을 높일 수 있게 함 - 소음수준이 제일 높은 환경분쟁 조정위원회 일반 노천발파 적용식을 본 현장의 발파소음 전파식으로 선정 ※ 본 현장 발파소음 전파식 : dB(A) = -16.02log(D/W1/3) + 117.695 - 굴착대상의 암반에 긴균열과 지표면의 융기정도로 발파될 수 있도록 적정장약량을 산출하여 사전에 발파작업을 수행하므로써 암반을 느슨하게 이완시켜 대형굴착기, 도쟈 등으로 Ripping 가능한 영역으로 발파시키는 공법 - 약장약을 실시하는 특성으로 인해 암반 내부에서 폭발되므로 폭음발생이 현저하게 저감 - 장약실수 및 기타의 사유로 발생될 수 있는 약간의 비산석과 폭음을 철재로 제작된 특수 Blast Mat를 이용하여 완전히 차단시키는 방법 - 발파진동 및 소음 허용기준 이하로 발파가능 여부 - 발파진동 및 소음 규제기준 이하의 지발당 장약량 - 발파폭음 및 비산석의 피해방지 가능 여부 - 현장 조건을 고려한 시공성·경제성 분석 (1) TYPE-I
- 표준패턴도 (2) TYPE-II
- 표준패턴도 (3) TYPE-III
- 표준패턴도 - 거금터널 시점부 1+540~600 - 거금터널 종점부 1+820~840 - 거금도 깎기구간 2+460~500 (1) 적용공법 : Type-3 (70m이상구간, 공당 장약량 0.75kg) (2) 적용사유 : 발파진동 및 소음, 비산석 제어 조건 만족 (1) 적용공법
- Type-1 (35~45m구간 공당, 장약량 0.25kg) - Type-2 (45~55m구간 공당, 장약량 0.5kg) - Type-3 (55m이상구간 공당, 장약량 0.75kg) (2) 적용사유 : 발파진동 및 소음, 비산석 제어 조건 만족 (1) 적용공법
- Type-1 (35~45m구간 공당, 장약량 0.25kg) - Type-2 (45~55m구간 공당, 장약량 0.5kg) - Type-3 (55m이상구간 공당, 장약량 0.75kg) (2) 적용사유 : 발파진동 및 소음, 비산석 제어 조건 만족 - 발파진동에 따른 이완의 경우 암반내의 새로운 균열을 발생시키고 기존균열과 불연속면 등에 개구를 촉발시켜 비탈면에 부석과 낙석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균열 등은 준공후에도 풍화를 유발시켜서 비탈면의 파괴원인이 될 수 있음 - 특히 비탈면발파시에는 천공장인 크로라드릴 특성상 수직 혹은 수직에 가까운 75°천공을 시행해야 하므로 비탈면의 경사와 배치되어 발파공이 비탈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탈면에 웅덩이처럼 패인 결과를 초래하여 매끈한 암비탈면의 처리가 곤란 - 본 과업에서는 발파공으로 인한 과굴현상을 막고 암비탈면의 매끈한 마무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굴착공법을 적용함 (1) 발파공으로 인한 과굴현상 (2) 기계굴착, 이완식발파 굴착 구분도
- TYPE I
- TYPE II
- TYPE III 지반조사시 실시한 현장시험(표준관입시험) 및 실내시험결과와 연약지반 판정기준을 근거로 쌓기구간과 교량구간의 연약지반 분포여부 및 지진시 액상화에 대한 검토를 수행함 - 연약지반 판단기준 - 구조물 종류에 따른 연약지반의 판정기준
주) 깎기 및 쌓기높이 기준은 노선중심 위치임
주) A그룹 암종 : 편마암, 사질편암, 녹색편암, 석회암, 안산암, 현무암, 유문암, 감람암, 화강암
B그룹 암종 : 흑색편암, 휘록응회암, 셰일, 이암, 응회암, 집괴암
주) 1. 주향과 경사의 방향은 효율에 따른 구분임.
2. 총 평점이 75 이상은 사전발파하기 전에는 리핑 불가능함.
주) 최대 깎기고 기준은 비탈면 높이를 기준으로 함
주) 암버력이란 단단한 암석으로 된 지반을 깎기 또는 터널굴착을 했을 때 발생하는 암석조각을 말함
주) 전환식 : 양형식, 김남수(1999), 소음진동 규제법을 고려한 발파설계, 한국암반공학회, 발파기술세미나 논문집("V" : 진동속도, mm/sec)
주) qu : 일축압축강도, qc : Cone Penetrometer 저항치
주) qu : 일축압축강도, qc : Cone penetrometer 저항치, qb : 장기 허용지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