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틀란티스호 정부의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에 따르면 오는 2015년까지 9기의 인공위성이 우주공간 에 발사될 계획이다. 우리나라도 우주개발의 선진국 진입이 눈앞에 닥친 셈이다.
이를 위해 2005년에 완공될 우주센터는 우선 소형급 인공위성 `과학위성 2호'를 지구궤도 에 올리기 위한 로켓 발사장 역할과 우주개발에 필요한 각종 연구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우 리 기술로 설계된 세계 최대 시설이기도 하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인공위성은 모두 비싼 외화를 들여서 외국의 발사체(로 켓)를 이용하여 우주공간에 띄워졌다. 2015년까지 발사예정인 인공위성 9기를 해외 발사장 을 통해 쏘아 올릴 경우 1기당 약 115억원, 총 1030억원 정도의 외화가 소요될 예정이었다.
고흥 우주센터가 완공되면 이 모든 것을 우리손으로 하게 된다. 더 나아가 2010년까지 세 계 중·소형 위성서비스 시장에 진출, 사대행 서비스를 하게 된다.고흥 우주센터에 배치되는 주요시설 및 장비들을 보면 먼저 발사대와 발사 통제소가 있다. 발사대는 발사기능과 함께 발사체 최종조립 기능도 수행한다. 발사 서비스 타워, 발사 패드, 추진제 저장 및 공급시설, 고압가스 저장 및 공급시설, 관성 항법장치 기준축 측정 시설 등이 발사대에 부설된다.
발사 통제소는 발사 준비점검 및 로켓의 비행시 궤도를 확인하고 비행상태의 모니터링과 임무를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발사임무 통제실과 비행 안전시설, 자료실이 설치된다.
여기에 발사운용에 필요한 안정적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발전기(3600KW)와 컨트롤룸을 갖춘 발전실이 있으며, 발사 준비를 위한 발사장 주변의 저층 및 고층 기상 상 태를 관측하는 기상 관측시설과 번개 관측시설, 고층 대기 관측시설 등이 설치된다. 발사체 의 발사 순간 및 이륙후의 영상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영상자료를 제공할 광학 장비동에는 컬러 비디오 카메라, 고속 비디오카메라와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되고, 발사 운용에 필 요한 제반 중장비 및 차량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 지원 장비동도 따로 마련된다.
또한 우주체험관이 만들어져 우주과학 분야의 교육기능과 홍보기능을 수행, 어린이들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희망을 키워주게 된다. 이곳에는 체험실과 전시실, 다목적홀, 영상과, 야외 전시장이 들어서게 된다.
발사체의 비행궤도를 추적하여 발사 통제소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레이다동에 는 안테나, 송신기, 수신기, 데이터 처리 시스템 등이 갖춰진다.
그 외 위성 발사를 관람하는 전망대와 위성체의 기능을 최종 점검하는 위성 시험동이 있 으며 발사체 추진기관의 각종 기능시험과 최종 연소시험을 수행하는 추진기관 시험동도 자 리 잡게 된다.
오는 2005년에 발사될 국내 최초의 과학위성 2호는 최첨단의 장비와 추적 레이다 및 텔리 메트리 장비들의 도입이 완료 됐으며, 광학 측정장비(미국 Bae회사와 프랑스 Sagem을 상대 로 최종 협의 중)와 고속 카메라 시스템 등은 장비도입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고흥 우주센터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시행착오 방지를 위해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CNES )과 우주센터 구축에 관한 기술자문 계약을 체결하는 등 2005년 과학기술위성 2호의 성공적 발 사를 위한 기반을 확고히 다지고 있다.
/ 고흥=문호준기자 mhjun1024@laborw.com / 고흥=김화진기자 khj24@laborw.com
입력시각 2003/01/20 0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