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금산 당산제 (동제) - 평지,옥룡

by 운영자 posted Apr 15,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동제는 사람들과 초자연적 존재와의 관계성립이라는 순전한 종교적 의미뿐 아니라 그 공동의 신앙을 갖고 공동으로 의례를 행한다는 점에서 집합의식의 표출과 강화라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동제의 변화, 예를 들어서 그 약화와 소멸은 마을사화와 문화자체의 어떤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고흥군의 경우도 우리 나라 대부분의 마을들이 그렇하듯이 동제가 약화되고 소멸되어 가는 과정에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러한 과정중에서도 오래전부터 강한 전통으로 지속되어 온데다 현재 노인들이 상당한 신념으로 인해 지속력을 강하게 갖고 있는 마을들이 있으니, 도화면의 항구마을인 발포가 그 대표적인 경우가 될 것이다.

고흥군지역의 동제를 읍·면 별로 살펴보면 고흥읍 4건, 도양읍 6건, 풍양면 12건, 금산면 22건, 도화면 12건, 포두면 11건, 봉래면 19건, 점암면 4건, 과역면 5건, 영남면 3건, 남양면 2건, 동강면 9건, 대서면 4건, 두원면 4건 등 모두 117건이 있다.

금산에서 지속성이 강하다고 판단되는 곳 ..

:: 금산면 어전리 평지 마을 당제

위 치 : 상당 - 용두봉 기슭의 당집, 하당 - 마을 어귀 당산나무 앞


평지마을은 거금도에 속한 섬마을로 해발 148m의 용두봉 서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행정구역상 금산면 어전리에 속하며, 마을의 복동쪽은 면소재지인 대흥리와 동촌마을이 남으로는 연소마을이 인접하고 있다.

평지라는 마을 이름은 넓은 평전(平田)에 마을이 형성되었기에 붙여진 것이라는 설(說)이 있다. 현재 총 60가구에 인구 311명(남161,여150)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민들 대부분이 농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에 상당과 하당에서 당제를 지내오고 있다. 제삿날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고 그 해 정월이 큰 달이면 2일에, 작은 달이면 1일이 제일이다. 흥미로운 것은 상당제가 비단 평지 마을만의 행사가 아니라는 점이다. 인근의 동촌 마을과 연소마을이 평지와 공동으로 상당제를 지내고 있다. 이에 비해 하당제는 각 마을이 각기 별도의 제장에서 지낸다.

상당제의 신격은 당 할아버지이고 제장은 용두봉(龍頭峰) 기슭에 있는 슬라브 당집이다. 한편 하당제의 신격은 당 할머니이고 마을 어귀 당산나무 앞이 제장이다. 제를 주관하는 제관은 이 마을 주민 선병지씨가 음력 12월 25일에 전(평지, 연소, 동촌) 마을들을 대상으로 생기복덕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 제관과 그 부인 모두 생기복덕이 맞아야 한다.

제관에게 개고기류의 음식금기, 출산 부정, 사망부정 등을 피해야 하는 근신의 규칙이 따르는 것은 다른 곳들과 같다. 이러한 사항들은 제사를 지낸 후로도 1년 동안 계속된다. 한편 주민들도 제장 주위를 깨끗이 청소하고 제관집과 마을 입구에 금줄을 치고 금토를 까는 등 부정(不淨)을 예방하는데 힘쓴다.

제물은 제일 2∼3일 전에 제관과 마을의 대표자가 녹동에서 구입해 온다. 제물을 구입할 때 유고가 없는 상인에게 사야하고 값을 흥정하지 않아야 한다. 제물 조리는 제일에 제관 내외가 한다. 제물을 조리할 때는 고춧가루를 사용하지 않고 음식맛도 보지 않는다.

오후 8시경이 되면 제관 내외는 조심스럽게 상당으로 향한다. 상당으로 갈 때 사람을 만나면 해(害)를 본다는 속신(俗信)이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바깥 출입을 삼가함은 물론이고 심지어 개까지 묶어 놓는다. 상당에 도착한 제관은 먼저 목욕제계하고 메를 지은 후 진설한다. 상당의 젯상에는 술과 고기를 올리지 않고 메·산채·과일만을 진설하는데 그 이유를 알고 있는 주민은 없다. 상당제는 진설-재배-독축-소지의 순으로 진행된다.

상당제가 끝나면 제관은 손전등으로 제사가 끝났음을 마을에 알려 하당제를 준비하게 한다. 하당제는 제관의 신호에 따라 평지, 동촌, 연소 각 마을의 제장에서 진행되는데 상당제와는 달리 유고하지 않은 사람도 모두 참여할 수 있고 여러가지의 제물이 진설된다. 하당제는 진설(陳設)-헌작(獻酌)-재배(再拜)-헌식(獻食)-음복(飮福)의 순이며 축문과 소지는 올리지 않는다.

제사가 모두 끝나면 남은 음식으로 제에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을 하고, 이튿날은 마을 회의를 개최하여 제사비용에 대한 결산과 마을의 1년 사업 등 제반사업이 토의된다.


:: 금산면 어전리 옥룡마을 당산제

위 치 : 상당-마을 뒷산 기슭, 하당-마을 앞 해변


옥룡마을은 거금도에 있는 어촌이다. 마을 동쪽은 익금 마을, 북쪽은 탁동 마을이 인접해 있으며 행정구역상 금산면 어전리에 속한다. 옥룡이라는 이름은 마을 뒤에 옥흥봉(玉興峰)과 옆의 용두봉(龍頭峰)에서 따서 붙인 것이다. 현재 총 38가구에 인구 430명(남220, 여210)이 살고 있고,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밖에 해태 양식 및 여타의 어업이 생업의 일부를 차지한다. 이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2일 저녁 8시경에 당산(상당, 하당)제를 지내오고 있다.

과거에는 제일을 음력 1월 중 아무런 유고가 없는 날로 정했으나 근래엔 김 양식장업과 경합을 피해 1월 2일로 정하였다. 상당의 신격은 당 할머니이다. 제장은 마을 뒷산 기슭에 있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벽돌로 지은 당집이다. 하당의 신격은 천신, 지신, 당신이고 마을 앞 해변이 제장이다. 제일 5일전에 마을 앞 노인들이 생기복덕에 맞고 출산, 상고(喪故)가 없는 사람으로 제관 1명과 종사원 3명을 선정한다. 일단 제관과 종사원으로 선정되면 특별한 유고가 없는 한 거절할 수 없다.

이들에게 특히 제관에게는 어려운 금기와 근신이 따른다. 일례로 대·소변시에는 옷을 갈아입고 신발을 갈아 신어야 하는데 그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금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 제를 지낸 후 일년동안은 유고가 있는 곳의 출입을 삼가야 한다. 이렇듯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하여 마을에서는 제관에게 5만원의 수고비를 지불한다. 정월 초하룻날 종사원들은 제관의 집과 마을로 통하는 모든 길목에 금줄을 치고 금토를 깔아 집안의 출입을 금한다.

한편 이장은 제일이 임박하면 녹동장에서 조기·양태·준어·산채 과일만 구입하고 육류는 부정하다 하여 사지 않는다. 제사비용은 마을공동 기금에서 충당하고 있다. 제관의 수고비 5만원과 제물 장만 비용을 합쳐 약 10만원 정도가 소요되고 있다. 제물 장만을 보면 상당의 경우 제관이 제를 지내러 올라가서 메·김국·산채를 직접 장만한다. 제주는 없고 대신 정화수를 올린다. 한편 하당에 진설되는 제물은 제관 내외가 장만한다. 제를 지낼 시간이 가까워지면 이장이 방송으로 제가 곧 시작됨을 알린다. 이를 들은 주민들은 바깥 출입을 삼간다. 제관은 조심스럽게 상당으로 향한다. 상당에 도착한 제관은 당샘에서 목욕재계한 후 새 옷으로 갈아입고 제물을 장만하여 제사 지낼 준비를 한다.

제는 진설-재배-소지 순으로 한다. 이 중 소지는 제관·이장·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3장을 올린다. 이어 마을 앞 해변에서 진행되는 하당제는 천신·지신·당신을 위한 상 세 개를 차려 놓고 김·미역·양식이 잘 되기를 기원한다. 제의가 끝나면 주민들은 제관 집에서 음복한다.

 



TAG •
  • ?
    평지 2003.11.17 08:37
    위 사진은 선참봉댁 기념비입니다.
    하당제 사진은 평지마을 팽나무가 맞습니다.
    사진을 교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profile
    거금도 2003.11.17 14:46
    지적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글을 올린 후 윤용섭님께서 찍었던 사진이 나중에 평지마을 사진실에 올라왔었는데 그때 고쳐야 했었는데도 오래전 글이라 글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리고 정말 정말 고맙습니다. ^___________^
?

  1. 금산면(거금도) 연혁 [2011.12.16.거금대교 개통]

    전라남도 고흥군 남서쪽에 있는 거금도(居金島)와 소수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면 ◈ 유인도 有人島 : 거금도/연홍도 ◈ 무인도 無人島 : 하단설명 참고 대화도 / 소화도 / 장재도 / 장재1도 / 우동도 / 독도 / 대취도 / 대취1도 / 소취도 / 죽도 / 모녀도 / 모...
    Reply0 Views19481 file
    Read More
  2. 연홍도 / 형제도 연혁

    거금도 서쪽 1㎞ 해상에 있으며, 거금도와 금당도 사이에 있다. 원래는 돌산현에 속하였으나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300여 년 전 밀양박씨가 처음 입도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고 한다. 넓은 바다 위에 떠 있는 연(鳶)과 같...
    Reply0 Views12391 file
    Read More
  3. [학술자료] 거금도의 식생植生

    길마가지나무 열매 (적대봉 마당목치 지나 도팍 틈에서 찍음) 논문제목 보문 : 거금도의 식생 영문제목 Articles : The Vegetation of Kokum Island 논문저자 이호준, 장석모, 김종홍 발행년도 1984 발행기관 한국생태학회 발행정보 한국생태학회, 7권, 3호, ...
    Reply0 Views96509 file
    Read More
  4. 거금팔경 居金八景1

    거 금 팔 경 산수가 비단같이 수려하다고 해서 錦山이라는 지명을 얻었다는 금산에는 옛부터 풍류인風流人들이 즐겨찾는 여덟가지의 아름다운 경치가 있었으니 이를 곧 거금팔경居金八景이라 한다. 그러니까 거금팔경은 단양팔경丹陽八景이나 관동팔경關東八...
    Reply1 Views13497 file
    Read More
  5. 금산 당산제 (동제) - 평지,옥룡2

    동제는 사람들과 초자연적 존재와의 관계성립이라는 순전한 종교적 의미뿐 아니라 그 공동의 신앙을 갖고 공동으로 의례를 행한다는 점에서 집합의식의 표출과 강화라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동제의 변화, 예를 들어서 그 약화와 소멸은 마을...
    Reply2 Views11116 file
    Read More
  6. 절이도(거금도) 해전에 대해 알아봅시다 (불멸의 이순신 해설 중에...)2

    2005년 4월3일 제 62회 불멸의 이순신 중에서 임진년 개전이래 첫 승전이자, 이순신의 첫 승전인 옥포해전은 이렇게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있었다. 이순신과 첫번째 교전을 벌였던 도도 다카토라[藤堂高虎], 그는 일본의 수륙 경진 전략을 위한 선봉 수군이었...
    Reply2 Views36509 file
    Read More
  7. 1845년 거금도는 오클랜드섬 이었다..

    ▲<조선 서해안에서 채집한 낱말들> 자료출처 : <10일간의 조선항해기 _김석중님> 본문글은 영월 책 박물관 박대헌 관장님의 서천군에서 '마량진, 한국최초 성서 전래지' 세미나 발표문입니다. 본문중에 거금도에 관한 내용이 있어 본문전체를 게재했습니다. ...
    Reply0 Views24577 file
    Read More
  8. 절이도 목장성-지방기념물제206호1

    금산면 목장성은 금산의 주봉인 적대봉(積台峰 : 표고 592.2m)과 용두봉(龍頭峰 : 표고 418.6m) 사이에 거의 남북 일직선으로 가로질러 있다. 남쪽의 어전리 금장마을에서부터 북쪽의 석정리 성치마을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전체 길이는 약 4.5km에 달한다. ...
    Reply1 Views12907 file
    Read More
  9. 우리고장 문화 유적·유물 알기 - 적대봉 사화랑 봉화대1

    고흥 대흥리 고인돌(高興大興里支石墓) ①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대흥리 상하촌 시 대 청동기시대 지정사항 종 류 선사시대분묘(고인돌) 지정연월일 참고문헌 최성락외, 1991, <고흥지방의 선사유적·고분>, <<고흥군의 문화유적>> 금산 초등학교 내와...
    Reply1 Views33113 file
    Read More
  10. 절이도(折爾島) 연혁 및 절이도 해전

    절이도(折爾島)는 거금도(금산면)의 조선시대 때 이름이다. 고고학적으로 볼때 대흥리에 100여개 이상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청동기시대부터 이미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문헌상으로 『세종실록』에 그 이름이 처음 나오는데 내용은 "세종 13...
    Reply0 Views12862 file
    Read More
  11. 금산면 고인돌 군群

    고흥반도의 유물 부장풍습 고흥반도의 지석묘에서는 홍도나 석검의 부장율이 매우 높은데, 특히 홍도와 같은 짧은 목이 달린 단지형토기는 전남지역에서도 고흥반도 지석묘의 특징 중 하나이다, 완형으로 출토된 것은 보성강유역에서 2점이 알려져 있을 뿐이나...
    Reply0 Views11037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