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ㆍ 우두(牛頭) : 마을의 지형(地形)이 소의 머리와 같이 생겼으므로 쇠머리라고 부르다가 한자를 訓借(훈차)하여 우두(牛頭)라 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5.09.28 08:52

더위가 남긴 가을

조회 수 1743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결실의 계절 가을인데도

농민들의 무거워진 어깨를 펴드릴 수가 없네요


벼 멸구가 풍년농사의 걸림돌로

극성을 부리고 있다고 하네요.


출근길 유심히 살펴보니 군데군데

벼 이삭들이 하얗게 변한 모습이 보여

매우 걱정이 되네요


가뜩이나 수매정책에 고개 떨구고 있는

부모형제들의 웃음을 찾을 수 있는 길을 찾아

우리 오늘도 고민해봅시다.

고민하다 보면 길은 열리리라고 믿으며


그래도 가을은 우리를 풍요롭게 하지요

2005년 9월 28일 아침을 익어가는 열매들로

채워 봅니다


     더위가 남긴 가을


비와 함께 엮은 더윈  무지개 빛 사랑 싣고

풍요로운 들판 위를 햇빛 따라 헤매이다

발 뻗고

누울 자리를

알아내고 숨었지


더위가 마련해준 보금자리 안팎에선

종족보존의 숙명 앞에 달아오른 열기 품은

화끈한 

사랑 놀음에

익어가는 열매들

 




?
  • ?
    김궁전 2005.09.28 12:15
    달그림자행님!
    아직까지 메로(벼멸구)가 극성을 부리나요?
    좋은 약 들을 개발해서 메로가 없어진줄 알았습니다
     가을에 벼이삭이 여물어지면 길가의 벼는 지나가는 우리가 홀타서 먹었던 기억이납니다
    우리의 농민들은 애써 지어논 농사지만 자기 눈앞에서 벼이삭을 홀타 먹어도 말한디없이
    모른척 해주던 인간미가 있었습니다......
    쇠머리 넘어가는 때밭에 감재(고구마)를  누가 파먹어도 모진 욕한디안했던 그런 시절이
    있었습니다........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