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초록 캔버스에 노란색 점이 빽빽하게 찍힌 거대한 점묘화 속으로 들어선다. 유자나무는 선비의 품성을 닮았다. 꼿꼿한 가지는 열매가 주렁주렁 맺혀도 감나무처럼 결코 고개를 숙이는 법이 없고,두꺼운 잎은 댓잎처럼 계절이 바뀌어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어린아이 새끼손가락 만큼이나 길고 굵은 가시는 범접을 거부하면서도 은은한 향은 사람을 끄는 묘한 매력을 풍긴다.

‘반중 조홍감이 고아도 보이나다/유자 아니라도 품음직도 하다마는/품어가 반길 이 없슬새 글로 설워하노라’(박인로의 시조)


유자는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만 나는 귀한 과일이라 30여년 전만해도 국어교과서에 나오는 박인로의 시조를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다. 곱게 익은 감보다 더 품어갈 만 하다는 유자. 늦가을 유자향 은은한 전남 고흥 유자골로 아로마여행을 떠난다.

단풍이 막 물들기 시작한 남도 끝자락의 고흥반도는 나환자촌으로 유명한 소록도가 딸려 있는 한적한 바닷가 시골마을. 유자골로 유명한 고을이 연말께 외나로도의 우주센터 착공을 앞두고 유자축제를 알리는 현수막마다 ‘우주항공산업의 메카’란 문구를 새겨넣고 도로를 넓히는 등 한껏 들뜬 분위기다.

고흥읍에서 풍양면 소재지를 지나 조그만 고개를 넘으면 유자나무가 집단으로 재배되는 유자공원을 만난다. 말이 유자공원이지 특별한 시설은 없다. 드넓은 과수원엔 자동차 1대 겨우 지날만한 1㎞의 산책로와 국도변 유자전시판매장이 전부. 그러나 고풍스런 멋이 살아있는 유자밭 산책로를 트레킹 하듯 1시간쯤 걷다보면 은은한 향을 발산하는 유자나무 아래에서 고고한 남도선비의 품성을 배우게 된다.

유자밭을 한눈에 조망하려면 판매장 앞 산책로를 5분쯤 올라 야트막한 금성산 정상에 서야 한다. 한동마을을 넉넉하게 품은 37만평의 유자밭이 마치 초록바다처럼 끝없이 펼쳐지고,노랗게 익은 유자열매는 수확을 기다리며 향을 날리고 있다. 초록색과 노란색이 이처럼 잘 어울리는 곳은 유자밭밖에 없으리라. 오른쪽으로 눈을 돌리면 한때 바다였던 고흥만이 갈대밭으로 변해 망망대해처럼 펼쳐진다. 한적한 산책로를 따라 마을로 내려오면 주민들이 산책로에 멍석을 깔고 벼와 고추를 말리고 있어 무작정 자동차를 끌고 갔다가는 낭패 당하기 십상이다.

유자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신라 문무왕때인 840년. 장보고가 당나라 상인으로부터 유자 씨앗을 선물로 받아 도포자락에 넣어오다 남해안에 도착할 무렵 풍랑으로 씨앗이 떨어져 번식되었다고 전해진다. 사찰과 양반집 정원에서 한 두 그루 자라던 유자가 대량으로 보급된 것은 30여년전. 지금은 작고한 이웃 대청마을의 이계환씨가 탱자나무에 접목해서 묘목을 대량 보급하고,공무원이던 임정남씨(고흥읍?59)가 70년대에 논과 밭에 묘목을 심어 10년후 고소득을 올리자 급속도로 확산됐다.

“옛날에는 유자나무 한 그루만 있어도 자식을 대학에 보낼 수 있었지라”

한동부락에서 유자농사를 짓는 이한식씨(52)는 70년대 이전만 해도 한 마을에 유자나무가 두 세 그루 밖에 없어 유자값이 금값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 사람들은 유자나무를 금나무,부자나무,대학나무로 부른다. 지금은 과잉생산과 오렌지 등 서구식 입맛에 밀려 유자값이 폭락하면서 재배면적도 3분의 1로 줄었다. 그래도 유자농사가 다른 밭작물 농사보다는 낫다고 한다.

유자향이 가장 진한 때는 수확 직전인 늦가을. 바람이 불지않는 흐린날 아침이면 풍양면 일대는 유자향으로 가득하다. 유자밭에는 드문드문 감나무도 있다. 농민들이 박인로의 시조를 의식해 감나무를 심는 것은 아니지만 유자나무에 둘러싸인 감나무는 꽤 시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못생겨도 맛은 좋다는 광고카피는 유자에 더 어울린다. 유자는 껍질이 두껍고 못생긴데다 바람이 불면 열매가 큰 가시에 찔려 상처가 나면서 울퉁불퉁해진다. 게다가 알맹이보다는 껍질이 더 소용되는 특이한 과일이다. 비타민C의 보고인데다 항암효과가 입증되면서 찾는 사람도 꾸준히 늘고 있다고.

유자밭은 이곳 풍양읍 한동부락 뿐만 아니라 고흥읍 고소리에도 많다. 풍양읍 소재지에서 좌회전해 고흥만방조제를 향해 달리면 해발 356m의 오무산이 나타난다. 방조제를 쌓기 전 게가 산으로 올라와 춤을 추었다고 해서 오무산이란 이름이 붙은 고소리는 원래 고흥만의 바다가 내려다 보이던 곳.

산자락을 노랗게 채색한 유자밭 너머 간척지는 온통 갈대밭으로 이곳에서 석양을 만나는 것은 행운. 득량만으로 지는 석양에 물든 갈대가 벌겋게 불타오르는 장엄한 모습에 눈물이 왈칵 쏟아질 지경이다. 고흥군은 이곳 간척지에 경비행장과 항공센터를 건설해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유자와 로켓.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단어가 고흥에서만은 한 단어처럼 친숙하게 느껴진다.


고흥=글/사진 박강섭기자 kspark@kmib.co.kr
?

언론 고향 소식

언론에 비친 고흥군 관련 소식을 전합니다.

  1. No Image

    흥농종묘 현장취재- 삼일황 양파 재배[02.5]

    ▲삼일황양파 수확모습 ▲ 출하직전의 삼일황양파 "삼일황양파는 고흥군 전체에서 가장 우수한 작황을 보였습니다" 왼쪽부터 고흥군 금산면 대흥농약사 김기완 사장, 재배농민 최현남씨, 흥농종묘 이병호 차장 ▲ 지난 4월 11일 삼일황양파 품종평가회에 참석한 ...
    Date2002.12.27 By거금도 Views3762
    Read More
  2. No Image

    고흥군 동영상 감상하세요 ^^1

    이게 언제 제작되었는지는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저도 이걸 '고흥사람 고흥사랑' 이란 다음 카페에서 유종석님께서 재 편집해서 올린 동영상을 녹화해서 홈페이지에 올린겁니다. 짐작으론 2000년전에 제작된것 같습니다. 참고로 現 고흥군 군수는 진종근님입...
    Date2002.12.23 By거금도 Views3617
    Read More
  3. 좀수수치를 들어보셨나요.[우리나라 고유어종]1

    모든걸 그냥 미꾸라지라고만 알고 불렀었는데.. '좀수수치'라는 조금 낯선 학명을 갖고 있었네요.. 아래는 설명입니다. 한국담수어류 - 미꾸리 과 설명 몸은 가늘고 길며 입은 머리 아래쪽에 있고 입술은 육질로 되어 비교적 두꺼우며 입 주변에는 3쌍의 수염...
    Date2002.12.14 By운영자 Views4570
    Read More
  4. No Image

    금장인들의 까페가 만들어 졌습니다.1

    http://cafe.daum.net/kjanghttp://cafe.daum.net/kjang
    Date2002.11.28 By금장 Views2120
    Read More
  5. No Image

    [고흥 유자골] 호젓한 남도 끝자락 추억이 주렁주렁 열렸네…

    초록 캔버스에 노란색 점이 빽빽하게 찍힌 거대한 점묘화 속으로 들어선다. 유자나무는 선비의 품성을 닮았다. 꼿꼿한 가지는 열매가 주렁주렁 맺혀도 감나무처럼 결코 고개를 숙이는 법이 없고,두꺼운 잎은 댓잎처럼 계절이 바뀌어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
    Date2002.10.30 By거금도 Views2772
    Read More
  6. No Image

    전남 고흥군 '소록도' 관광지 개발 논란5

    [속보, 사회] 2002년 10월 27일 (일) 19:23 ‘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름거리며/ 가는 길….’ 한센병 시인 한하운의 ‘전라도 길─소록도 가는 길에’ 한 구절이다. 이 한센병 환자들의 삶의 터전인 전남 고흥군 소록도가 개발 논란에 휩싸...
    Date2002.10.28 By거금도 Views3749
    Read More
  7. No Image

    거금팔경 居金八景

    :: 거금팔경居金八景 :: 산수가 비단같이 수려하다고 해서 錦山이라는 지명을 얻었다는 금산에는 옛부터 풍류인風流人들이 즐겨찾는 여덟가지의 아름다운 경치가 있었으니 이를 곧 거금팔경居金八景이라 한다. 그러니까 거금팔경은 단양팔경丹陽八景이나 관동...
    Date2002.10.23 By거금도 Views2299
    Read More
  8. No Image

    머리 식히는 시간입니다!2

    새로오신 우리 금산면장에게 드리는 글임니다! 작성자:재광고흥군 향우회 부회장 이기철 안녕하십니까? 금산면장 취임하시는 날이 벌써 1개월이 가까워지는군요 저도 금산면 신촌마을 출신자이며 공직의 선배 그리고 금산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제는 한말...
    Date2002.10.21 By이 기철 Views2031
    Read More
  9. No Image

    [기사] 재경 고흥군 향우회장을 만나다~~

    본문의 기사는 지난6월26일 고흥신문 서울김정석 기자가 재경향우회 진영화 회장을 취재했던 내용입니다. 이글은 고흥인을 위한 고흥사람 고흥사랑이라는 다음에 있는 카페에서 발췌한 글로써 카페주소는 (xx34) http://cafe.daum.net/ckp 입니다.. 기사내용 ...
    Date2002.10.12 By거금도 Views2171
    Read More
  10. No Image

    재경 고흥군 향우회 금산면 방문에 즈음하여

    재경 고흥군 향우회 에서 내고향 바로 알기 사업으로 인한 고흥군 16개 읍면을 선정하여 방문한다. 재경 고흥군 향우회 진 영화 회장께서는 금산면 신평리 신평 마을에서 태여나 초등학교 까지 마친 사람이다. 출향민중에서 특히 재경 고흥군 향우회 25만명의 ...
    Date2002.08.19 By금산인 Views29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