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39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49 : 좋은 것 같아요!

 

 

 

어떤 행사를 하는 곳에 취재를 나간 아나운서는 이따금씩 주위의 관객들과 인터뷰를 하여 그 행사를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게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

나도 이런 인터뷰를 두 번(무등경기장에서의 야구 관람 시와 무안 낙지축제 때) 해보았고 다른 한 번은 카메라에만 찍혔는데 이전 두 번의 인터뷰는 방송을 못 탔지만 카메라에 찍힌 장면은 방송을 타 유명세(?)를 치른 적이 있다. 그런데 하필이면 그 장면이 복날 개고기를 맛있게 먹는 장면이었으니 자랑할 만한 일도 아니었다. 공무원 신분에 평일 점심시간의 소주병은 쥐약과도 같은데 눈치 없는 카메라 기사는 연방 맛있게 먹어달라는 주문과 함께 카메라를 들이대니, 이거 원! 그러한 상황인지라 나는 카메라에 눈길도 못 주고 먹는 것에만 신경을 쓰는 척했으나 안면은 굳어질 수밖에. 그날 밤에 걸려오는 전화가 몇 통이었는지 기억나지도 않는다.

 

오늘 내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인터뷰할 대의 답변인 는 것 같아요!”의 폐단이다.

가령 단풍놀이를 온 여행객에게 아나운서가 오늘 단풍을 본 기분이 어때요?”라고 물으면 열이면 아홉이 모처럼 가족이 전부 야외로 나와 맑은 공기도 마시고 형형색색의 단풍을 보니 정말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라고 대답한다.

언어 구사력이 대단히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이 인터뷰상의 문장은 맞는 문장인가? 틀린 문장인가?

굳이 답하자면 문법적으로는 아무 잘못이 없는 완벽한 문장이지만 어법상으로는 문장 마지막인 절말 기분이 좋은 것 같아요!’정말 기분이 좋습니다!’라고 하였어야 맞는 문장이 될 것 같다.

같아요의 원형은 같다인데 같다의 뜻은 다 아는 바인 아래와 같다.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

의 사용 예는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가 될 것이고, 의 사용 예는 큰 형님은 아버지와 같다가 될 것이다.

 

그런데 위 인터뷰상의 문장과 같이 자기 마음상의 느낌이 어떠한가?’하고 물으면 좋으면 좋다좋지 않으면 좋지 않다 혹은 나쁘다라는 자기의 기분을 확실하게 말해야 하는데 좋은 지 좋지 않은지가 불분명한 좋은 것 같다.’라니.

, ‘는 것 같다.’라는 말은 자기의 주장이나 의견에 확신을 가질 수 없는 경우에 쓰이는 표현이다.

특히 그런 표현방식은 특히 젊은 아가씨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와 같이 나의 의견을 말할 때처럼.

 

각설하고,

가르친 사위라는 단어를 소개한다.

?

이 단어가 창조성이 없이 무엇이든지 남이 가르치는 대로만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기 때문이다.

무슨 말인고 하면 서시빈목(西施嚬目)이라는 고사도 있듯이 위 는 것 같다.’라는 말이 유행하는 것이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면서 남이 그렇게 하니까 너도나도 그렇게 하는 요즘 세태의 한 단면이 아닌가 싶어 그렇게 줏대가 없는 사람들에게 일침을 가하고 싶었다는 것이다.

 

서시빈목(西施嚬目) : 눈살을 찌푸리는 것을 흉내 낸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남의 흉내를 내어 세상의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남의 단점을 장점인 줄 알고 본뜸을 비웃는 말.

중국 월()나라의 미인 서시(西施)가 가슴앓이로 눈살을 찌푸렸던 바, 어떤 추녀가 그 모습을 보고, 눈살을 찌푸리면 아름다운 줄 알고 자기도 눈살 찌푸리기를 일삼아 마을 사람들이 모두 도망쳐버렸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옳고 그름과 착하고 악함을 생각하지 않고 함부로 남의 흉내를 내는 것을 비유하여 '효빈(效嚬)'이라고 말한다. 서시효빈(西施效嚬서시봉심(西施捧心)도 같은 말이다.

 

  • ?
    무적 2010.11.05 14:50

    이 글을 연재하기로 마음을 다잡았을 때

    이미 써 놓은 글이 100편이었는데

    연재하는 도중에  새로 쓴 글이 3편이다.

    총 120편을 목표로 하고 있으니

    마감일까지 더  써야 할 글이 17편.

     

    에고, 죽겠다.

     

    내년 말쯤에나

    한 권의 책으로출판하는 것이 나의 바람인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우리말을 찾아서(제60화 : 가을운동회) 1 file 무적 2010.11.18 2096
60 우리말을 찾아서(제59화 : 새치기) 1 file 무적 2010.11.17 2090
59 우리말을 찾아서(제58화 : 살피꽃밭) 1 file 무적 2010.11.15 2187
58 우리말을 찾아서(제57화 : 그 시절, 그 놀이) 1 file 무적 2010.11.14 1928
57 우리말을 찾아서(제56화 : 새해를 시작하면서) 1 무적 2010.11.13 1997
56 우리말을 찾아서(제55화 : 잔다리밟다) 1 무적 2010.11.12 2530
55 우리말을 찾아서(제54화 : 아람) 2 file 무적 2010.11.11 2298
54 우미말을 찾아서(제53화 : 감 잡았나요?) 1 무적 2010.11.10 2589
53 우리말을 찾아서(제52화 : 의암송) 2 무적 2010.11.09 2045
52 우리말을 찾아서(제51화 : 윷놀이) 2 무적 2010.11.08 2933
51 우리말을 찾아서(제50화 : 고락) 2 무적 2010.11.06 1949
» 아름다운 우리말(제49화 : 좋은 것 같아요) 1 무적 2010.11.05 2396
49 우리말을 찾아서(제48화 : 데면데면하다) 2 무적 2010.11.04 2414
48 우미말을 찾아서(제47화 : 애면글면) 1 무적 2010.11.03 2558
47 우리말을 찾아서(제46화 : 성냥노리) 1 무적 2010.11.03 2614
46 우리말을 찾아서(제45화 : 자빡 2) 1 무적 2010.11.01 2292
45 우리말을 찾아서(제44화 : 자빡 1) 3 무적 2010.10.30 2477
44 우리말을 찾아서(제43화 : 고랑+두둑=이랑) 1 무적 2010.10.29 3240
43 우리말을 찾아서(제42화 : 을씨년스럽다) 1 무적 2010.10.28 2613
42 우리말을 찾아서(제41화 : 쌍둥이는?) 1 무적 2010.10.26 26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