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5화 : 물질

by 달인 posted Dec 27,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5: 물질

 

 

 

해녀들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물질이라고 한다. 요즈음은 이 물질을 해녀들이 많다는 제주도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우리 쇠머리 앞 바다에서도 심심치 않게 물질하는 광경을 볼 수가 있었으니……

 

대략 5~6톤 정도 되는 통통배는 10여 명 남짓한 해녀들을 싣고 다니다가 채취할 만한 해산물이 있음직한 바다의 곳곳에다 해녀들을 떨어뜨려 준다. 그러면 해녀들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바다 속 곳곳을 헤엄쳐 다니면서 전복이나 소라, 그리고 성게 등등의 해산물을 채취하는 것이다.

산소 호흡기를 달지 않고 물속으로 들어간 그녀들인지라 물속에 오래 있지 못하고 대략 2~3분이 지나면 물 밖으로 고개를 내밀어 숨을 내쉬고 다시 물속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고개를 내밀 때 오랫동안 참았던 숨을 후유우~~~’하고 길게 내쉰다. 이렇게 내쉬는 숨소리를 숨빗소리라고 한다. 그리고 채취한 해산물을 넣는 그물망을 망사리라고 하며, 망사리를 매어 놓고 거친 숨을 고르면서 지친 몸을 쉬기 위하여 잡고 있는 뒤웅박을 태왁이라고 한다.

이렇게 몇 번을 반복하여 그 부근의 해산물을 거의 모두 채취하였다고 생각되는 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통통배는 다시 와서 그녀들을 싣고 새로운 작업장을 찾아 통통통통~~~~‘ 하고 떠나가는 광경을 우리는 자주 목격했던 것이다.

 

한편 제주도 토박이말로 정낭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집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대문 대신 가로로 걸쳐 놓는, 길고 굵직한 나무.를 이른다.

정낭은 통상 3개의 나무로 되어 있는데,

정낭이 하나도 걸쳐 있지 않으면 집에 사람이 있다는 의미가 되며,

정낭이 하나만 걸쳐 있으면 집안에 사람이 없으나 곧 돌아온다는 의미이고,

두 개의 정낭이 걸쳐 있으면 저녁 때 쯤 돌아온다는 표시(금일 중에 돌아온다는 표시)가 되며,

세 개의 정낭이 모두 걸쳐 있으면 집에서 먼 곳으로 출타했다는 표시이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이 단어가 정낭이 맞는지 정남이 맞는지 지금까지 헷갈린다. 나는 오래 전부터 정낭으로 알고 사용하고 있는데 생뚱맞게도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정남으로 올라 있기 때문이다. 더더구나 방언이라는 친절한 설명도 함께.

나는 제주도 토속어인 이 단어를 정남으로 등재한 이유를 물었으나 명확한 대답이 없다. 또한 엄연히 현물이 존재하고,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이 사용하는 이 단어를 표준어가 아닌 제주도 방언이라고 규정함은 잘못된 것이므로 표준어로 지정해 달라고 국립국어원과 오랫동안 언쟁을 벌였다. 그러나 그들은 제주도라는 한 지방에서만 쓰이고 있어 표준어로 지정할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또한 정남정낭으로 바꾸지도 않는다.

다들 아는 바와 같이 표준어규정 총칙 제1항을 보면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서울말서울 사람이 쓰는 말.을 의미한다.

이 논리대로라면 결국 아무리 좋고 한국을 대표하는 것이라도 서울에는 없고 한 지방에만 존재하는 물건의 이름은 표준어로 지정될 수 없다는 것 아닌가?

 

현대는 세계를 지구촌이라고 부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제주도는 관광특구로 지정되어 우리나라 국민들만이 아닌 전 세계인이 즐겨 찾는 곳이다. 곧 제주도의 모든 것이 우리 대한민국을 상징하는데도 이를 간과하고 규정에만 얽매인 국립국어원의 편협함에 실망이 크다.

그리고 경기도 양평에 있는 연예인 강호동의 별장도 입구가 정낭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그들은 그것을 무엇이라고 부를까? 많이 궁금하다.

 

 

태왁 - 제주도에서 해녀가 바다 속에서 몸을 의지하고, 또 채취한 해산물을 넣는 망사리를 매어 놓기 위하여 띄어 놓은 둘레 80-90cm 정도의 큰 박을 사용하여 만든 뒤웅박. 또한 해녀들이 물질을 하러 가거나 올 때 배 위에서 노래의 장단을 맞추기 위해서 두드리던 대용 악기로도 사용되었는데 현재는 문명의 발달로 스치로폼으로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어 악기로서의 기능은 없어졌다고 할 것이다.

 

 

  • ?
    달인 2011.12.27 16:35

    본문에 나오는 '정낭'에 대하여 한 마디.

     

    지난 12월 22일

    국어문화원에 또 항의를 하여

    '정남'을 '정낭'으로 표기하는 안과

    '정낭'을 표준어로 지정하는 안을

    표준어심의위원회에 품신하겠다는 대답을 얻어냈다.

     

    언제 심의위원회가 개최될 지는 미정이지만

    그 결과가 기대된다.

?

  1. 제117화 : 윷놀이1

    제117화 : 윷놀이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로서 주로 설날에 온 가족이 모여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는 무엇일까? 답은 윷놀이이다. 오늘은 던지기만 하면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이 윷놀이를 주제로 재미있는 우리말 여행을 떠나보자. 윷놀이에...
    Date2013.02.06 By무적 Views9980
    Read More
  2. 제80화 : 영각1

    제80화 : 영각 앞의 글 제75화 ‘워낭’에서 30여년을 동고동락했던 소의 무덤을 날마다 찾는다는 최원균 옹의 이야기가 암시하듯이 예부터 ‘소’라는 동물은 우리네 농가에서 제일로 치는 가축이었다. 제이차세계대전이 한창일 때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전쟁에 필...
    Date2012.07.17 By달인 Views4298
    Read More
  3. 제46화 : 아람1

    제46화 : 아람 나의 호적상 또는 주민등록상 본 이름은 金哲鏞(김철용)인데 우리 金海 金氏 족보에는 金哲鎬(김철호)로 등재되어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태어 날 때에는 우리가 수로왕의 74세손으로 이름 끝 자가 鏞자 돌림이 맞았는데 족보를 정리하는 과정에...
    Date2012.03.26 By달인 Views3484
    Read More
  4. 제5화 : 물질1

    제5화 : 물질 해녀들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서 해산물을 따는 일을 ‘물질’이라고 한다. 요즈음은 이 물질을 해녀들이 많다는 제주도에서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우리가 어렸을 적에는 우리 쇠머리 앞 바다에서도 심심치 않게 물질하는 광경을 볼 수가 있었으니……...
    Date2011.12.27 By달인 Views29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