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ㆍ 성치(城峙) 본 마을은 도양목관(道陽牧官)에 속한 목장성(牧場城)의 동쪽에 있으므로 한때 마을 이름을 성동(城東)이 목장성의 동쪽에 있으므로 마을 이름을 성동이라 부르다가 성(城) 고개 밑에 위치한다 하여 성치(城峙)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회 수 184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곰팡이와 효소

우리 민족은 흰옷을 좋아하던 백의(白衣)민족이다. 옛날 흰 빨래를 할 때는 잿물했는데 잿물중 제일 좋은 잿물은 메밀짚 잿물이다. 재를 시루에 놓고 그 밑에 큰 그릇을 바쳐놓고 물을 부어서 나오는 물이 잿물이 되는 것이다. 메밀짚이 없으면 볏짚으로도 좋다. 그런데 미국에서 때가 잘 지워진다는 무슨 화공약품이 들어왔다. 그래서 이 약품을 양잿물이라고 불렀다. 미국에서 그릇이 들어오양재기이고 솥이 들어오면 양은솥이고 담배가 들어오면 양담배이고 사람이 미에서 오면 양키라고 했다. 옛날에 삼베, 길쌈할 때 대마의 껍질을 탈색시키려양잿물에 적셔냈다. 지금 같으면 고무장갑이 있지만 그때는 맨손으로 양잿물을 만지다 보면 손톱이 뒤집히고 손끝이나 바닥이 터져 피가 나기도 했다. 바로 그때 지혜 있는 우리 어머니들은 부엌에서 나오는 구정물을 떠다 놓고 양잿물 한번 만지고 구정물에 손을 적셨다. 그렇게 하면 구정물에 들어있는 온갖 유균이 중화작용을 해서 손이 아무렇지 않았다. 구정물은 곰팡이와 유산균이다. 또 양물을 먹고 자살을 기도한 사람도 구정물을 먹여 살려 냈다. 구정물을 먹고 자란 돼지나 오리는 양잿물을 먹어도 죽지 않는다. 페니실린은 푸른곰팡이를 배양하거나 합성해서 얻은 항생물질로서  1928년 A.플레밍이 발견하였고, 1940년에 치료용 주사제로 등장하여 인류역사의 의학계에 한 획을 긋는 놀라운 발견이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수천년 전부터 곰팡이의 효력을 알고 있었다. 우리 음식에 유익한 곰팡이가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때문에 우리 음식에서 배양되는 좋은 곰팡이는 음식을 먹듯이 늘 먹어야 한다. 어느 나라든지 음식에서 나오는 유산균을 먹는다. 유대인들은 포도주에 빵을 먹는다. 서양인들은 주식이 곰팡이와 효소다. 예수님최후의 만찬에서 발효된 곰팡이 떡을 가지고 “이것을 받아 먹어라. 이것은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먹을 때마나 나를 기념하라” 하셨고 식후에 효소가 듬뿍 들은 포도주를 가지고 “이것을 마셔라” 하셨다. 우리민족은 밥을 빼놓고 그 나머지 음식은 거의 다 곰팡이와 효소가 주를 이룬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포도주냐 포도즙이냐를 놓고 실랑이 하지 말자. 포도주도 곰팡이고 김치, 간장, 된장, 고추장, 젓갈, 곶감, 식초, 식혜, 엿, 강정, 심지어 막걸리까지 건강에 이로운 곰팡이, 유산균, 발효식품이다. 흔히 술 먹속이 아플 때 북어 국을 끓여 해장국을 마시면 속이 풀어지는데 그 이유는 이렇다. 술 먹고 속이 아픈 것은 간이 알코올을 분해할 때 알데히드라는 물질이 나와서 머리가 아프고 속이 쓰린 것이다. 이때 유산균이 들어있는 해장국을 먹으면 그 독을 분해시켜 진정되는 것이다. 마른 나물이나 북어나 곶감에 붙어있는 흰곰팡이도 우리 몸에 좋은 유산균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음식에는 유산균이 살아진지 오래다. 김치는 냉장고에 보관해서 유산균이 생길 틈이 없고, 고추장, 된장, 간장, 식초도 공에서 화학재료가 들어있는 재품으로 나와서 변질이 잘 안 되는 음식이다. 신식! 반드시 좋은 것만 아니다. 구식도 얼마나 좋은 것이 많은지 모른다.


?
  • ?
    박정연 2005.08.12 07:13
    선배님 항상 좋은글 자주보고 있읍니다 ,
    비록 꼬리말은 잊지못하지만, 선배님에 지식에 존경할 따름입니다
    성치 마을 사이트에 두분 선배님이 있기에, 더욱빛이나고,
    자주찿게되나 봅니다~~~~~~
    또 들려 불나요~~~~
  • ?
    남창욱 2005.08.12 17:06
    후배님 고마우이
    회귀본능이란 말이 있듯이 나이가 먹을 수록
    고향이 그립고
    고향 사람이 그립구먼
    그래서 비록 사이버 공간이지만
    고향 향수를 달래기 위해
    여기에 종종 들어오네
    그리고 요즘 질병이 하두 많은 세상이라
    여기저기서 읽을 책들과
    건강을 찾기 위해 힘쓰다
    얻은 쥐꼬리만한 지식들의
    조각들을 맞추고 각색해서  
    고향 분들의 건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
    여기에 글을 올리고 있네
    암튼 젊을 때 건강관리 잘해서
    행복한 삶 살기 바라네
    아듀 A Dieu
  • ?
    박정연 2005.08.13 06:58
    세월이 흐르니, 고향이 그립고 ,사람이 그립다보니 평소에 찿아보지못한
    선배님이나 후배님을 사이버공간에서 만나뵙고, 대화을 나눌수있는것이
    얼마나좋은지요~~~~~
    젊음시절은 어떻게 지나간는지,,,,,  세월이 지나고보니 골병만 남는것 같아서
    고향이 그립고 ,사람이 그립나 봅니다,얼마남지 않는 무더위에 항상  건강조심하시고
    보람된삶이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정기총회 결산및 찬조하신분명단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2.16 6972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정기총회 및 송년회 밤을 마치며.....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2.16 6018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2014년결산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1.22 6178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정기총회 및 송년회밤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1.22 9163
» 구식의 사람이 신시대의 사람들에게 3 남창욱 2005.08.11 1842
95 식문화를 바꿔라 남창욱 2005.08.05 1439
94 하루살이와 메뚜기 그리고 개구리의 하루 1 명경자 2005.08.05 1535
93 내면에 숨어있는 마음 2 명경자 2005.08.01 1271
92 놈을 님으로 남창욱 2005.07.30 1251
91 이름의 의미 남창욱 2005.07.23 1200
90 이런 친구였으면 좋겠죠^^ 1 명경자 2005.07.21 1291
89 기다림 남창욱 2005.07.19 1223
88 동반자 남창욱 2005.07.18 1230
87 당신 남창욱 2005.07.17 1164
86 주말 감사한 마음으로~~ 4 명경자 2005.07.16 1230
85 우리 음식 우리 약이 있다 3 남창욱 2005.07.15 1352
84 눈부시게 아름다운 감동 6 명경자 2005.07.13 1369
83 (음악) 남자는 속으로 운다 1 명경자 2005.07.05 1370
82 친구야!!!술 한잔하자._()_ 명경자 2005.07.03 1353
81 이런 말을 하고 살자 (탈무드 이야기) 남창욱 2005.07.02 1227
80 이런 감사로 산다 (미안합니다. 이런 글 올려서) 남창욱 2005.07.02 1303
79 유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4 명경자 2005.06.30 1264
78 인사드립니다 4 김정난 2005.06.25 1358
77 발바닥 이야기 1 남창욱 2005.06.25 1471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