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42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월 대보름의 유래


음력 1월 15일인 정월 대보름 아침에일찍 일어나 땅콩이나 호두를 깨무는 것을 "부럼 깐다"라고 한다.
부럼은 딱딱한 껍질로 된 과일을 말한다. 호두나 잣, 땅콩 같은 것들이다. 또 "부스럼"의 준말로 피부에 생기는 종기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옛날 조상들은 달이 밝은 밤을 신비롭게 여겼다. 특히 보름날 밤에는 둥근 달을 보며 더욱 흥겨워 했다.
그래서 일 년 중에서도 첫 번째 찾아오는 정월 보름은 더욱 소중히 여겨서 "대보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월 대보름날 뜨는 보름달을 보며 한 해의 소원을 빌며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농부들은 풍년이 들기를 빌곤 했다.


정월 대보름의 세시풍습

옛날부터 보름달은 어둠을 몰아내는 밝음, 보다 밝은 세상을 약속하는 기원의 대상물로 받들어 왔다.
새해 들어 가득 찬 달을 맞이하며 우리 조상들은 여러 가지 놀이를 통하여 남과 더불어 사는 것이 소중하다는 생각을 되새겼으며 또 한편 복된 앞날을 다짐하는 놀이를 벌여왔다.
초저녁 횃불을 들고 동산에 올라가서 보름달이 솟기를 기다린다.
솟아오르는 보름달을 먼저 보아야 복을 받는다고 생각하여 서로 앞을 다투어 마을 동산으로 올라간다.
달이 뜨면 횃불에 불을 붙이고 절을 하며 소망을 빈다.
창녕지방에서는 이 날의 달빛을 보고 그 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는 풍습이 있는데 달빛이 희면 비가 많이 내리고, 붉으면 가뭄이 들고, 흐리면 흉년이, 진하고 뚜렷하면 풍년이 든다고 생각한다



▲ 쥐불놀이
정월 첫 쥐날에 쥐를 쫓는 뜻으로 논밭둑에 불을 놓은 세시풍 속의 한가지 놀이로서 이날은 마을마다 청소년들이 자기네 마을에 있는 논두렁이나 밭두렁에다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놓아 잡초를 태운다.

불은 사방에서 일어나 장관을 이루는데, 이것을 쥐불놀이라 한다.

아이들은 "망월이야"하고 외치면서 밭두렁과 논두렁, 마른 잔디에 불을 붙인다.

이 쥐불놀이는 쥐구멍 속에 든 쥐를 잡고 마른 풀에 나붙은 해충을 죽이기 위한 것이다.

이 쥐불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해의 풍흉, 또는 그 마을의 길흉을 점치기도 한다.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하여 이날은 각 마을이 서로 다투어 가며 불기세를 크게 하는 풍습이 있다

정월 대보름의 음식

오곡밥과 부럼



▲ 정월 대보름 오곡밥과 부럼
대보름날 절식으로 먹던 오곡밥이나 약밥, 묵은 나물은 겨우내 부족하기 쉬운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을 공급하는 훌륭한 음식들이다.
오곡밥은 찹쌀·팥·수수·기장·검정콩 등 각종 잡곡을 넣어 탄수화물 뿐 아니라 단백질·지방 등 영양소를 골고루 맞춘 건강식이다. 여기에 현미로 오곡밥을 만든다면 금상첨화이다. 현미에는 백미에 비해 비타민E는 4배나 많고, 칼슘은 8배나 많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비타민B와 인, 철분 등이 많이 들어있다.

또 현미는 주성분이 탄수화물이지만 단백질도 상당량 들어있어 식사를 하고 나서는 혈당 상승이 서서히 되고 지방으로의 변환 속도도 늦어서 당뇨병 환자에게 권장된다.

피부병 예방의 기원이 담긴 부럼 깨물기 풍속도 상당히 과학적이다. 견과류 및 호도에는 피부를 윤기 있게 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다


예전부터 그 기름을 짜서 피부병 치료에 쓰였으며 무기질과 비타민 B1 이 풍부해 요즘에도 피부 미용의 목적으로 많이 권장되고 있다.
호도의 지방에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키는 ‘리놀산’이 많기 때문에 성인병 예방에도 좋다.

다만 땅콩·호두 등은 칼로리가 높으므로 체중을 줄이고 싶은 사람은 먹는 양에 주의해야 한다. 땅콩 한 주먹이면 쌀밥 한 공기와 칼로리가 비슷하다



▲ '오곡밥' 짓기
정월대보름하면 역시 형형색색의 잡곡이 들어간 ‘오곡밥’을 빼 놓을 수 없다.

농경사회이던 예전에는 대보름을 가장 큰 명절로 여겨 다들 오곡밥 짓기에 열심이었지만 생활이 간소화된 요즘에는 만드는 법이 번거로워 거의 잊고 지낸다.

전기 밥솥을 이용해 간편하게 만들어 가족들의 입맛을 돋워보자.

▽ 재료

멥쌀 300g과 찹쌀 300g, 팥 검은콩 찰수수를 각각 불린 것 100g씩, 차조 100g, 물 3컵반, 소금 1티스푼.

▽ 만드는 법

① 멥쌀 찹쌀 차조는 씻은 뒤 망에 건져 30분 정도 받쳐둔다

② 팥에는 밥 지을 정도의 물을 붓고 끓으면 따라 버리기를 세 번 정도 한다.

네 번째에는 물을 넉넉히 붓고 20분 정도 약한 불에서 끓인 후 건진다.

불이 세면 팥이 터지므로 주의. 이때 나오는 물은 밥물에 섞어 쓴다

③ 검은콩은 물을 넉넉히 붓고 약한 불에서 시작해 1시간 정도 끓인 후 건져낸다

④ 찰수수는 팥을 삶는 것과 요령이 같다

⑤ 물은 팥 삶은 물을 섞어서 3컵반을 만들고 소금을 섞은 후 전기 밥솥에 넣고 밥을 짓는다

이렇게 하면 밥이 한결 부드러워져 오곡밥을 싫어하는 아이들도 좋아한다. 팥 검은콩 찰수수는 한번 조리할 분량 만큼씩 덜어서 랩에 싼 후 냉동시켜 놓고 그때그때 꺼내 쓰면 좋다.

?
  • ?
    정미 2005.02.23 02:12
    암만 생각해두 쫌 긴것 같긴한데....
    그래두 최대한 짧게 해볼라고 많이 간추렸고만..*^^*~

    딸래미가 묻더라궁...
    엄마! 왜 보름날은 나물이랑 이런오곡밥을 해 먹어야 해요???

    언젠가 숙제루 내용 전부를 쭈욱 뽑아서 준적이 있었건만....ㅠ.ㅠ
    설명하긴 길구....
    다시한번 뽑아내믄서...
    혹여 보름밥 못 먹고 부럼도 못 깨먹은 친구님들아~눈요기라두 하시구랴~
    아침나절 더위두 많이 팔아먹구..ㅎㅎㅎ
  • ?
    점님 2005.02.23 12:46
    뉘집 밥상이 이렇게 보암직도하구 먹음직도하다냐
    고맙다 우리도 아침에 맛있게 먹었다
  • ?
    정상사 2005.02.23 18:26
    와~따 맛나게 차례 낫그먼....
    오곡밥은 어제 먹었어야제 .........입맛다셔 불구만
    오늘 저녁에는 깡통에따 쥐 불놀이 해야제... (아그드른 잘때 꼭 싸고자라잉~~)
    마누라 한테 혼나지 말고....특히 너....거시기....조심혓랑 잉~~ 그럼 안녕
  • ?
    정미 2005.02.23 23:10
    *^^*~~점님아~이~!
    사랑하는 나의 짝꿍!!!
    오곡밥 맛나게 묵은겨?
    이리 흔적 남겨주니께 더 이쁘오.
    그러구 미자 전화번호 따 놨데이~낼 전화 하꾸마.
    자주 못 들러두 들리면 이리 흔적냄겨도고..으쌰으쌰 정미 힘나게..쿄쿄쿄*^^*~

    정상사님아~
    그날 워찌됐건 고상 많았당~고마웠구.....
    보름밥 맛나게 얻어 먹었쓰?
    쥐불놀이는 하구 자퍼도 못하것다 신고들어 갈깜시....
    에..또...마눌님 한티 혼나는건.... 난 마눌님이 없응께롱 아닐테구...
    물론 정상사님은 이쁜 마눌님한티 잘 할테고..
    거시기는 날두고 한말....?ㅎㅎㅎ 아니쥐?
    언능 날이 풀렸으믄 좋겠고만....왜냐구? 난 추운게 싫거덩...
    보름밥 부럼 잘 챙겨드시공
    올한해 건강하소서~~.....
  • ?
    점님 2005.02.24 21:18
    정상사님이 누군고 했더니
    민철이구나 안녕!
    독수리5형제가 나라 지킨줄 알았더니
    정상사님이 함께 하시군요
    우린 편안히 있을터니 잘 부탁한다 친구야
    갑자기 옛날에 재열네 방에서 튀김 해먹었던
    생각이난다야 그때 무슨일 없었제 (김정효샘 말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 보고픈 친구들아 6 김점님 2005.02.24 1188
» 정월 대보름 유래..풍습 ..음식 5 박정미 2005.02.23 1424
241 어느 40대의 고백....(퍼온글) 6 박정미 2005.02.21 1560
240 -+운동화가 녹인 세상+- 8 김충규 2005.02.20 1143
239 규사마 삶의 여유 5 규사마 2005.02.17 1212
238 -+복 받는 삶을 만드는 50가지 방법+- 4 김충규 2005.02.17 794
237 -+작은 기쁨이 있습니다 +- 2 김충규 2005.02.16 842
236 인호군아~~~생일축하한다~ 5 박정미 2005.02.14 1258
235 오늘은...발렌타인데이 라네요~~~ 3 박정미 2005.02.14 1237
234 영대야 반갑다. 2 소정희 2005.02.14 1073
233 고향엔..또 시댁엔... 다들 잘 댕겨온겨? 3 박정미 2005.02.11 1303
232 고향 내음에 술만 취하는구나? 4 둘리 2005.02.14 1226
231 애들아~ 복조리 가져왔떵~~ 5 박정미 2005.02.07 918
230 거금도로 3 서인호 2005.02.05 868
229 사진방 사진쪼매밝게 수정해 놨쓰요~ 기냥..... 2005.02.03 793
228 장미꽃....살째기 놓구 가야지~~ 8 박정미 2005.02.03 1061
227 기상특보(눈길,빙판길) 5 서인호 2005.02.01 1207
226 2월 첫날에...착각..잘만활용하면 삶의 비타민이 되어지기도 합니다. 7 박정미 2005.02.01 1093
225 친구들아! 웃음 보따리다 ! 4 김충규 2005.01.31 1185
224 -+행복한 사람+- 5 김충규 2005.01.31 892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4 Next
/ 24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