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58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7 : 고팽이

 

 

 

 

우리 금산과 같이 농어업을 생업을 삼았던 곳의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은 어느 계절일까?

다른 마을은 몰라도 겨울에 김을 하는 우리 쇠머리마을은 아무래도 여름철이 아닌가 한다. 그렇다고 하여 여름철이 일 년 중 가장 한가한 계절이라는 것이지 바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여름철에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김발과 발장(1)을 엮는 일인데 김발은 남자들이 엮지만 발장은 주로 여자들이 엮는다. 발장을 엮는 것을 우리 금산에서는 발장 친다.’ 라고 했는데 초등학생만 되면 너나 할 것 없이 발장을 쳐야 했다.

 

보통 한 집 당 일 년에 필요한 발장의 수량이 2,000 내지 3,000장 정도인데 2,500여 장 정도가 필요한 우리 집에서도 예외 없이 누나들과 우리 형제들이 발장을 쳐야 했다. 그 중 남자로는 내가 가장 많이 쳤던 것 같다.

내가 엄마와 함께 발장을 칠 때는 서로 번갈아가며 띠(2)를 한 모숨씩 떼어 주는 방법으로 발장을 쳤었는데 그 영향이었는지 뒷날 엄마는 무슨 일이거나를 막론하고 나하고 할 때가 가장 손발이 잘 맞았다고 하셨다.

나중에는 발장을 치는 기계가 보급되어 손으로 발장을 치는 속도보다 서너배가 빨라져서 띠를 한 모숨씩 떼어 주는 풍경은 볼 수가 없어졌지만, 이러한 행위들이 어린 자식들에게 공동체로 살아가면서 협업이 무엇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는 조그마한 교훈이 되었다는 것을 알기에는 한 참의 세월이 흐른 뒤였을 게다.

한편, 김발을 엮기 위하여는 굵은 새끼줄이 필요했다.

지금은 나일론에 밀려 그 자취도 희미해진 새끼줄이지만 그때 당시에는 조금 가느다란 새끼는 직접 손으로 직접 꼬았으나 김발을 만들고 설치하는데 쓰이는 굵은 새끼는 기계로 꼬았었다.

이 굵은 새끼를 꼬는 기계(‘새끼틀이라고 한다)는 발로 페달을 밟으면서 나팔모양으로 생긴 두 개의 구멍에다가 검불 등을 제거하여 잘 다듬어진 벼 짚을 번갈아서 넣게 되어 있는데, 얼마나 고르게 넣는가가 중요하다.

꼬아진 새끼는 빙빙 돌아가는 틀 안에 차곡차곡 사리어져 그 틀이 다 차면 한 번을 마치고 새로이 새끼 꼬기를 시작한다.

여기에서 차곡차곡 사리어진 그 한 틀고팽이라고 하는데, 표준국어사전에서는 고팽이를 이렇게 풀이하고 있다.

 

고팽이 - 새끼나 줄을 사리어 놓은 한 돌림. 또는 그 단위.

 

세월의 흐름과 김 양식 기술의 발달로 댓가지 김발은 사라지고 나일론 김발로 바뀌더니 그나마 이제 우리 금산에서는 김 양식을 하는 사람도 찾아보기 어려우니 이러한 물건들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없어졌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돌기라는 것이 있으니 이는 로프나 실 따위가 헝클어지지 아니하게 빙빙 둘러서 둥그렇게 포개어 감은 뭉치. 또는 그런 뭉치를 세는 단위를 말한다. 요즘은 로프나 실 따위의 모든 상품이 돌기의 형태로 거래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1 발장 : 마른 김을 만들 때, 잘게 썬 엽체를 물에 섞어 종이 모양으로 만드는데 쓰는 발.

2: 발장을 만드는데 쓰이는 기다란 마른 풀.

 

거금도닷컴 :: 우리말을 찾아서 - 우리말을 찾아서(제15화 : 모숨) : 98_00127_ansak_1.jpg

모숨 : 한 줌안에 들어 올만 한 길고 가느다란 물건. 길고 가느다란 물건이 한 줌안에 들어 올만 한 수량, 또는 그 수량을 세는 단위.

 

 

 

  • ?
    무적 2010.09.10 17:38

    나도 새나꾸를 참 많이 꼬았는데.

     

    꼬다가 짜증나면

    한 발 두발 곤백 발 하고  몇 번을 세어봐도 길이는 잘 늘어나지 않고!

     

    언제 주어진 할당량을 다 꼬고 나서 뛰어놀까?

  • ?
    보라매 2010.09.10 18:06

    모처럼 문학 동산에 나들이 왔다가

    무적님의 글 (우리 말을 찾아서)을 ......

     밑에서 부터 쭈~~~욱   다 읽어 읽고 나니

    뒤목이 뻐근하네요

    이렇게 좋은 곳을 왜 한동안 올생각을 못했을까 생각을 하면서ㅡ

    잊혀져간 정겨운 우리 말들이이 감회가 새롭게 느껴집니다

    이구석 저구석 찾아 댕김시롱 글을 쓴다는거 쉬운일이 아닐텐데

    내가 그 수고를 알고 박수를 보낼께요

     

    미운넘 떡 하나 더 준다고...... ㅎㅎ 모질게 했어도

    마음에는 더 남는 것이랑께요  ㅎㅎㅎ~~

    그렇다고  요상하게 생각하지는 말드라구요

    자주 와서 깝죽거리고 속이고 놀리기는 해도ㅡ

    그래도  가끔은 귀여운 구석도 있드란 말이오 ㅎㅎ

     

    아이고~~더이상 앉아 있다간 목이 마비되게 생겼네

    계속 수고 하시시요   이만 갈라요

     

     

  • ?
    무적 2010.09.10 22:04

     

    곡이 높으면

    따라서 부르는 사람이 없다던데

    해동청님의 왕림을

    도리상영의 심정으로 반깁니다.

  • ?
    하ㄴㅂ ㄹ 2010.09.13 10:44

    ㅎㅎㅎ

     두 분의 노닥임이 꼭 손꼽놀이 하는 사람들 모양 정겹구려.

     꼭 한폭의 그림이 느껴지우.

     바닷가 언덕의 나무 아래에 모여 앉아

     주거니 받거니 신선들의 놀음을 즐기는 -

     꼭 그 상판들 닮았단 말요.

     앙-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우리말을 찾아서(제21화 : 보꾹) 2 file 무적 2010.10.01 4571
20 우리말을 찾아서(제20화 : 방망이) 1 무적 2010.09.30 2434
19 우리말을 찾아서(제19화 : 발맘발맘) 3 무적 2010.09.29 3082
18 우리말을 찾아서(제18화 : 반살미) 1 file 무적 2010.09.28 2108
17 우리말을 찾아서(제17화 : 물수제비) 1 file 무적 2010.09.27 4933
16 우리말을 찾아서(제16화 : 민낯) 1 무적 2010.09.21 2173
15 우리말을 찾아서(제15화 : 모숨) 2 file 무적 2010.09.19 2002
14 우리말을 찾아서(제14화 : 모릿줄) 2 file 무적 2010.09.18 2852
13 우리말을 찾아서(제13화 : 감똥?) 1 file 무적 2010.09.17 2461
12 우리말을 찾아서(제12화 : 망고) 3 무적 2010.09.16 3037
11 우리말을 찾아서(제11화 : 들메) 1 무적 2010.09.15 2147
10 우리말을 찾아서(제10화 : 대우) 1 무적 2010.09.14 2310
9 우리말을 찾아서(제9화 : 대궁) 1 무적 2010.09.13 2009
8 우리말을 찾아서(제8화 : 쫀뱅이 낚시) 1 file 무적 2010.09.12 2642
» 우리말을 찾아서(제7화 : 고팽이) 4 file 무적 2010.09.10 2581
6 우리말을 찾아서(제6화 : 감풀) 3 무적 2010.09.09 2281
5 우리말을 찾아서(제5화 : 물질) 1 무적 2010.09.04 2634
4 우리말을 찾아서(제4화 : 희아리) 1 무적 2010.09.03 2424
3 우리말을 찾아서(제3화 : 가대기) 2 무적 2010.09.02 2759
2 우리말을 찾아서(제2화 : 마중물) 2 file 무적 2010.09.01 248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Next
/ 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