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88화 : 흔전만전

by 달인 posted Aug 17,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88: 흔전만전

 

 

가진 것도 없고 많이 배우지도 못한 우리 대부분의 서민들은 흥청망청 쓸 돈은 없지만 그래도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예의범절 내지는 공중도덕은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부와 권력을 손에 쥔 부모를 둔 일부 얼빠진 놈들(절대 그들의 전부가 아닌 일부에 한정시키며, 나는 그 부류에 속하는 놈들을 개쌔이들이라고 부른다)의 의식 상태와 생활상이란!

그들과 어울려보지 못한 나인지라 그들의 의식 상태와 생활상을 속속들이 일지는 못하지만 나도 뉴스를 보고, 신문을 보며, 상황을 종합해 보는 판단력이 있는 사람이기에 일부의 행태는 추측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재벌가들을 가만히 살펴보면 창업주의 자식들(‘재벌라고 하자)은 조금 덜 하는데 그 창업주의 자식들의 자식들(‘재벌라고 하자)이 문제다.

해방 전부터 창업을 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창업주들은 육이오전쟁이 할퀴고 간 폐허 위에서 창업을 하였기에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회사를 꾸려나가는 유일한 방법은 피땀 어린 노력과 철저한 절약뿐이었다.

재벌세들은 그런 아버지의 곁에서 아버지가 어떠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회사를 키워왔는지를 보면서 자랐다. , 그들은 인격을 형성해 가는 어린 시절부터 어른이 될 때까지는 그냥 평범한 보통사람으로 세상의 다른 보통사람과 어울리면서 살았고 또 아버지에게서 노력과 절약하며 사는 방법을 보고 배웠기 때문에 그다지 망종은 아니었다.

그런데 이놈의 재벌세는 그렇지가 않다.

그냥 자기의 노력과 근검·절약만을 바탕으로 한, 즉 주먹구구식으로 회사를 운영해 온 창업주에게서 경영수업을 받은 재벌세들은 점점 글로벌화 되어가는 세계시장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재벌세들을 외국으로 유학을 보내는 등 경영교육을 시키는데.

어려서부터 재벌세로서 안하무인격의 극진한 대우를 받아온 이 부류들이 공부라고 제대로 할 수 있겠는가? 더더구나 말도 통하지 않은 외국에서 말이다.

그래서 고작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돈을 쓰는 일밖에 없다.

그런데 그들의 돈은 마치 화수분처럼 쓰고 또 써도 마르지 않는다.

그들에게 돈의 의미는 흥청망청 노는데 쓰는 비용에 불과하다. 왜일까?

공부하기 싫어한 놈을 억지로 외국에 보낸 재벌세들은 자식들에게서 바라는 것이 딱 한 가지이다. 어차피 경영권을 이어 받을 사람은 정해진 일이기에 단지 아버지(=자기) 얼굴에 먹칠만 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었다. 그 먹칠이란 외국에서 도박을 하고, 마약을 하고 하는 등 말썽을 피워 국내여론을 악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돈을 흔전만전 쓰는 재벌세들은 자식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돈은 얼마든지 써도 좋으니 제발 말썽만 피우지 말라!”.

그렇게 교육받고 그렇게 행동해 왔고 그렇게 끼리끼리 어울려 인간 망종의 짓을 해온 재벌세들이 국내로 들어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까?

그것은 각자의 상상에 맡긴다.

 

나는 언젠가 다른 글에서 현대의 계급사회가 예전의 양상으로 구분지어진 사회보다 더욱 질곡이 깊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또한 썩은 홍어 좆이고 똥통에 구더기라는 속담을 있는 놈들은 우리 같은 서민들을 전부 이렇게 보고 있으니까 다들 영념하시라!’풀이한 적이 있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듯 근간에 황석영 선생님이 발표한 바리데기라는 소설을 읽어보면 북한의 일부 권력층 자제들의 의식도 우리의 재벌세들의 의식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개쌔이들은 다시 그네들만의 혼인으로 결속을 다져 보통사람들이 감히 넘볼 수 없는 자기들만의 성을 높이 쌓아 끼리끼리 자자손손 그 성에서 우리 같은 서민을 썩은 홍어 좆으로 혹은 똥통에 구더기 정도로 여기면서 살고 있다.

그래, 그것까지는 그렇다고 치자.

그런데 그네들이 우리 사회의 지도층입네 하고 꼴값을 떠는 것을 보면……

 

그러나 너무 그렇게 걱정만 하지 말자.

그네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는 건전한 사고방식을 지닌 47백만 명의 우리 국민이 있잖은가!

흔전만전 - 매우 넉넉하고 흔한 모양. 돈이나 물건 따위를 조금도 아끼지 아니하고 함부로 쓰는 모양.

흥청망청 - 흥에 겨워 마음대로 즐기는 모양. 돈이나 물건 따위를 마구 쓰는 모양.

 

  • ?
    달인 2012.08.17 14:28

    이번 주말로

    올 여름의 휴가도 대충 끝나겠지!

     

    어제까지 비가 오락가락하더니

    오늘은 또 불볕더위.

    그래서 그런지 거리에 나다니는 사람도 보기 힘들다.

?

  1. 제96화 : 조쌀하다2

    제96화 : 조쌀하다 세계에서 여성이 대권을 잡은 경우는 얼마나 될까? 철의 여인이라고 불렸던 영국의 대처 수상을 필두로 하여 독일과 뉴질랜드에서도 여성 수상이 정권을 잡았으며, 그 외에도 핀란드, 칠레, 아일랜드, 필리핀, 아르헨티나 등에 이어 작년에...
    Date2012.09.20 By달인 Views4382
    Read More
  2. 제95화 : 그리운 억만이 성!1

    제95화 : 그리운 억만이 성! 누구에게나 기억에 남는 책 한 권쯤은 있는 법이다. 하얗게 밤을 지새우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던 책. 주인공의 감정에 몰입되어 함께 웃다 울다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며 아쉬움에 잠겼던 책. 그리하여 벅찬 감동으로 새벽을 ...
    Date2012.09.14 By달인 Views4010
    Read More
  3. 제94화 : 삼가다1

    제94화 : 삼가다 우리나라의 최대 여객운수회사는 (최근의 자료에 의하면) 차량대수 1,214대에 종업원 2,300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금호고속이다. 금호고속은 창업주인 고 박인천 님께서 1948년에 트럭을 개조하여 광주여객이라는 상호로 사업을 시작하였다는데...
    Date2012.09.11 By달인 Views3974
    Read More
  4. 제93화 : 무릿매1

    제93화 : 무릿매 1970년대 초반에 채 20살이 못된 시골의 젊은 청춘들은 낮에는 집안 일로 바빴지만 혼자의 시간인 밤에는 무엇을 하며 젊은 혈기를 억눌렀을까? 밤이 짧은 봄이나 여름, 가을철에는 역기와 아령으로 근육을 단련시키는 등 육체미운동으로 하루...
    Date2012.09.07 By달인 Views3634
    Read More
  5. 제92화 : 모지랑이1

    제92화 : 모지랑이 아주 가끔씩 빛바랜 앨범을 들추어 보면, 많지는 않지만 어렸을 때 찍은 흑백사진들이 나를 미소 짓게 한다. 그런 사진 중에 압권인 것은 내가 중학교 1학년 때, 큰 누나의 결혼기념으로 우리 5남매가 당시의 쇠머리 우리 집 마당에서 함께 ...
    Date2012.09.04 By달인 Views3856
    Read More
  6. 제91화 : 쪼다1

    제91화 : 쪼다 「조금은 어리석고 모자라 제 구실을 못한 사람」을 ‘쪼다 같은 사람’ 또는 줄여서 그냥 ‘쪼다’라고 한다. 이 말의 어원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장수왕의 아들인 조다(助多)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잘 알다시피 장수왕...
    Date2012.08.30 By달인 Views3925
    Read More
  7. 제90화 : 발등걸이1

    제90화 : 발등걸이 지난 런던 올림픽에서 사상 처음 동메달을 딴 축구팀의 박종우 선수가 일본을 이기고 동메달을 땄다는 감격에 도취하여 관중석에서 던져준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피켓을 들고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았겠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그...
    Date2012.08.23 By달인 Views3713
    Read More
  8. 제89화 : 반기1

    제89화 : 반기 큰집 제사에 다녀오신 엄마가 내놓은 떡과 쌀밥을 맛있게 먹던 녀석이 문득 엄마에게 묻는다. “엄마, 제사가 뭐야?” “후손들이 돌아가신 조상의 은덕을 잊지 않고 기리는 것이란다.” “왜 제사를 지낼 때는 떡도 하고 쌀밥을 하는 거야?” “돌아가...
    Date2012.08.20 By달인 Views3575
    Read More
  9. 제88화 : 흔전만전1

    제88화 : 흔전만전 가진 것도 없고 많이 배우지도 못한 우리 대부분의 서민들은 흥청망청 쓸 돈은 없지만 그래도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예의범절 내지는 공중도덕은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것 같은데…… 부와 권력을 손에 쥔 부모를 둔 일부 얼빠진 놈들(절대 그...
    Date2012.08.17 By달인 Views4593
    Read More
  10. 제87화 : 검정새치1

    제87화 : 검정새치 현대를 무한경쟁시대라고 한다. 학교에서만이 아닌 직장(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적자생존(適者生存)의 원칙이 적용된다. 그러면 이러한 경쟁시대에서 어떠한 사람이 이기게 되는가? 물론 통상적으로는 자신의 부단한 노력을 ...
    Date2012.08.13 By달인 Views3749
    Read More
  11. 제86화 : 내 별명이 ‘김따져!’1

    제86화 : 내 별명이 ‘김따져!’ 어디에선가 「걱정」에 대해서 읽은 내용이다. 70%는 일어나지도 않을 일에 대한 걱정이요, 20%는 걱정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닌 걱정이요, 단지 10%만이 진정 걱정해야 할 걱정이라고. 나는 내가 생각해도 조금은 심하다고 ...
    Date2012.08.09 By달인 Views3609
    Read More
  12. 제85화 : 깨끼3

    제85화 : 깨끼 예전에도 그랬지만 요즘에도 변함없이 사용되고 있는 말 중에 아직도 왜 그렇게 사용되는지가 의문인 것 중 하나가 ‘쌀을 판다’라는 문장이다. 통상적인 ‘사다’와 ‘팔다’라는 단어의 의미를 적용시키면 값(돈)을 주고 쌀을 사면 ‘쌀을 산다’라고...
    Date2012.08.06 By달인 Views36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