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03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14: 께끼다

 

 

전주대사습놀이나 남원춘향제 등에서는 행사 때마다 소리꾼을 뽑는다.

이런 소리꾼의 피나는 여정을 서정적으로 잘 보여주는 서편제라는 영화는 1993년에 임권택 감독이 이청준의 동명 소설서편제를 영화화한 작품으로 당시로는 드문 100만이 넘는 관객을 동원한 역작이었다. 이 영화로 인해 오정해(송화 역)는 일약 스타로 떠올랐으며 남녘의 외딴섬인 청산도는 관광의 명소로 부각되었다.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저 남녘의 섬(청산도)에서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딸이 어우러져 함께 부르는 장면이 눈에 선하다.

또한 이년아! 가슴을 칼로 저미는 이 사무쳐야 소리가 나오는 법이여.”라는 아버지의 호통에 따라 지리산 자락의 칼바람을 맞으며 득음을 위한 고행을 참고 견디는 송화의 눈물겨운 고통도 눈에 선하고.

 

오늘은 우리에게 친숙한 판소리에 대하여 공부한다.(이하 『 』는 인터넷에서 발췌하여 편집한 것이다)

판소리란 광대 한 사람이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敍事的)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口演)하는 우리 고유의 민속악. 조선 숙종 말기에서 영조 초기에 걸쳐 충청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왔다. 중요 무형 문화제 제5호로 지정된 판소리는 2003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도 지정되었다.

한편, 판소리는 지역에 따라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 등 크게 세 유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중 동편제는 섬진강의 동쪽지역(전남 구례) 명창들에 의해 완성되어 구례, 남원, 순창, 곡성, 고창 등지에서 성행한 판소리를 말한다. 웅장하면서 호탕한 소리인 우조를 많이 사용하고 발성초(發聲初 입을 열어 처음 내는 소리)가 진중하다. 통성을 쓰며 소리 끝을 짧게 끊는 등 대마디 대장단의 특징이 있다.

 

또한, 서편제는 조선 정조·순조 무렵 8명창 중의 한 사람인 박유전(朴裕全)의 법제(法制)를 이어받은 유파로, 광주 · 나주 · 보성 · 강진 · 해남 등지에서 성행하였으며 이 지역들이 섬진강의 서쪽에 자리한다고 하여 서편제라 부르게 된 것이다. 이 소리제의 특징은 유연애절(柔軟哀切), 즉 부드러우면서도 구성지고 애절하며, 소리의 끝이 길게 이어진 이른바 꼬리를 달고 있는 점이다. 또한 계면조(界面調)형의 가락이 많다. 이는 활달하고도 우렁찬 동편제(東便制)와 좋은 대조를 이루기도 한다. 서편제에 어울리는 노래로는 심청가를 꼽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고제(中高制)는 명창 염계달(廉季達김성옥(金成玉)의 창법으로 경기와 충청 일대에서 성하였다. 창법상 동편제(東便制)와 서편제(西便制)와의 중간적 성격을 띠며, 첫소리를 평평하게 시작하여 중간을 높이고 끝을 다시 낮추어 끊는 것이 특징이다. 상하성(上下聲)이 분명하고 경()드름조(調)가 많다.

 

이 판소리는 창을 기본으로 하여 흥을 돋우기 위하여 고수의 추임새와 발림, 아니리 등의 방법이 동원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추임새 : 국악 판소리에서 소리의 중간에 곁들이는 탄성(嘆聲). 장단을 짚는 고수(鼓手)가 창()의 군데군데에서 소리의 끝부분에 창자의 흥을 돋우기 위하여 좋다’ ‘좋지’ ‘으이’ ‘얼씨구’ ‘등의 조흥사.

발림 : 판소리에서, 소리의 극적인 전개를 돕기 위하여 몸짓이나 손짓으로 하는 동작. 너름새라고도 한다.

아니리 : 판소리에서, 창을 하는 중간 중간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엮어 나가는 사설.

 

한편, 이 글을 쓰게 된 동기를 부여한 께끼다라는 단어를 소개하고 맺는다.

 

께끼다 - 방아질이나 절구질을 할 때, 확의 가장자리로 올라오는 낟알 따위를 안으로 밀어 넣다. 노래나 말 따위를 옆에서 거들어 잘 어울리게 하다. 모르는 것을 옆에서 거들어 대어 주다.

 

  • ?
    무적 2011.02.14 13:54

    달나라에서 두 마리의 토끼는 방아를 찧고 있는데.

     

    동화 속의 저 토끼들을 무엇을 만들려고 방아를 찧고 있는고?

     

     

  • ?
    나그네 2011.02.14 15:38

    옥황상제님이 잡수실 약을  맹글라고 한단디

    옥황상제님도 늙어서 어디가 많이 아픈가?????

    하기사 옥황상제님도 수염이 허옇기는 하드라만.

  • ?
    무적 2011.02.14 21:14

     

    나도 같이 어울리고 싶은

    노래 부르고 춤추는 저 장면!

     

    오메, 고마우셔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우리말을 찾아서(제120화 : 이름과 별명) 1 file 무적 2011.03.02 3489
120 우리말을 찾아서(제119화 : 우리말 바루기) 1 file 무적 2011.02.28 3041
119 우리말을 찾아서(제118화 : 백조의 애환) 2 file 무적 2011.02.25 4231
118 우리말을 찾아서(제117화 : 가즈럽다) 3 file 무적 2011.02.23 3457
117 우리말을 찾아서(제116화 : 호락질) 1 file 무적 2011.02.19 3019
116 우리말을 찾아서(제115화 : 남사당패) 1 file 무적 2011.02.16 3084
» 우리말을 찾아서(제114화 : 께끼다) 3 file 무적 2011.02.14 4037
114 우리말을 찾아서(제113화 : 자리매김) 1 file 무적 2011.02.11 3078
113 우리말을 찾아서(제112화 : 경우가 바르다?) 1 file 무적 2011.02.08 4697
112 우리말을 찾아서(제111화 : 님비현상과 임비현상) 3 file 무적 2011.02.07 3679
1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0화 : 어느 팀이 이길지 맞춰봐라?) 1 file 무적 2011.02.01 3109
1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9화 : 흰소리와 신소리) 1 file 무적 2011.01.31 3644
109 우리말을 찾아서(제108화 : 톺다) 1 file 무적 2011.01.28 2925
108 우리말을 찾아서(제107화 : 그리운 억만이 성!) 3 file 무적 2011.01.26 3486
107 우리말을 찾아서(제106화 : 삼가다) 7 file 무적 2011.01.25 2939
106 우리말을 찾아서(제105화 : 반드시와 반듯이) 1 file 무적 2011.01.24 3694
105 우리말을 찾아서(제104화 : 구멍 난 솥이나 냄비 때워!) 1 file 무적 2011.01.21 3625
104 우리말을 찾아서(제103화 : 날마다 둔벙치로) 1 file 무적 2011.01.19 3187
103 우리말을 찾아서(제102화 : 애물단지) 1 file 무적 2011.01.18 3956
102 우리말을 찾아서(제101화 : 쪼다?) 1 file 무적 2011.01.17 30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