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城 연혁 및 위치 목장성은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의 어전리와 석정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속칭 ‘절이도 목장성’이라고도 불리는 성명(城名)은 조선시대 ‘거금도’의 옛 지명에서 연유된 것이다. 목장성은 거금도의 등뼈 역할을 하고 있는 적대봉(해발 592.2m)과 용두봉(해발 418.6m)의 중간 계곡을 형성하는 부분과 두 봉우리가 연결되는 능선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섬을 중간으로 나눈 남북방향으로 축성됐다. 체성은 완만한 구릉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서쪽 사면 끝자락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해안선까지 이어진다. 이 목장성은 ‘조선왕조실록’ 세조 12년(1466) 2월 기축(17일) 조에 “전라도의 점마별감 박식이 아뢰기를, ‘흥양 절이도는 주위가 270리인데, 물과 풀이 모두 풍족하여 말 8백여 필을 방목할 수 있다. 청컨데 회령포, 금갑도, 돌산, 남도포, 어란포 등 여러 포구의 선군으로서 목장을 수축하게 하소서’하니, 그대로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왕조실록’성종 1년(1470) 1월 계미(4일) 조에는 “사복시 제조가 각지에서 기르는 마소(牛馬)의 원래 숫자와 현재 잃어버린 숫자를 알외다…. 흥양의 도양곶이에는 본래 방목한 말이 666두였는데 고실이 136두, 유실이 5두이며, 절이도에는 본래 방목한 말이 364두였다”라고 적고있다. 이와함께 ‘시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흥양현 산천조엔 “절이도는 현의 남쪽 30리에 있으니, 둘레가 1백리요, 목장이 있다”고 나타나 있으며, ‘호남읍지’(1895년)의 흥양목장지사례에는 “절이도는 동서 30리이고 남북 10리이며 둘레는 100리이다. 관문으로부터 거리는 녹도진까지 10리이고 수로(水路)로 30리이다. 민호는 180호이며 방목을 한다”는 기록을 통해서 목장성의 연혁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절이도 목장성은 조선 세조 12년(1466) 전라도 점마별감 박식의 주청에 의하여 물과 풀이 모두 풍족해 약 800여 필의 말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제로 1470년에는 364필의 말을 방목하는 등 절이도 목장은 조선 전기에 중요한 목장 가운데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 城 규모 및 현상 이 성은 중간을 남북으로 가로질러 축조된 차단성 즉, 장성(長城)이며 내외 협측의 석축성이다. 체성의 길이는 섬 북쪽의 유적이 확인되지 않은 부분을 제외 하고도 4천652m에 이른다. 너비는 하부 3.2m, 상부는 1.4m이다. 체성의 축조 방법은 내벽의 경우 먼저 바닥에 잡석을 깔고 그 위로 너비 30~80cm, 두께 20~60cm 크기의 부정형 할석으로 80cm까지는 성돌의 열이 맞지 않게 막쌓기를 하였다. 그 위로 너비 30~50cm, 두께 15~30cm의 판석형 석재를 사용하여 열을 맞추었다. 그리고 비교적 성돌의 정연한 면을 바깥쪽으로 하여 성벽의 전체 면이 고르게 축조하였다. 이에 비해 외벽은 3단의 계단식으로 축성되었다. 1단은 수직으로 80cm 올라가서 내측으로 80cm 들어간다. 2단은 80cm 올라가서 내측으로 40cm 들어가고, 3단은 다시 120cm 올라간다. ![]() 2004년 12월 01일 00시 00분 입력 글/ 김선기 기자 kimsg@kjtimes.co.kr 기사발췌: 광주타임스 ![]() ·참고자료 : 절이도 목장성-지방 기념물 제206호 | ![]() | ||||||
![]() | ![]() | ![]() |
2004.12.19 09:31
전라도 城=고흥 금산 목장성
조회 수 3639 추천 수 0 댓글 0
Who's 거금도

갈색 바위, 노랑 모래, 회색 이끼, 초록 나뭇잎,
푸른 하늘, 진주빛 먼동, 산마루에 걸린 자주빛 그림자,
해질녘 진홍빛 바다위의 금빛 섬,
거금도
언론 고향 소식
언론에 비친 고흥군 관련 소식을 전합니다.
-
No Image
[전라남도청] 전남도, 섬 관광자원개발 궤도 본격 시동
- 전남도, 박준영 도시자 고흥·여수 등 남해안도 현지시찰 나서 - 박준영 전남도지사는 최근 천혜의 섬으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제도를 헬기시찰한데 이어 2일에도 고흥과 여수 등 남해안지역 일원을 헬기로 시찰, 주민들과 대화를 갖는 등 섬 관광자원개발을 ... -
No Image
"금산면민의 날 개정 8월 15일 ▷ 5월 10일"2
○ 금산면 면민의날 집행위원회는 17일 면 회의실에서 면민의날 집행위원회 임시총회를 갖고 “면민의 날 개정” 건에 대해 승인을 얻었다. ○ 집행위원장인 이혁근 금산면장, 신광주 군의회의장 등 이사, 대의원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총회 에서는 당... -
No Image
섬마을 고교의 학생 유치 작전
덧붙이는 글 -기자는 특수교육 분야를 비롯한 우리 교육계의 소외된 곳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라남도 교육위원이다. -홈페이지 주소:http://www.cck.pe.kr/ [오마이뉴스 2005-01-08 16:35] -
No Image
오일장 속으로 '고흥녹동장'
김 파래 감태 매생이…바다냄새 펄펄 고흥 녹동장 ▲ 녹동장 터줏대감 박동예 할머니 좌판에서 굴맛을 보고 있는 거금도 사람 박금용(사진왼쪽)씨와 권부종씨. 입에 침이 마르도록 '꿀맛'보다 좋은 '굴맛'을 자랑한다. ⓒ 김태성 기자 오일장을 찾을 때마다 새롭... -
No Image
거금도 일주도로 개통3
고흥 거금도 일주도로 개통 금진항서 대흥-어전리-오천리구간 ▲거금도 일주도로 개통식 현장 (고흥=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전남 고흥군 거금도 일주도로가 착공 7년여만에 완전 개통돼 관광자원으로 한 몫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흥군은 28일 금산면 오천리... -
No Image
전라도 城=고흥 금산 목장성
전라도 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금산 목장성. 이 성은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 어전리와 석정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일명 ‘절이도 목장성’이라고도 불리는 이 성의 이름은 조선시대 ‘거금도’의 옛 지명에서 유래된 것이다. ⓒ 사진/ 한 석(사진작가·고흥... -
No Image
섬마을 학생들의 등대가 되어…(올해의 스승상)
섬마을 학생들의 등대가 되어… 전남 거금도 금산종고 정진옥 교사 소외감 있는 학생들과 고민 함께 나눠 일일이 집 찾아다니며 1대1 지도까지 ▲ '올해의 스승상' 에 선정된 금산종합고교 정진옥 교사가 교실에서 자기 반 학생들과 활짝 웃고 있다. ⓒ 안석배기... -
No Image
고흥녹동-거문도간 쾌속선 '오가고' 취항식 갖고 본격적인 운항 시작
'오가고'호 ⓒ 고흥군청취항식 ⓒ 고흥군청 고흥 녹동과 거문도를 오가는 쾌속선 '오가고'호가 26일 취항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갔다. 녹동-거문도 구간을 운항하는 오가고호는 총톤수 297톤, 평속 38놋트, 정원 344명의 호화 쾌속선으로 편도요금은 19... -
No Image
[이집이 맛있대]신림동 ‘똑순이 꽃게찜’4
[서울신문]얼큰한 음식이 당긴다면 속살 탱탱한 꽃게를 매콤하게 양념한 꽃게찜을 먹어보자. ‘꽃게 먹고 체하는 사람 없다.’고 할 정도로 꽃게는 소화가 잘 되고 헥산과 키토산 등이 풍부해 노화방지와 피부미용에도 그만이다. 여기에 믿을 수 있는 재료를 사... -
No Image
"소록대교" "거금대교"로 각각 명명 예정1
녹동~소록도~거금도, 공정 각 31% , 9% "소록대교" "거금대교"로 각각 명명 예정 도양읍 녹동~소록도~금산면을 연결하는 총 10.14㎞의 거금도 연륙·연도교 가설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2001년도에 착공한 거금도 연륙교 1단계 사업인 녹동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