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ㆍ 우두(牛頭) : 마을의 지형(地形)이 소의 머리와 같이 생겼으므로 쇠머리라고 부르다가 한자를 訓借(훈차)하여 우두(牛頭)라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회 수 2371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문제를 출제하기에 앞서
이 문제의 의미를 음해(?)하려는 사람이 있을까 봐 미리 몇 자 씁니다.


동물에게는  태생적으로 2가지  욕망이 있다는데
그게 식욕과 성욕이라나!

그렇다면 인간에게는 ?

인간도 동물의 범주에 속할 수 밖에 없으니 식욕과 성욕은 물론이요 그 외에 소유욕과 명예욕이 더 있
다고들 한다.  

(여기에서는 성욕에 대해서만 잠깐 언급해 보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가장 근본적인 성욕에 대해서는 무척이나 터부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물론 나도 포함해서).
혹자는 그게 우리의 전통적인 유교사상의 영향이라고는 하지만 내 개인적인 의견은 어떤 사상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표현하지 못하는  자기기만이 아닐까 한다.

어느 고승과 행자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보자.
(행자:출가하지 아니한 속인으로서 불도를 닦고 있는 사람)

어느날 시주를 받기위해 마을로 나왔던 주지스님과 행자가  절로 되돌아 가는데 갑자기 소나기를 만나게 된다.
소나기를 맞은 채 갈길을 재촉하며 산밑까지 왔는데 산으로 올라가려면 필히 건너야 하는 개울이 있었단다.
그 개울에 도착하니 갑자기 내린 소나기로 인하여 개울물이 불어나 징검다리를 건널 수  없었다.
그런데  그 곳에는 불어난 물로 개울을 건너지 못한 여인네가  비를 맞아 속살이 내 비치는 옷을 입고 서성이고
있지 않은가!  그 여인도 그 개울을 건너야만 하는데 여자의 몸인지라 방법을 찾지 못하고 서성이고 있었던 것
이다.

주지스님은 그 여자가 개울을 건너야 한다는 것을 짐작하였으나 불자의 몸인지라 그 여인을를 똑바로 쳐다보지도 못하고 열심히 염불만 외더란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사태를 눈치 챈 돌연 행자가 돌연 여인네에게 다가가  "제 등에 업히시지요."하더란다.
처음에는 조금 망설이던 여인이었지만  방법이 없으니 어쩔 수 없이 행자에게 몸을 맡길 수 밖에.

그들은 무사히 개울을 건넜고 서로  헤어져 한 참을 오는데 주지스님이 행자에게 말하길
"어찌 부처님을 모시는 사람이 여인을 업을 수 있느냐?"하시며 나무라더란다.

그 말을 들은 행자는
"스님, 저는 개울을 다 건너는 순간 그 여인을 제 등에서 내려 놓았는데
스님께서는 아직까지 그 여인을 가슴에 담고 있네요." 했더란다.

이렇게 깊은 도를 닦는 스님마져도 여인네를 보면 마음이 흐트러 지는데 (물론 자제는 했다고 하지만)
하물며 우리같은 속물이야......
마음은 있어도 행동으로 못 옮기는 것이지(여러가지의 제약 때문에?)

한가지 다른 예(예가 될지는 모르지만)를 더 들어보자.

시와 예와 무와 아리따운 자색으로 일세를 풍미했다는 황진이의 유혹에  평생을 쌓아 올렸던 명예를
하루아침에 내 버렸던 지족스님과
이와는 반대로 황진이의 갖은 유혹을 끝까지 물리친 화담 서경덕(그러한 화담이었기에 후세에 송도삼절
이라는 칭호를 얻었는지는 모르지만)선생과는 과연 어느 누가 더 자기 감정에 충실했는지 묻고 싶다.

그 부분은  각자의 판단에 맡기기로 하고  이제 진짜 문제로 들어갑니다.  
  
여기에 <거시기>란 것이 있습니다.

이 거시기를  이렇게 표현한 글을 읽은적이 있습니다.

크기도 하거니와 힘이 좋으면  금상첨화요
크기는 하지만 힘이 약하면 유명무실이요
크지는 아니하지만 힘이 좋으면 천만다행이요
크지도 아니하고 힘도 좋지 아니하면 설상가상이라고요.

이 <거시기>는 과연 무엇일까요?

이 문제를 낼려고 앞 문제를 냈는데 의외로  답을 맞추는 사람이 없어서 안타까왔습니다.

이 문제도 너무 깊이,  또 엉뚱한 생각을 하면 맞추기 어려우니 일썽 쉽게 그저 세상 살아가듯
쉽게 쉽게 생각하소서.
?
  • ?
    석기동상 2004.11.26 23:58
    불가의 이야기를 하시다가 갑자기
    거시기를 물으시는데
    거시기도 맥락이 있어야 거시기 아니것습니까.
    농경사회에서는 거시기의 역활이 무쟈게 중요했을 것이므로
    아마도 거시기는
    소(牛) !
  • ?
    유적 2004.11.28 07:10
    우게 사람!
    석기동상이라먼
    송자도 있고
    안자도 있고
    또 보기도 있고 한디
    보기 맞쟈!

    그라고
    무적님이 먼 문제를 냈으면 답을 적어야제.
    알먼 알겄다
    모르면 모르겠다라고

    그란디 나도 잘 모르겄다.

    그래도 답을 써야제
    정답 : 머시기 ㅎㅎㅎ
  • ?
    복이 2004.11.28 20:22
    이름들 무쟈게 섬시럽네요.
    저희 집을 쫙 꿰뚫고 계시는 유적님은 또 누구시온지.
    정답은 "소"라고 써놨는디라.
    혹시 우리 신금 행님인가요?
    울 동네는 실명젠디.
  • ?
    무적 2004.11.28 21:54
    니는 보기라고도 쓰고
    복이라고도 쓰고
    福以아고도 쓰고
    석기동상이라고도 씀시롱

    나는 有笛이라고 쓰면 안된다는 벱이라도 있냐?
  • ?
    복이 2004.11.28 23:52
    켁!
    有와 無의 차이를 생각해 볼 적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 통영 청마 문학관을 다녀왔습니다 2 달그림자 2004.10.26 1864
215 아내의 언중유골(웃자고 퍼왔읍니다. ㅎ ㅎ ㅎ) 달그림자 2004.11.01 1885
214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펌글) 4 달그림자 2004.11.04 1536
213 예 말이오, 추어탕 끓였당께라(누구 이런 사람 없나?) 7 달그림자 2004.11.08 2090
212 맹사성의 공, 당 문답 달그림자 2004.11.09 1730
211 울어버린 골든 벨 ! (시골의 여고생 절망은 없다) 2 달그림자 2004.11.10 1831
210 어제는 빼빼로 데이 7 달그림자 2004.11.12 1887
209 중년의 사랑 나누기! 8 달그림자 2004.11.16 2134
208 보고픈 사람들에게 21 무적 2004.11.16 1980
207 작은 행복 찾기!(퍼온 글입니다) 4 달그림자 2004.11.19 1681
206 (수수께끼1.) 변강쇠의 마누라는? 18 무적 2004.11.22 2116
205 (수수께끼 2.) 이주일에게는 왜? 15 무적 2004.11.22 1884
204 (수수께끼?) 엄마의 충격적인 한마디는 ? 12 무적 2004.11.23 1858
203 정신년령 40이하는 읽지 않아야 할 글 5 무적 2004.11.24 2214
202 귀 향! 6 ekfrmflawk 2004.11.24 2127
201 (수수께끼4.) 빈 칸을 채우시오 7 무적 2004.11.25 2128
200 갯마을 나그네 7 ekfrmflawk 2004.11.25 1899
» (수수께끼5) 거시기는 과연 무엇일까요 5 무적 2004.11.26 2371
198 우두양태 동영상은 다들 보았남요? 해우소 2004.11.28 1788
197 당신을 초대합니다 3 無笛 2004.11.28 19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