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610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2 : 을씨년스럽다

 

 

벌써 20년이 지난 199011월 중순 쯤 삼학도와 유달산으로 유명한 목포에서 근무할 때 있었던 일이다.

 

월요일에 직원들 세 명이 출근을 하지 않았다.

무슨 연유인지 몰라 이리저리 수소문을 하여 어찌어찌 알게 된 것이 지난 토요일에 전주와 대전 사이에 있는 대둔산으로 등산을 갔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연락도 없이 출근을 하지 않지? 조난??????!

결국 우리는 내일 수색대를 보내자는 결론을 내렸다.

 

다음 날.

수색대의 일원으로 광주에서 이른 새벽에 나의 차로 대둔산으로 향하였는데 어둠이 막 가시고 있는 대둔산 입구의 삭막함이란!

겨울을 재촉하는 비는 추적추적 내리고 있는데 나무의 가지마다에 하나 둘씩 애처롭게 달려있는 낙엽의 잔해는 멋진 향연을 끝낸 무대의 쓸쓸함을 그대로 전하면서 내리는 비에 온 몸을 맡기고 있고,

아까부터 어디선가 까악, 까악하고 들려오는 까마귀들의 울음소리는 그 아침의 풍경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었다.

 

서로가 말을 아끼고는 있지만 직감적으로 오늘의 결과를 예감하고 있는 우리 일행들에게 나는 참지 못하고 말해 버리고 말았다.

오늘, 우리는 시체를 찾으러 온 것이다.’라고.

바로 그 놈의 을씨년스러운 날씨 때문에 말이다.

 

결국 도착한 지 한 시간여 만에 싸늘히 주검으로 변해 있는 젊은 청춘들의 시체를 발견해야만 했고, 그 다음 날 화장을 하여 자기들이 온 곳으로 다시 고이 보내 주고서야 우리는 집에 올 수 있었던 것이다.

 

을씨년스럽다 - 보기에 날씨나 분위기 따위가 몹시 스산하고 쓸쓸한 데가 있다. 보기에 살림이 매우 가난한 데가 있다.

참고 : 을씨년은 '을사년을시년을씨년'의 변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말이다. 을사(乙巳)년은 일제가 1905년에 이완용 등 을사오적이라 부르는 친일 고관들을 앞세워 강제로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統監)정치를 실시한 해이다.

당시의 외무대신 박제순과 일본의 특명 전권공사 하야시 곤스케 사이에 을 사보호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이 조약은 우리나라의 외교 사무 일체를 일본 외무성이 관리 할 것 등의 다섯 조문으로 되어있다. 형식적으로는 1910년에 경술국치를 당하여 우리나라가 일본에 병합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미 을사보호조약으로 인하여 우리나라가 일본의 속국으로 된 것이다. 따라서 을사년은 우리나라 민중들에게는 가장 치욕스러운 해다. 이러한 사건으로부터 마음이나 날씨가 어수선하고 흐린 것을 을사년스럽다고 하던 것이 지금의 을씨년스럽다로 된 것이다.

 

이야기를 바꾸어, 위에서 날씨가 을씨년스러운 기분이 드는 사유에 까마귀 울음소리도 한 몫을 했다.

언젠가 보았던 글에 의하면 사실 까마귀는 우리 인간에게 아무런 해를 주지 않은 길조라고 하던데 우리네 조상들은 까마귀를 흉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 분들의 삶이 녹아 있는 속담에는 까마귀가 등장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하나같이 좋지 않은(?) 쪽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까마귀가 까치집을 뺏는다.’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까마귀 열 두 소리 하나도 좋은 것 없다.’ 등등.

 

이렇게 부정적인 모습으로 우리 조상들의 생활에 자리 잡고 있는 까마귀도 ()’에 있어서만큼은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점이 있으니 그게 바로 반포지효(反哺之孝). , 까마귀는 새끼 때 어미로부터 먹이를 받아먹고 자라지만, 어미가 늙어 기운이 없으면 그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한다.

그런데 이 반포지효(反哺之孝)에 딱 맞는 순우리말이 있으니 그것이 안갚음이다. 안갚음의 사전적 풀이도 아래와 같이 반포지효와 똑 같다.

안갚음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反哺之孝)

 

마지막으로 쓰기와 읽는 소리는 비슷하나 뜻은 전혀 반대인 앙갚음을 소개하니 안갚음과 앙갚음을 혼동하지 말고, 또한 안갚음은 하려고 노력하되 앙갚음은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앙갚음 - 남이 저에게 해를 준 대로 저도 그에게 해를 줌.

 

  • ?
    무적 2010.10.28 17:05

    우리 싸이트를

    좀 더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뜻있는 사람들이 여러 의견을 제시했건만

     (자유게시판 : 글번호 773(2009.01.19.) : 긴급제안)

    공허한 외침으로 끝나서인지

    그 사람들은 떠나 다시는 오지 않는구나. (빙옥아, 봄비야)

     

    님은 바위같이 꿈쩍도 않은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우리말을 찾아서(제60화 : 가을운동회) 1 file 무적 2010.11.18 2092
60 우리말을 찾아서(제59화 : 새치기) 1 file 무적 2010.11.17 2086
59 우리말을 찾아서(제58화 : 살피꽃밭) 1 file 무적 2010.11.15 2184
58 우리말을 찾아서(제57화 : 그 시절, 그 놀이) 1 file 무적 2010.11.14 1927
57 우리말을 찾아서(제56화 : 새해를 시작하면서) 1 무적 2010.11.13 1995
56 우리말을 찾아서(제55화 : 잔다리밟다) 1 무적 2010.11.12 2526
55 우리말을 찾아서(제54화 : 아람) 2 file 무적 2010.11.11 2295
54 우미말을 찾아서(제53화 : 감 잡았나요?) 1 무적 2010.11.10 2587
53 우리말을 찾아서(제52화 : 의암송) 2 무적 2010.11.09 2043
52 우리말을 찾아서(제51화 : 윷놀이) 2 무적 2010.11.08 2930
51 우리말을 찾아서(제50화 : 고락) 2 무적 2010.11.06 1945
50 아름다운 우리말(제49화 : 좋은 것 같아요) 1 무적 2010.11.05 2391
49 우리말을 찾아서(제48화 : 데면데면하다) 2 무적 2010.11.04 2412
48 우미말을 찾아서(제47화 : 애면글면) 1 무적 2010.11.03 2555
47 우리말을 찾아서(제46화 : 성냥노리) 1 무적 2010.11.03 2613
46 우리말을 찾아서(제45화 : 자빡 2) 1 무적 2010.11.01 2290
45 우리말을 찾아서(제44화 : 자빡 1) 3 무적 2010.10.30 2475
44 우리말을 찾아서(제43화 : 고랑+두둑=이랑) 1 무적 2010.10.29 3237
» 우리말을 찾아서(제42화 : 을씨년스럽다) 1 무적 2010.10.28 2610
42 우리말을 찾아서(제41화 : 쌍둥이는?) 1 무적 2010.10.26 26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