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ㆍ 일정(日亭) : 옛날 마을에 우물이 하나 뿐이어서 一井(일정)이라 부르다가 나중에 마을에 우물이 많이 생겼으며 마을 앞에 수백년된 정자나무가 있어 정자나무를 중심으로 해와 같이 밝고 둥글게 살자는 뜻으로 日井(일정)으로 바꾸었다가 정자정(亭)자를 붙여 일정으로 개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회 수 237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일 저녁이 우리마을은 추석 차례를 지내지요?
저도 이곳 광양에서 우리마을 풍습대로
내일밤에 차례를 지낸답니다.
다른 사람들은 모레 아침에 보통 지내지요.
조금 짧은 연휴지만 가족과 함께
그리고 이웃과 함께 따뜻하고 오붓한 정 나누시고
즐겁고 행복한 시간 되시길 빌겠습니다.

■ 추석 때 부모님 건강 살피기 

추석 한가위 둥근 보름달을 보며 자식들이 기원하는 소원 중 하나가 부모님 건강일 것이다.
건강한 부모님과 함께하는 추석이야말로 둥근 보름달보다 더 푸짐한 게 자식들 마음이다.
이제 마음만이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부모님의 건강을 챙겨 보자.
부모님 건강을 꼼꼼히 챙기려면 몇 가지 사전지식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기준 삼아 알아보자. 

 내과

주무실 땐 호흡이상 여부 살피도록
 

노년에 가장 보편적으로 찾아오는 질병이 호흡기질환이다. 더구나 숨이 차서 잠을 설친다면 문제는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다. 이런 증세에다 담배까지 오랫동안 피워 왔던 부모님이라면 추석 연휴를 마치고 서둘러 병원을 찾길 권유한다.

일단 이런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됐다면 기관지천식부터 만성기관지염·폐기종·간질성 폐질환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더구나 분홍색 가래가 동반되고 다리까지 붓는다면 폐부종도 의심된다. 가래의 색깔이 황갈색·검은색이면 기관지확장증과 그 이상의 질환도 우려된다. 호흡기질환 여부는 숨고르기·기침·가래의 색깔(흡연자의 경우 상세 질의)로 기준을 둬 여쭤 보기 바란다.

 체중·피부색 변화도 눈여겨봐야   

노년기의 체중은 건강 이상 여부의 척도다. 최근 6개월 사이 평소 체중보다 10% 이상 줄었다면 반드시 여쭤 봐야 할 대목이다. 특히 식사가 잦고 화장실을 자주 찾는다면 당뇨병, 늘 피곤하고 피부가 황색으로 변한다면 간질환, 호흡곤란과 함께 몸이 붓는다면 심장질환이 우려된다.

또한 식욕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검게 변한다면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식사량이 늘었음에도 체중이 감소하고 물 마시는 양이 줄었다면 갑상선기능저하증, 털이 심하게 빠지고 피부가 하얗게 변한다면 뇌하수체저하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 모두가 체중감소와 동반돼 나타나는 질병이다. 최근 6개월간 체중변화가 내분비대사질환 체크에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 (내과 도움말 : 윤경선 강남 내과 원장)

 관절·척추

 언덕길·계단 오르내릴 때 예의주시

 머리에 서리가 내리고 주름살이 늘면 자식이 왔다고 댓돌로 뛰어내려 오시던 부모님 모습은 더 이상 보기 힘들다. 그 이유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가운데 하나인 퇴행성 관절염 때문. 초기 증상은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거리고, 언덕길 내려가는 것이 어려워진다. 좀 더 진행되면 걷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도 무릎이 아프고, 바닥에 오랜 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관절을 잘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초기 증상이 나타날 때 치료를 서두른다면 앞으로도 오랫동안 부모님의 버선발 마중으로 행복할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약물요법·물리치료·운동요법·수술치료 등 진행 상태를 완화하고 지연하는 다양한 치료법 등이 개발됐으므로 활기찬 노년을 위해 부모님 스스로도 적극적인 치료 자세가 중요하다.       

 무릎관절 이상·척추관 협착증 체크

 골다공증은 척추골절을 쉽게 야기한다. 척추뼈가 주저앉아 허리·옆구리·엉덩이까지 아프게 되고 최악의 경우 걸을 수도 없어 누워서 생활해야 한다. 또한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척추관 협착증이 노년의 남성들에게서 자주 나타난다.

밤에 잘 때 다리에 자주 쥐가 나며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저린 증세를 보인다. 골다공증은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했지만 대체로 노화와 여성의 폐경으로 인한 에스트로겐 감소로 보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에 접어들면 수시로 골밀도 체크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관절·척추 도움말 : 김효영 한방병원장)

   치과

음식 씹기 피하면 치아 손상 가능성

 풍치는 노년기의 대표적인 치과질환이다. 치아표면의 세균막이 그대로 방치돼 플라그나 치석이 달라붙는 것이다. 플라그와 치석은 강한 세균덩어리이기 때문에 독소를 내뿜어 잇몸과 잇몸뼈에 염증을 일으킨다. 이 플라그와 치석을 제거하지 않으면 뿌리 쪽으로 파고 들어가 결국 치아까지 흔든다. 올 추석에는 부모님께 왜 스케일링을 해야 되는지 반드시 일러 드리자.

 입냄새 심한 경우 구강건조증 의심

 노년기에는 구강건조증 때문에 입냄새가 심하게 난다. 구강건조증은 침의 분비가 줄어들면서 입안의 자정능력이 원활하지 않아 생기는 질환으로 침의 항균작용도 현저히 떨어진다. 결국 구취 유발물질을 생산하는 세균 수가 증가해 입냄새가 나게 되는 것이다. 입안이 마르면 자주 물을 들게 하시고 무설탕껌 등 보조제를 이용해 침의 분비를 자극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치과 도움말 : 유은호 서울그랜드 치과 원장)

   안과

“TV가 흐리다” 불평 땐 백내장 검사를

 백내장은 노년의 대표적인 안과질환이다. 백내장 초기 증세는 물체가 흐리거나 겹쳐 보인다. 이때 특징적인 증상은 가까운 물체가 예전보다 잘 보이거나 밝은 데 가면 오히려 잘 안 보이고 색감이 떨어진다. 눈부심이나 물체가 겹쳐 보이는 복시 등의 증상도 나타나므로 의심되면 바로 안과로 모시고 가기 바란다. 초기에 발견되면 수술 없이 안경만으로 시력회복이 가능하므로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  

이밖에 눈에 상처를 입는다든지 당뇨를 오래 앓거나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투여한 경우 부작용으로 백내장이 나타날 수가 있다. 백내장 발병과 관련된 중요한 인자로는 나이, 당뇨병과 같은 전신질환, 흡연·자외선 같은 환경요인 등을 들 수 있다.

선글라스 착용 등 자외선으로부터의 보호, 금연, 균형 잡힌 식사, 야채·과일 섭취 등이 백내장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별히 눈에 불편한 증상이 없더라도 60세가 넘으면 백내장·녹내장 등 안과질환에 대한 검사를 적어도 1~2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다.(안과 도움말 : 김필수 필안과 원장)

 김진경<헬스365 의학전문기자> 

?
  • ?
    기우 2008.09.13 00:58







    추석 명절 안전 운행 하시고 오시길~~~




  • ?
    기우 2008.09.15 19:22
    옛날에는 이랬답니다.
    차가 막혀 힘들드라도 이런것 보면 지금이 얼마나 좋은가
    느껴 지시리라 믿습니다.
    이제 3일 연휴가 막바지에 이른것 같습니다.
    벌써 귀가한 향우님들도 계실 것이고
    아직 못가신 분들도 계시리라 믿습니다.
    아무튼 마무리 잘하시고
    내일부터는 일상으로 돌아가야 하겠지요.
    힘차게 신나게 시작 되시길 빌겠습니다.



















     


















    귀성객으로 붐비는 서울역.(1967년 9월16일)



    초만원을 이룬 귀성열차. (1968년 10월5일)



    콩나물 시루 같은 객차에나마 미처 타지 못한 귀성객들은 기관차에 매달려서라도 고향으로 가야겠다고 거의 필사적이다. 기적이 울리는 가운데 기관차에 매달린 두아낙네의 몸부림이 안타깝다.(1969년 9월24일)



    정원87명의 3등객차 안에 2백30여명씩이나 들어 찬 객차 안은 이젠 더 앉지도 서지도 못해 짐 얹는 선반이 인기있는 침대(?)로 변하기도.(1969년 9월24일)



    추석을 이틀 앞둔 24일 서울역은 추석 귀성객들로 붐벼 8만1천여명이 서울역을 거쳐 나갔다.(1969년 9월24일)



    8만 귀성객이 몰린 서울역엔 철도 직원외에도 사고를 막기위해 4백80여명의 기동경찰관까지 동원, 귀성객들을 정리하느라 대막대기를 휘두르는 모습이 마치 데모 진압 장면을 방불케했다.(1969년 9월24일)



    귀성객이 버스 창문으로 오르는등 고속버스정류장 대혼잡 (광주고속버스정류장. 1970년 9월14일)



    삼륜차까지 동원되어 1인당 1백원에 성묘객을 나르고 있다. 홍제동. (1970년 9월15일)



    60~70년대에 선보였던 대표적인 추석 인기 선물 - 설탕세트.



    꿈속에 달려간 고향. 지하도에서 새벽을 기다리며 새우잠을 자는 귀성객들. (서울역앞에서. 1978년 9월16일 새벽2시)



    추석 전날 시골 풍경 (1980년 9월)



    한복정장차림으로 추석제례를 올리고 있는 4대째의 일가족. 올해 1백살난 姜敬燮할머니가 시부모의 묘에 절을 할때 80세된 며느리 呂判敎할머니와 손자 손부 증손자 증손부와 문중일가 20여명이 지켜보고 있다. (慶北 金陵군. 1980년 9월24일)



    추석 귀성객 (1980년)



    추석 귀성객은 돌아오기도 고달프다. 통금이 넘어 14일 새벽 0시20분에 도착한 연무대발 서울행 고속버스 승객들이 야간통행증을 발급받고 있다. (1981년 9월14일)



    광주행 고속버스표를 예매한 여의도광장에는 3만여명의 인파가 몰려 삽시간에 표가 동나버렸다. (1982년 9월19일 정오)



    짐인지 사람인지...
    귀성버스도 북새통. 연휴 마지막날인 3일 한꺼번에 몰린 귀성객들로 짐짝처럼 버스에 오른 사람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관광버스 짐싣는 곳에 승객이 앉아 있다.(1982년 10월3일)



    고향으로 달리는 마음
    추석귀성을 위한 고속버스 승차권 예매행렬이 가을비가 부슬부슬 내리는데도 끝이없이 늘어서 있다. (여의도광장. 1983년 9월10일)



    빗속의 귀성예매 대열
    추석 귀성객을 위한 고속버스승차권 예매가 15일 서울여의도에서 시작되자 3분의1일인 1만5천6백여장이 팔렸다. (1985년 9월15일)



    추석 고향길은 멀고도 불편한 고생길. 서울역 광장은 요즘 귀성객들이 하루 10여만명이나 몰려들어 민족대이동의 인파로 붐비고 있다. (1985년 9월29일)



    이번 추석 귀성길에는 고속도로 국도마다 차량홍수를 이루면서 중앙선 침범, 끼어 들기등 무질서한 운행으로 극심한 교통체증과 혼란을 빚었다. (벽제국도.1987년 10월7일)



    24일 서울역에는 이른 아침부터 많은 귀성객이 몰려 큰 혼잡을 빚었다. (1988년 9월24일)



    추석 귀성열차표를 사기위해 서울 용산역광장에 몰려든 예매객들. (1989년 8월27일)



    가다가 쉬다가...
    추석인 14일오전도 경부고속도로 하행선에는 귀성객과 성묘객들의 차량이 몰려 평소보다 2~3배나 시간이 더 걸리는 심한 정체현상을 빚었다. (1989년 9월14일)



    멀고 먼 귀성길
    5일부터 추석귀성 열차표 예매가 시작되자 6일 발매되는 호남선 열차표를 사려는 시민들이 앞자리를 뺏기지 않기위해 텐트와 돗자리까지 동원, 새우잠을 자며 날새기를 기다리고 있다. (서울역. 1992년8월6일)




  • ?
    기우 2008.09.19 08:25
    인연의 시작

    눈만 감아도
    떠오르는 인연이 있습니다.

    어쩜 그 동안 수도 없이
    옷깃을 스쳤을지도 모를,
    그저 모르는 남남으로 눈길 한번
    주지 않았을지도 모를 나의 반쪽 그가
    어느 날 내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오는 것.

    인연의 시작입니다
    지나는 바람에도 알 수 없는 설레임이 깃들고,
    기다림의 창턱에 앉아 목을 길게 빼면
    알 수 없는 떨림에
    괜스레 두 눈이 젖어오는 것.

    - 최정재의 시집《당신, 사랑해도 되나요...》에 실린 시
           <스치듯 인연에서 동반까지> 중에서 -

    * 인연은 사람의 작품이 아닙니다.
    하늘이 주는 특별한 선물이고 축복입니다.
    인연이 시작되면 그 다음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입니다. 얼마나 빨리 성공하느냐보다 얼마나
    의미있는 인생을 사느냐가 중요하고, 얼마나 빨리
    사랑이 타오르냐보다 얼마나 오래 온기를
    잃지 않느냐가 더욱 중요합니다.
    이제 시작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을회관 컴퓨터 운영비 후원금(2차공지) 12 김기우 2006.11.19 26412
공지 마을회관 컴퓨터 운영비 31,000원에 대한 제안입니다 75 김기우 2006.08.15 37691
354 전국 가을명산들 많이 구경하세요 기우 2008.10.02 3588
» 오붓하고 따뜻한 추석 되십시요 3 기우 2008.09.12 2371
352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추석날에 딱 맞는 민요 모음 3 김기우 2008.09.03 2330
351 동영상으로보는 김용임 노래(90곡) 2 기우 2008.08.29 8487
350 내치마을 쉼처 후원에 관해 3 고향생각 2008.08.13 2534
349 우리 함께가는 세상 // 잠자는 공주(음악) 2 기우 2008.08.10 2996
348 꽃을 파는 할머니 기우 2008.07.30 2251
347 아름다운 이별 2 기우 2008.07.03 2188
346 EM 2008 김창선 2008.06.22 2257
345 수의가 되어버린 마지막 선물 기우 2008.06.15 2069
344 향우회을 마치고 2 김기수 2008.06.03 2667
343 좋아할 수 밖에 없는 가요모음 기우 2008.05.27 2388
342 신종사기수법 기우 2008.05.27 3306
341 전화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수법도 가지가지.....) 기우 2008.05.12 2670
340 알고는 못 먹는 콜라(정말 마시면 안되겠네요) 기우 2008.05.09 3050
339 어버이날 어머니께 드리는 노래(시인 이해인) 기우 2008.05.08 2707
338 부고 7 이재식 2008.05.03 2246
337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1 강지한 2008.04.28 2722
336 55년만에 쓴 감동의 편지 기우 2008.04.27 2198
335 금산면총회 1 진재수 2008.04.27 184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7 Next
/ 37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