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47 추천 수 1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속보, 사회] 2002년 10월 27일 (일) 19:23

‘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름거리며/ 가는 길….’

한센병 시인 한하운의 ‘전라도 길─소록도 가는 길에’ 한 구절이다. 이 한센병 환자들의 삶의 터전인 전남 고흥군 소록도가 개발 논란에 휩싸였다.

고흥군은 27일 “소록도의 한센병 환자가 해마다 줄고 평균 나이가 71살에 이르러 10년 정도 지나면 수용환자들이 없을 것”이라며 소록도를 국제적 해양관광단지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복지부는 국립소록도병원의 기능 전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관광지 개발은 안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 한센병 현황 = 우리 나라의 한해 한센병 발병 환자 수는 지난해 79명으로 1990년의 157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현재 한센병 등록자는 1만7700여명. 절반은 집에서, 나머지는 전국 정착 농원 85곳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있다. 소록도병원에 수용된 775명(7월말 기준) 가운데 70살 이상이 446명인 반면, 60살 미만은 120여명에 불과하다.

◇ 복지부 견해 = 복지부는 환자 수가 줄어 소록도병원 병상 이용률이 30%선으로 떨어지자 올 연말까지 병원 기능을 바꾸는 ‘국립소록도병원의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기로 하고, 3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연구 용역을 줬다. 복지부는 병원을 치매 등 노인성 질환 전문치료 연구센터로 전환하거나 모든 한센병 환자들이 이용하는 요양원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강제로 격리수용까지 당한 한센병 환자들의 한이 서린 소록도를 새로운 보건산업 기지로 전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고흥군 주장 = 군은 소록도와 2005년 우주센터가 들어서는 나로도, 거금도 등을 묶는 ‘관광개발 종합계획’을 내놓고 복지부에 소록도 관리권을 넘길 것을 여러 차례 요구해왔다. 고흥군의 계획은 138만평의 국유지인 소록도 남쪽 해안에 수영장을 갖춘 호텔, 콘도미니엄을 짓고, 소록도병원을 활용해 고령자 요양용 건강관리 지원시설을 갖춘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5월 착공한 고흥 녹동~소록도~거금도를 잇는 연육교가 2007년 완공될 예정이어서 최소한 이때까지는 소록도를 돌려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흥군 기획예산실 구현진(34)씨는 “환자가 없으면 복지부가 소록도를 관리할 명분이 없다”며 “이른 시일 안에 섬을 지역주민에게 돌려줘 관광지로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종식 기자 jongs@hani.co.kr



한센병이란? = 한센병은 문둥병·나병이라 하던 질병으로 병을 일으키는 나균이 피부와 신경을 침범해 피부에 반점이 생기거나 감각·운동신경의 마비를 일으키는 전염성 질환이다.
한센병을 일으키는 균은 사람 몸 밖에서는 대략 1주일 정도 생존할 수 있으며 감염되면 3~5년의 잠복기를 거친다. 주로 전염이 되는 경로는 활동성 한센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접촉했을 때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서다. 한국한센복지협회는 “최근엔 약제가 좋아 조기에 발견하면 거의 완치할 수 있고 6개월 이상 꾸준히 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엔 전염력도 거의 없다”고 밝혔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 ?
    장준채 2002.10.28 21:07
    네 저도 방금 급하게 보고 이곳에 소식글 올릴려고 왔은데 역시 빠르시네요. 음...
    결국 연륙교가 소록도의 open에 복지부의 명분에 걸려서 지지부진 했었군요. 이럴때 일수록 고흥군청에 응원을 보내야 하겠습니다.
    특히 고흥군 기획예산실의 구현진님 멋지십니다.
    http://www.goheung.jeonnam.kr/sm4/sm4-2.htm 이곳에 칭찬하면 좋겠네요(xx1)
  • ?
    장준채 2002.10.28 21:14
    복지부의 정책포럼에 우리의 입장을 피력해보면 어떨까요?
    http://www.mohw.go.kr/nado/policy/list.html?page=1
  • profile
    거금도 2002.12.04 07:28
    소록도의 인권유린 고발등록일자(인터넷한겨례):2002.03.13(수)

    한센병 환자들이 가족과 이웃을 떠나 밀려들어간 땅 소록도. 그곳에는 지금 `개발'과 `인권'을 둘러싼 논쟁이 한창이다. 소록도가 있는 전남 고흥군은 도양읍~소록도~거금도 연륙교를 놓고 소록도에 골프장과 호텔을 지어 관광명소로 활용하겠다고 나섰고, 이에 맞서 `인권유린 현장'으로서 소록도를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록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소사모·대표 김신곤 전남대 교수)이 지난해 결성된 데 이어, 15일에는 최초로 한센병 환자들의 인권선언식이 열릴 예정이다. 그렇다면 한센병 환자들의 `실버타운'쯤으로 여기는 소록도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기에 `인권'을 찾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일까.

    문화방송이 14일 방송하는 2부작 다큐멘터리 <아! 소록도>(낮 12시5분·구성 김인정)에서는 소록도의 한맺힌 역사와 인권유린의 실체를 재조명한다. 일제가 설립한 국립소록도병원에서 한센병 환자에 대한 남성생식능력 제거작업이 계속돼 왔다는 충격적인 사례를 고발하고, 지금도 그 자녀들이 사회적 편견 탓에 학교에도 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조명한다. 또 한센병에 대한 편견을 반인권적 문제로 규정하고 국가를 상대로 한센병환자들이 소송을 벌인 일본의 사례를 통해 오늘 우리의 인권사회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살펴본다.

    김휘 피디(광주문화방송)는 “한센병의 고통이 자식에 대물림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며, “한센병은 의학치료 못지 않게 사회치료가 중요하다”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광주에서 지난해 12월 방송된 <아! 소록도>는 한국프로듀서연합회에서 선정한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을 받았다.

    권정숙 기자good@hani.co.kr
  • ?
    지나가는 이 2003.02.11 00:05
    고흥군청 구현진님..
    당신이 이 나라 관리가 될 자격이 있는가 심히 의심 스럽습니다..
    당신이 한 지역의 녹을 먹는 관리로서.. 관할 지역 주민인 소록도 환우분들한테 해준게 머가 있습니까?
    그리고 복지부한테 소록도 관리권을 넘기라구요..?
    참 기가 막혀서 이야기도 안 나옵니다..
    대체 당신이 아는게 멉니까? 당신이 의료 행정에 대해서 알기나 해요?
    참.. 당신 같은 사람이.. 이 나라 관리라는게.. 너무 웃깁니다..
    아니지 웃기지도 않는 코메디에요.. 알겠어요?
    그리고 장준재님.. 거금도 많이 가봤는데.. 소록도에 봉사하면서
    거금도 섬이 깨끗하고 좋던데... 사람 인심은 그게 아닌가 보죠?
    소록도에 계신 분들은.. 다 당신 어버이뻘 분들입니다..
    당신이 동방 예의 지국에 사는 사람이라면... 어떤게.. 도의에
    맞는 일인가..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 ?
    오화탁 2016.08.31 23:50
    고흥 도양읍에 소재한 소록도는 한센인환우가족들의 한맺힌 역사와 인권유린의 실체현장입니다.
    이런 역사의 한얼이 맺힌곳에 관광개발을 한다는 말은 맞지 않습니다.

    한센인 정착 100주년을 맞는해 이기도 합니다. 아픔과 상처를 간직한 섬이라는 사실은 쉽게 와 닿지 않을겁니다.
    일제강점기인 1916년 조선총독부가 한센인 100여명을 이곳에 강주 이주시킨 이후 100년이 지난 지금 소록도에는 한센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은 거의 없습니다.
    한센인들의 피와 고름이 흐르던 1번지 성당은 2014년 재건축을 통해 스페인풍의 성당으로 변모했지요?

    그러나 이들이 과거 느꼈던 상처와 고통의 흔적은 소록도에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환자들의 희생과 피땀으로 조성된 소록도 중앙 공원 입구에는 당시 병원장이 한센인들을 불법감금하고 출감할 때 강제로 정관수술을 했던 감금실과 검시실이 있습니다.
    소록도에 살고있는 이들은 아픈 기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역사의 현장입니다.

    1984년까지만 해도 소록도의 부두는 직원 전용과 환우 전용으로 분리돼 있었다. 환우 전용 부두였던 ‘제비선창’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소록도 방문 직전에 폐쇄를 했지요.

    한센인들의 어머니 역할을 하며 43년간 봉사한 마리안느와 마가렛 수녀가 머물던 공간도 엿볼 수 있는 현장입니다. 지난해 복원공사를 거쳐 새 단장한 이 집은 소록도 병사 성당과 더불어 문화재로 등록을 해야만 할것입니다.

    소록도 서쪽 끝 십자봉 근처에 위치한 ‘치유의 길’은 과거 한센인의 상처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공간이자 이들의 상처를 보듬는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는 장소여서 이곳 또한 보존을 해야만 하구요

    1933년 국립소록도병원 제4대 원장으로 부임한 수호 마사키는 한센인들에게 강제노역을 시키고 인권유린을 저지른 인물로 알려져 있지요. 마사키 원장 시절 소록도 탈출을 시도하는 원생들이 많아졌고, 마사키 원장은 한센인들의 탈출을 감시하고 탈출자들을 신속히 잡기 위해 한센인들을 동원해 20일 만에 4km의 길을 완공시켰다. 이 길을 걷다 보면 소나무 세 그루가 나란히 놓여 있는데, 여기엔 원생들이 힘들어 자살한 낙화암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슬픔과 아픔을 승화시키기 위해 김연준 신부와 수녀들은 이 길을 ‘치유의 길’로 명명했지요
    김연준 신부는 “소록도에는 한센인들이 아픔이 녹아 있지만, 이들의 아픔을 치료하고 보듬어 준 사람들로 인해 아름다움도 깃들어 있다”며 “소록도가 힐링의 땅으로 알려지길 바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일제가 설립한 국립소록도병원에서 한센병 환자에 대한 남성생식능력 제거작업이 계속돼 왔다는 충격적인 사례를 고발하고, 지금도 그 자녀들이 사회적 편견 탓에 학교에도 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우리 국민들은 그 동안 많이 모르고 있었습니다.

    한센병에 대한 편견을 반인권적 문제로 규정하고 국가를 상대로 한센병환자들이 소송을 벌인 일본의 사례를 통해 오늘 우리의 인권사회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빨리 한센인환우가족들의 보상을 떠나서 위안부가족들의 치유처럼 이곳 소록도의 한센인환우가족들의 인권치유가 우선일겁니다.

    일본놈들이 불법감금하고 강제 정관수술 했던 감금실과 검시실 흔적 그대로 다 역사의 아픔진실을 규명할때까지 역사의 산실로 영구히 보존을 해야만 합니다. 그런데 무슨 관광지개발이 웬말입니까? 돈에 눈이먼 자들이 살며시 언론플레이를 했군요?

    고흥사람 - 오화탁 올림-
?

언론 고향 소식

언론에 비친 고흥군 관련 소식을 전합니다.

  1. No Image

    흥농종묘 현장취재- 삼일황 양파 재배[02.5]

    ▲삼일황양파 수확모습 ▲ 출하직전의 삼일황양파 "삼일황양파는 고흥군 전체에서 가장 우수한 작황을 보였습니다" 왼쪽부터 고흥군 금산면 대흥농약사 김기완 사장, 재배농민 최현남씨, 흥농종묘 이병호 차장 ▲ 지난 4월 11일 삼일황양파 품종평가회에 참석한 ...
    Date2002.12.27 By거금도 Views3762
    Read More
  2. No Image

    고흥군 동영상 감상하세요 ^^1

    이게 언제 제작되었는지는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저도 이걸 '고흥사람 고흥사랑' 이란 다음 카페에서 유종석님께서 재 편집해서 올린 동영상을 녹화해서 홈페이지에 올린겁니다. 짐작으론 2000년전에 제작된것 같습니다. 참고로 現 고흥군 군수는 진종근님입...
    Date2002.12.23 By거금도 Views3617
    Read More
  3. 좀수수치를 들어보셨나요.[우리나라 고유어종]1

    모든걸 그냥 미꾸라지라고만 알고 불렀었는데.. '좀수수치'라는 조금 낯선 학명을 갖고 있었네요.. 아래는 설명입니다. 한국담수어류 - 미꾸리 과 설명 몸은 가늘고 길며 입은 머리 아래쪽에 있고 입술은 육질로 되어 비교적 두꺼우며 입 주변에는 3쌍의 수염...
    Date2002.12.14 By운영자 Views4570
    Read More
  4. No Image

    금장인들의 까페가 만들어 졌습니다.1

    http://cafe.daum.net/kjanghttp://cafe.daum.net/kjang
    Date2002.11.28 By금장 Views2120
    Read More
  5. No Image

    [고흥 유자골] 호젓한 남도 끝자락 추억이 주렁주렁 열렸네…

    초록 캔버스에 노란색 점이 빽빽하게 찍힌 거대한 점묘화 속으로 들어선다. 유자나무는 선비의 품성을 닮았다. 꼿꼿한 가지는 열매가 주렁주렁 맺혀도 감나무처럼 결코 고개를 숙이는 법이 없고,두꺼운 잎은 댓잎처럼 계절이 바뀌어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
    Date2002.10.30 By거금도 Views2772
    Read More
  6. No Image

    전남 고흥군 '소록도' 관광지 개발 논란5

    [속보, 사회] 2002년 10월 27일 (일) 19:23 ‘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름거리며/ 가는 길….’ 한센병 시인 한하운의 ‘전라도 길─소록도 가는 길에’ 한 구절이다. 이 한센병 환자들의 삶의 터전인 전남 고흥군 소록도가 개발 논란에 휩싸...
    Date2002.10.28 By거금도 Views3747
    Read More
  7. No Image

    거금팔경 居金八景

    :: 거금팔경居金八景 :: 산수가 비단같이 수려하다고 해서 錦山이라는 지명을 얻었다는 금산에는 옛부터 풍류인風流人들이 즐겨찾는 여덟가지의 아름다운 경치가 있었으니 이를 곧 거금팔경居金八景이라 한다. 그러니까 거금팔경은 단양팔경丹陽八景이나 관동...
    Date2002.10.23 By거금도 Views2298
    Read More
  8. No Image

    머리 식히는 시간입니다!2

    새로오신 우리 금산면장에게 드리는 글임니다! 작성자:재광고흥군 향우회 부회장 이기철 안녕하십니까? 금산면장 취임하시는 날이 벌써 1개월이 가까워지는군요 저도 금산면 신촌마을 출신자이며 공직의 선배 그리고 금산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제는 한말...
    Date2002.10.21 By이 기철 Views2031
    Read More
  9. No Image

    [기사] 재경 고흥군 향우회장을 만나다~~

    본문의 기사는 지난6월26일 고흥신문 서울김정석 기자가 재경향우회 진영화 회장을 취재했던 내용입니다. 이글은 고흥인을 위한 고흥사람 고흥사랑이라는 다음에 있는 카페에서 발췌한 글로써 카페주소는 (xx34) http://cafe.daum.net/ckp 입니다.. 기사내용 ...
    Date2002.10.12 By거금도 Views2171
    Read More
  10. No Image

    재경 고흥군 향우회 금산면 방문에 즈음하여

    재경 고흥군 향우회 에서 내고향 바로 알기 사업으로 인한 고흥군 16개 읍면을 선정하여 방문한다. 재경 고흥군 향우회 진 영화 회장께서는 금산면 신평리 신평 마을에서 태여나 초등학교 까지 마친 사람이다. 출향민중에서 특히 재경 고흥군 향우회 25만명의 ...
    Date2002.08.19 By금산인 Views29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