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1]

by 운영자 posted Jul 05,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무리 참을 인(忍)을 가슴속에 새겨 넣었지만 그렇게 맞고선 더 이상 레슬링을 할 수 없었다. 차라리 레슬링을 그만두고 노가다판(공사판)에서 일하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막상 노가다판에서 일을 하려고 하니 할 수 없었다.


pho_200605161720100105000001050600-001.jpg
↑ 스승의 매의 본질을 안 후부터 훈련은 즐거웠다.
스승으로부터 맞더라도 `사랑의 매`라는 생각이 들어 기분 나쁘지 않았다.



 

사람이란 참 이상했다. 시간이 흐르니 그 매가 그리워졌다. 섣부른 판단과 행동을 했음을 깨달았다. 스승 역도산의 성격이 워낙 불이라 불호령이 날 것을 각오했다. 스승에게 찾아가 무릎을 꿇고 무조건 잘못했다고 빌었다. 예상대로 스승은 불같이 화를 내며 질타했다. 스승은 `그만둬"라고 잘라 말했다.

 

그 소리를 들으니 한 대 맞는 것보다 더 아픈 것 같았다. 스승은 이런 말을 했다. "내가 너를 때리지 않으면 너와의 인연이 끝난다. 그것을 견디지 못해 도장을 뛰쳐나간 넌 레슬링을 할 자격이 없다. 레슬링은 아픔을 참고 견뎌야 하는 운동이다. 넌 일본 선수들과 다르다. 너를 때린 것은 혹독한 단련의 연속"이라고 말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스승의 매의 본뜻을 알았다. 그리고 다시 한 번 기회를 달라고 매달렸다. 곁에서 이를 지켜봤던 스승 비서 요시무라 요시오는 나를 조용히 불렀다. 그러면서 스승이 일본에서 겪었던 혹독한 고초에 대해 얘기해 줬다.

 

요시무라는 역도산은 힘들다고 푸념을 털어놓는 사람을 가장 싫어한다고 했다.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은 더 크게 꾸짖고 용기를 다시 심어 준다며 스승의 성격과 스타일에 대해 귀띔해 줬다. 요시무라는 역도산이 스모 선수 시절 겪었던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는 것도 알려 줬다. 매 따위는 고초도 아니었다고 했다.

 

매보다 더 심했던 것은 아마도 민족 차별의 고통이었을 것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맞고 또 맞으며 훈련에 전념했던 사람이 역도산이라고 설명해 줬다. 그러면서 스승이 때린 것은 다 이유가 있으니 그것을 참고 견뎌내는 것도 훈련의 한 과정이라 생각해야 한다고 격려해 줬다.

 

그 일이 있은 후 난 죽어라 하고 연습했다. 스승의 매는 여전했다. 신기한 것은 스승의 매의 본심을 안 후부터 맞아도 아프지 않았다. 무게가 실린 스승의 매를 맞아도 "고맙다"는 말이 더 자연스럽게 나왔다. 매의 본심을 몰랐을 때 "고맙다"라고 말한 것은 가식이었지만 이젠 진심으로 고마웠다.

 

스승도 그후부터 나를 대하는 태도가 조금씩 달랐다. 가끔 나를 관장실로 불렀다. 한국 음식 심부름을 시키기 위해서였다. 그것은 꼭 내게만 시켰다. 한국 김치를 몰래 사 오면 스승은 관장실에서 혼자서 그것을 드셨다. 스승은 일본인처럼 행사했었지만 고국의 김치를 잊지 못했던 것이다.

 

스승은 내게 투혼.인내심.노력 등을 자주 강조했다. 간혹 팬이 사인을 부탁하면 자신의 사인 옆에 `투혼`이란 글을 적었다. 스승이 가르쳐 준 것은 투혼과 함께 `노력하는 것`과 `결코 포기하지 않는 것` 두 가지가 더 있었다. 스승은 무슨 일이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집착을 갖고 노력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다는 사실을 항상 주지시켰다. 스승의 그런 말에 큰 용기를 얻었다.

 

1957년 10월쯤으로 기억된다. 내가 185㎝의 키에 100㎏이 넘는 탈아시아급의 체격과 엄청난 스파르타 훈련으로 `괴물 중의 괴물`로 만들어질 때즈음이었다. 그때 스승은 큰 경기를 앞두고 있었다. 전설적 철인 레슬러 로테즈와 치르는 한판이었다. 스승은 그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말 피눈물나는 훈련을 했다. 로테즈와 경기를 앞두고 일본 전역이 들떴다.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스승과 로테즈의 경기를 코앞에서 볼 수 있었다. 그 경기를 본 후 난 진짜 레슬링이 무엇인지 눈을 떴다.

 

 

정병철 기자
사진=이호형 기자

<계속>

 

?

  1.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1]

     아무리 참을 인(忍)을 가슴속에 새겨 넣었지만 그렇게 맞고선 더 이상 레슬링을 할 수 없었다. 차라리 레슬링을 그만두고 노가다판(공사판)에서 일하는 것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막상 노가다판에서 일을 하려고 하니 할 수 없었다. ↑ 스승의 매...
    Views2475
    Read More
  2.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2]

     `루 테즈!` 올드 레슬러 팬들은 루 테즈를 `철인`이라고 부른다. 그러면서 항상 "진실로 순수한 레슬러를 한 최후의 사람"이라는 찬사를 덧붙인다. 루 테즈는 명실공히 WWA(World Wrestling Association)가 배출했던 최고의 스타이자 레슬링계의 살아 있는 ...
    Views2711
    Read More
  3.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3]

     스승 역도산과 루 테즈 경기를 회상하는 것은 그 경기가 나의 레슬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난생 처음 빅매치를 보면서 난 스승과 루 테즈를 혼합한 레슬러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스승의 투혼과 루 테즈의 고난도 기술을 섞어서 나의 새로운 기...
    Views2439
    Read More
  4.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4]

     스승 역도산은 루 테즈와 경기가 무승부로 끝난 것에 대해 대단히 분개했다. 충분히 이길 수 있었던 경기였는데 두 경기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으니 말이다. 모르긴 몰라도 스승은 자존심이 무척 상했을 것이다. 주변에선 세계 최고 레슬러 루 테즈와 무승부...
    Views2650
    Read More
  5.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5]

     조 히구치는 마치 저승사자 같았다. 공이 울리자마자 비꼬듯 웃으며 머리부터 대고 마구 덤벼들었다. 성난 코뿔소처럼 나를 들이박아 불구자로 만들 태세였다. 그의 공격을 방어하기에 급급했다. 혹독한 훈련을 받으면서 수학 공식처럼 그토록 달달 외웠던 ...
    Views2435
    Read More
  6.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6]

     "승패는 병가지상사"라고 하지 않던가. 조 히구치에게 맥없이 무너진 후 처음에는 의기소침했다. 그러나 한 경기에서 졌다고 해서 낙심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에겐 다음이 있었다. 첫 경기를 치른 후 거의 보름 단위로 경기가 이어졌다. 두 번째...
    Views2522
    Read More
  7. 나의 삶 나의 도전 : 박치기왕 김일 [27]

     `박치기!` 어느 날 저녁 스승 역도산이 불렀다. "남들 다 하는 기술로는 일본에서 출세 못한다. 너는 한국인이니 박치기를 익혀라. 그게 네가 사는 길이다." 레슬링에서 상대에게 손발이 다 잡혔을 때 남은 건 머리뿐이다. 그걸로 상대의 이마나 뒤통수를 들...
    Views31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