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ㆍ 성치(城峙) 본 마을은 도양목관(道陽牧官)에 속한 목장성(牧場城)의 동쪽에 있으므로 한때 마을 이름을 성동(城東)이 목장성의 동쪽에 있으므로 마을 이름을 성동이라 부르다가 성(城) 고개 밑에 위치한다 하여 성치(城峙)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5.02.22 10:32

아내의 빈자리

조회 수 1367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 글의 주인공들은 실존인물이고
    실화를 바탕으로 쓴 글이랍니다.
    *****************
    아내가 어이없이 우리 곁을 떠나지 4년.
    지금도 아내의 자리가 너무 크기만
    합니다.
    어느 날 출장으로 아이에게
    아침도 챙겨주지 못하고 집을
    나섰습니다.
    그 날 저녁 아이와 인사를 나눈 뒤
    양복상의를 아무렇게나 벗어놓고
    침대에 벌렁 누워 버렸습니다.
    그 순간 뭔가 느껴졌습니다.
    빨간 양념국과 손가락 만한 라면이
    이불에 퍼 질러진 게 아니겠습니까?
    컵라면이 이불 속에 있었던 것입니다.
    이게 무슨 일인가는 뒷전으로 하고
    자기 방에서
    동화책을 읽던 아이를 붙잡아
    장딴지며 엉덩이며 마구 때렸습니다.
    "왜 아빠를 속상하게 해?"
    하며 때리는 것을 멈추지 않고 있을 때,
    아들 녀석의 울음 섞인 몇 마디가
    손을 멈추게 했습니다.
    아빠가 가스렌지 불을 함부로
    켜서는 안 된다는 말에
    보일러 온도를 높여서 데워진 물을
    컵라면에 부어서 하나는 자기가 먹고
    하나는 아빠 드리려고 식을까봐
    이불 속에 넣어 둔 것이라고....
    가슴이 메어 왔습니다.
    아들 앞에서 눈물 보이기 싫어
    화장실에 가서
    수돗물을 틀어놓고 엉엉 울었습니다.
    일 년 전에 그 일이 있고 난 후
    저 나름대로 엄마의 빈자리를
    채우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아이는 이제 7살,
    내년이면 학교 갈 나이죠.
    얼마 전 아이에게 또 매를 들었습니다.
    일하고 있는데 회사로
    유치원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아이가 유치원에 나오지 않았다고...
    너무 다급해진 마음에
    회사에 조퇴를 하고 집으로 왔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찾았죠.
    동네를 이 잡듯 뒤지면서
    아이에 이름을 불렀습니다.
    그런데 그놈이 혼자 놀이터에서 놀고
    있더군요.
    집으로 데리고 와서 화가 나서 마구
    때렸습니다.
    하지만 단 한차례의 변명도 하지 않고
    잘못했다고 만 빌더군요.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그 날 부모님을
    불러놓고
    재롱잔치를 한 날이라고 했습니다.
    그 일이 있고 며칠 후 아이는
    유치원에서
    글자를 배웠다며 하루 종일 자기
    방에서
    꼼짝도 하지 않은 채 글을 써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고 아이는 학교에
    진학했죠.
    그런데 또 한 차례 사고를 쳤습니다.
    그 날은 크리스마스 날.
    일을 마치고 퇴근을 하려고 하는데
    한 통의 전화가 걸려 왔습니다.
    우리 동네 우체국 출장소였는데
    우리 아이가
    주소도 쓰지 않고 우표도 부치지
    않은 채
    편지 300여 통을 넣는 바람에
    연말 우체국 업무에 지장을
    끼친다고 온 전화였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또 일 저질렀다는
    생각에 불러서 또 매를 들었습니다.
    아이는 그렇게 맞는데도 한마디 변명도
    하지 않은 채
    잘못했다는 말만 하더군요.
    그리고 우체국 가서 편지를 받아 온 후
    아이를 불러놓고
    왜 이런 짓을 했냐고 하니 아이는
    울먹이며 엄마한테 쓴 편지라고.
    순간 울컥하며 나의 눈시울이 빨개
    졌습니다.
    아이에게 다시 물어 보았습니다.
    그럼 왜 한꺼번에 이렇게 많은 편지를
    보냈느냐고.
    그러자 아이는 그동안 키가 닿지 않아,
    써오기만 했는데 오늘 가보니깐 손이
    닿아서 다시 돌아와 다 들고 갔다고.
    아이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랐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엄마는 하늘 나라에
    있다고.
    다음부턴 적어서 태워 버리면 엄마가
    볼 수 있다고.
    밖으로 편지를 들고 나간 뒤
    라이타불을 켰습니다.
    그러다가 문득 무슨 내용인가 궁금해
    하나의 편지를 들었습니다.
    .
    .
    .
    .
    보고 싶은 엄마에게.
    엄마 지난주에 우리 유치원에서
    재롱잔치 했어...
    근데 난 엄마가 없어서 가지 않았어...
    아빠한테 말하면 엄마생각 날까봐
    하지 않았어...
    아빠가 날 막 찾는 소리에
    그냥 혼자서 재미있게 노는척했어.
    그래서 아빠가 날 마구 때렸는데
    얘기하면
    아빠가 울까봐 절대로 얘기 안 했어.
    나 매일 아빠가 엄마생각하면서
    우는 것 봤어.
    근데 나는 이제 엄마 생각 안나.
    아니 엄마 얼굴이 기억이 안나.
    보고 싶은 사람 사진을 가슴에
    품고 자면 그 사람이
    꿈에 나타난다고 아빠가 그랬어.
    그러니깐 엄마 내 꿈에 한번만
    나타나.
    그렇게 해줄 수 있지. 약속해야 돼,
    편지를 보고 또 한번 고개를
    떨구었습니다.
    아내의 빈자리를 제가 채울 순
    없는 걸까요,
    시간이 이렇게 흘렸는데도...
    우리아이는 사랑 받기 위해
    태어났는데
    엄마사랑을 못 받아 마음이
    아픕니다,
    정말이지 아내의 빈자리가 너무
    크기만  합니다.
    .........































?
  • ?
    양현 2005.02.23 01:28
    이 글은 두어달전 읽었는데도 다시보니
    눈물이 나네요.
    바이얼린 소리도 너무 애처롭게 들리고...
  • ?
    경자 2005.02.23 07:38
    양현후배님~
    다녀가셨군요~
    나도 이 글을 읽으면서
    눈물 많이 흘렸네요~
    후배님 가정에 웃음과 행복이
    가득 하시길~~~
  • ?
    양현 2005.02.23 08:36
    바이얼린의 비브라토(떨림)가 이렇게
    애절하게 들릴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크레센토(점점커짐)는 금산 앞바다의 밀물을 밀려오는 거 같은 느낌이구요.
  • ?
    기태 2005.02.23 21:08
    가슴이 찡하네요 살아가는 그날까지 잘 살아야 겠네요
    왠지 눈물이 날여고하네요.......
    좋은글 보고갑니다.
    현이친구 울동네 구경와준것에 감사
    음악제목이 ,비브라토"친구덕분에
    훌륭한 음악제목도알고...
    일정에 놀러갈게
  • ?
    경자 2005.02.24 07:50
    기태야~
    다녀갔구나~
    여기오면 이렇게 후배님들과
    선배님들 만남이 기쁘구나~
    이렇게나마 자주보자,,,,,^*^
    가족모두 건강하구 행복하기바래~~~~
  • ?
    우기 2005.02.27 08:10
    아내의 빈자리?
    무지 크지
    난 하루만 아내가 없어도
    엉망이다. 냉장고에 찾아야할 것들이 왜 그렇게
    꼭꼭 숨어서 안 보이는지
    읽어보니깐 가슴이 미어질 듯 한 이야기들이다
    부디 아내의 자리를 잘 지켜다오
    때가 되면 차라리 굶자로 변하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정기총회 결산및 찬조하신분명단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2.16 6972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정기총회 및 송년회 밤을 마치며.....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2.16 6018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2014년결산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1.22 6178
공지 재경성치향우회 정기총회 및 송년회밤 재경성치총무김중앙식 2014.11.22 9163
356 하루의 시작은 아침에 있습니다. 기태 2005.01.26 1493
355 건강칼럼(2) 맹장에 관한 이야기 3 남창욱 2005.01.29 2001
354 귀환(詩) 남창욱 2005.01.30 1467
353 우 ㅡ와<감상하세요> 8 기태 2005.01.30 1709
352 건강칼럼(3) 주역의 상생에 관한 이야기 2 남창욱 2005.02.04 1515
351 오늘 하루는...' 2 기태 2005.02.06 1266
350 그리운 내고향 성치 2 정아 2005.02.10 1257
349 건강칼럼(4) 위에 관한 이야기 2 남창욱 2005.02.11 1973
348 2005년은 ,,어머니의 해,,입니다. 9 명경자 2005.02.17 1539
347 건강칼럼(5) 폐에 관한 이야기 2 남창욱 2005.02.18 1981
346 봄을 기다리는 마음 (주말입니다) 4 명경자 2005.02.19 1535
345 그대는 모르리 남창욱 2005.02.19 1453
344 남창욱 사진 모음 6 남창욱 2005.02.19 1771
» 아내의 빈자리 6 명경자 2005.02.22 1367
342 건강칼럼(6) 심장에 관한 이야기 2 남창욱 2005.02.24 1675
341 사진올림.. 9 유기태 2005.02.24 1592
340 소중한 친구에게... 1 기태 2005.02.26 1267
339 ''마음이 따뜻한 사람'' 11 명경자 2005.02.28 1553
338 당신에게 힘이 되는 글 5 명경자 2005.03.03 1200
337 건강칼럼(7) 콩팥에 관한 이야기 1 남창욱 2005.03.04 207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